•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8초

내·외향적 성격이 프로그래밍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rospective or Outgoing Personality Type on Programm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 김세민;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61-1067
    • /
    • 2018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이 많은 부가가치를 낳으면서 국가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이에 세계 각 나라들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많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성격유형검사의 설문 항목을 재구성하고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면서 학습자들의 태도를 관찰하였고, 성격유형에 따라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각 성격유형의 장점을 적용하면 학습 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효과 증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중심 프로젝트 모형을 적용한 해양분야의 STEAM 교육 설계 및 효과 분석 (Designing of STEAM Education in the Marine Field Applied with the Thematic Project Model and an Analysis of its Effect)

  • 최성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15-927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discover the affective ability of students by applying a thematic project model concerning the marine field unit of science for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among diverse methods of realizing STEAM education. Also, based on this, STEAM education is a new type of learning including the process of exploring by oneself, presenting, discussing and mutually evaluating by becoming an independent person in learning 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discovered to promote a learning attitude toward science by learners. Second, the STEAM class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ird, STEAM education applied with a thematic project model was found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This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ers who have felt difficulty in the science curriculum or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curriculum by triggering voluntary motivation.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치위생 교육 경험 연구 -학습태도, 학생평가 중심으로- (A study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experience in dental hygiene education - learning attitude, student assessment -)

  • 김설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797-80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pplication problem-based learning(PBL) of performance oral health manage in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evaluate on learning effect - learning attitude, student assessment(good or bed). Methods : For this study, we sampled 31 dental hygiene students composed of PBL group, Dept of Dental Hygiene, A college.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1 semester(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08). To identify the effect of PBL on learning attitudes, student assessment, we used a t-test and compared pre & post effects of PBL using a paired t-test and General Linear Model(GLM), McNemar 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problem based learning(PBL) for dental hygiene students education was more effective in learning process and effect of PBL rather than direct instruction. students assessment results that problem based learning improves their medicine knowledge and communic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 that PBL contribute to enhancing learning attitudes, learning effect and solve the real problems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실 수업 동영상 자료 반복 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 수학 I 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repeated learning of moving picture materials applying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power' progra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 변경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95-326
    • /
    • 2006
  • 수학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잃고 어려움을 느끼며 입학시험이라는 현실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수학하는' 경험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수학에 좀 더 자신감을 갖고 스스로 공부하는 수업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요즈음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이 생활화되어 있으므로 수학사와 역사, 과학, 실생활 문제 활용 및 자기평가를 바탕으로 한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실에서 수업한 내용을 동영상으로 제작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반복학습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교육의 내실화를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수학교과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신장과 인터넷학습프로그램의 시청여건, 학생 학부모의 인터넷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도에 대하여 실태분석을 실시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수학교과에서의 수학사 지도의 의의 및 협력학습, 수준별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인터넷 활용수업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실제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 적용에 있어서 먼저 프로그램 정착을 위한 교육적 여건을 조성하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며 교수-학습 모형의 체계를 확립하고 인터넷 메일과 교실 기자재를 활용한 학습을 위한 자료를 개발하며 수학 학습계획의 확립 및 실천을 위한 지도를 실시하였다. 이 후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준별 협력 발표 학습의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함과 동시에 보충 보통 심화과정의 수준별 학습지를 제작, 활용하고 인터넷 이메일과 교실 기자재를 통한 수업 동영상 시청을 지도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도 태도 및 수학과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의 변화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수학학습에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여건 마련과 '수학적 힘의 신장' 프로그램 및 이를 적용한 교실수업 동영상 자료 반복학습의 구안 및 적용에 관한 결론과 제언을 기술하였다.

  • PDF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 학습의 효과 - 중학교 2학년 "지구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cience Instructions Applying 3D Planetarium Software - using the unit 'Earth and Star' for the 8th grade -)

  • 나재준;박종범;국동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4-17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과학 '지구와 별' 단원의 학습에 3D 천문 프로그램(Starry Night pro 6.0)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과학 학업성취도, 과학 관련 태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습효과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2학년 198명의 학생이며 6차시에 걸쳐 3D 천문 프로그램(Starry Night pro 6.0)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조사를 통하여 그 학습효과를 분석하였다. 검사결과는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전통적 수업 보다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3D 천문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과학 관련태도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에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3D planetarium software를 활용한 수업은 8학년 과학수업에서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라고 끝마치고 있다.

