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mpass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판 자기-자비척도 타당화 연구 - 교정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 focusing on correctional workers)

  • 김현진;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21-3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orean self-compassion scale)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정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와 관련된 척도들 간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자기자비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31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상관분석,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척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소진척도(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스트레스 지각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를 사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자기자비척도는 자기친절, 자기비난, 보편적 인간성, 고립, 마음챙김, 과잉동일시로 구성된 6요인 모형이 3요인 혹은 2요인 모형보다 더 높은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최종 모형인 6요인 간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 소진, 스트레스 지각, 삶의 만족도 척도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기자비척도가 스트레스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위험요인을 낮추고, 치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보호요인을 측정하는 도구임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연구의 함의점과 추후연구를 논의하였다.

일반 성인의 사상체질에 따른 자기자비와 불안, 우울 및 색선호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dults' Self-Compassion, Anxiety, Depression, and Color Preference Based on Sasang Constitution)

  • 이은혜;장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78-587
    • /
    • 2019
  • 본 연구는 사상체질유형에 따라, 정신건강 지표 중 자기자비, 특질불안, 우울 수준 및 색선호도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자기자비와 불안 및 우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성인 남녀 총 205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상체질 진단을 위한 2단계 설문지(TS-QSCD)를 이용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4체질로 진단하고, 자기자비척도(Self-Compassion Scale), 특질불안척도(SATI-X-2), 우울척도(CES-D), 그리고 색선호도 설문지(CR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태양인은 소음인보다 자기자비 수준이 더 높았고 특질불안 수준이 더 낮았다. 또한 자기자비와 특질 불안 및 우울 간 관계에서는 자기자비가 높을수록 특질불안과 우울 성향이 낮았고, 특질불안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도 높았다. 사상체질에 따른 색 선호도와 우울 수준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성인초기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 Anxie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in Early Adulthood)

  • 김소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79-58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기 불안, 자기자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성인초기 남녀 2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237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불안은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관계중독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기자비는 관계중독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불안과 관계중독의 관계 및 이를 관리하기 위한 자기자비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유아교사의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의 병렬이중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on Self-compass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xamining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 안혜령;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203-232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allel dual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f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nters. Methods: Two hundred and six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o were recruited from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five province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5.0 and model 4 provided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version. Results: First, the teachers' degrees of anxiety and avoidance in their adult attachment were below the median scores. Thos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and their self-compassion were close to the median scores. Second, there were parallel dual mediation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s between anxious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of teachers. Meanwhile, only positive affect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of teachers' avoidant attachment and self-compassio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raise positive affect by lowering each level of anxiety and avoidance in their attachment for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self-compassion. It implied the need to provide support for attachment stability enhancement and to pay attention to improve their self-compassion.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Self-Compassion on Binge Eating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 이슬기;이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12-425
    • /
    • 2022
  • 본 연구는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자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대학원생 441명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및 Pearson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자비, 부정정서, 부정 긴급성, 폭식행동 간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자기자비 증진이 부정정서와 부정 긴급성을 순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폭식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폭식행동의 치료에 있어 자기자비의 실제적 활용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대처방식과 공감피로, 공감만족 (Coping Strategie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 장양민;김숙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0권3호
    • /
    • pp.348-358
    • /
    • 2014
  • Purpose: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emergency room (ER) nurses' coping types and factors affecting compassion satisfaction (CS) and compassion fatigue. Methods: During March and April 2013, 1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R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D and C reg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mpassion fatigue was most strongly affected by emotional expression for burnout and by practical support pursuit for secondary traumatic stress. Positive coping, emotional expression, position, positive reinterpretation, and self-blame explained 42% of CS.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with moderate levels of career had high compassion fatigue and low compassion satisfaction. Thus these nurses need to be given an opportunity to achieve self-development and improve their ability as nurses; interventions that can reinforce positive coping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as personal coping strategies affect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영유아교사의 친밀관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 최인숙;채진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01-218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depression and to see whether there would be a mediating effect of their self-compas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06 teachers recruited from Seoul and five different provinces who currently worked at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s,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25.0 and model 4 provided in The PROCESS macro for SPSS 3.4 version.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ed. First, the teachers' degrees of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were below the median scores. In contrast their degree of self-compassion was above the median score. In addition, their level of depress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both of the teachers' anxiety and avoidance for their close relationship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depression and their self-compassion, and there wer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in both case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arly attachment experience connecting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in the adulthood is importan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teachers' self-compassion to prot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교정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자기자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correctional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 김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소진, 자기자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 복지공단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8년 2월에 e-mail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 중 성실하게 응답한 213부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을 개발하였으며,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소진, 자기자비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직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완전매개하며,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완전매개하며, 자기자비와 소진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자비가 직무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소진에 서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자기자비의 완전매개 효과는 높은 직무 스트레스-낮은 자기자비-낮은 삶의 만족도- 높은 소진이라는 악순환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정기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추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자비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과 향후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기관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 Counselors: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 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3-74
    • /
    • 2018
  •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 우울, 삶의 만족도, 자기자비 간의 인과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D광역시 교육청 산하 상담기관에 근무 중인 314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모형을 개발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AMOS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자비는 우울과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만족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은 자기자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될수록 자기자비가 낮아지며 우울을 경험하며 삶의 만족도가 낮아진다는 악순환적 관계를 보여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고 삶의 만족을 높이는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감사의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Gratitude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Insomnia)

  • 김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609-628
    • /
    • 2021
  • 본 연구는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면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감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도와 전라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서 대학생 330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불면증, 자기자비, 감사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SPSS Macro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면증이 높았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면증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및 감사가 각각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자기자비와 감사의 이중매개 경로를 거쳐 불면증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생의 불면증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더불어 자기자비와 감사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