사이버교육 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 In Case of Public Organization.)

  • 정해용;김상훈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1권1호
    • /
    • pp.51-7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First of all,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theoretically derived from reviewing previous research. They are: (1) learner-related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such as teaming ability, learning attitude, and attending motivation, (2) environmental factor including the variables of physical and mental support for learners, (3) instructional design factor represented by one variable,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s, and (4) the factor concerning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embracing the variables such as curiosity for learning, openness towards challenge of learning and affection for learning. Subsequent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our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earch are collected from 1,020 respondents who have already passed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course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Out of 1,020 responded questionnaires, 875 data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s shown to be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and in the next place,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learner-related one in sequence. Secondly, additional analysis of the variables included in the instructional design factor shows that availability of practical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and next, interesting composition of contents, reasonable learning amount, optimal level of instruction, and understandable explanation are significantly important in the descending order. Lastly, among learning motivators, strong intention of acquiring business knowledges and skills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satisfier in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mprehensive model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fficient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web-based distance learning system in the various kinds of organizations.

  • PDF

수학 수업의 질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Classroom Quality)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2호
    • /
    • pp.151-162
    • /
    • 2018
  • 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검사(SPOCQ)'의 구인들은 학습의 동기부여 및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평가하고, 수업의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학생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밝히고, 수학성취 수준 및 성별에 따른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수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수학수업에 대한 시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가 수학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수학성취수준과 성별에 따라 수학수업의 질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학생의 수업 내 학습활동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in Clas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송명현;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69-73
    • /
    • 2016
  • 대학교육력 강화와 질 제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학습과정, 다양한 학습활동이 대학교육의 주요한 성과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학습성과, 교육여건, 교육환경 뿐 아니라 공학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으로 그들이 어떠한 학습을 하고 있는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과대학 학생들의 전반적인 수업 내 활동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수업 내 학습활동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은 수업에서 교수들이 요구하는 활동에는 활발히 참여하나 그에 반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는 덜한 편이었다. 과제수행에 관한 사고력 증진 활동은 자주 수행하였으나, 일상생활에 응용하거나 비판적 사고 활동은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내 수강생들과 활발한 협력이 이루어졌고, 수업에 대한 태도가 성실한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 수업내 학습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지원이 필요하다.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수업기능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motivational Attitudes, Use of Instructional Function, and Understanding of Successful Learning on Achievement in e-Learning Class)

  • 조은순;남상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69-975
    • /
    • 2011
  • 본 논문은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활동과 인터넷 수업기능의 활용,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정도가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이러닝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들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통하여 핵심변인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수업 시 자기주도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요인들이 학생들의 자발성(자기주도성), 인터넷수업기능 활용성, 학습에 대한 성공요인 이해정도의 세 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이 세 가지 요인변수들이 결과변수인 학생들의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 자기주도적인 성향이 학습자 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적인 인터넷 활용기능이나 학습 성공에 대한 이해정도보다 학생들의 자발적 수업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준비가 학습 성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대학의 이러닝 수업에서 교수 학습 전략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Studies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Korea)

  • 박종민;백경화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0권2호
    • /
    • pp.92-10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Korea. Methods: Five databases (KoreaMed, KMbase, NDSL, KISS, KiSTi) and grey literature were searched prior to February 2018. A total 12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including 11 articles and 1 proceeding. Results: We included five experimental studies, five non-experimental studies, and two mixed method studies. First, most of the studies that applied a learning method focused on the subject of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team-based learning was the method that was utilized the most. Second, the necessity of well-designed research was confirmed because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low. Third, the research variables identified we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affective domain, and included satisfaction, motivat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nfidence, attitude. We confirmed the need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that can also improve the cognitive and psychomotor domain variables in future researc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ideration the domain of research variables evenly. In addition, future studies should apply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