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enium intake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9초

Selemium Intake in Breast-fed Infants during Course of Lactation

  • Kim, Eul-Sang;Keum, Hae-Kyoung;Yuzo Tamar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230-233
    • /
    • 199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enium content of human milk and selenium intake of breast-fed infants at each period of lactation longitudinally. The human milk intake in breast-fed infants was measured by test weighing method from 20 lactating mothers at 1,2 and 3 months postpartum. Selenium content in the milks was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with hydride generation after wet digestion of samples. Selenium intake in breast-fed infants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human milk intakes by selenium contents. The milk intakes were 640, 726 and 715g/day at 1,2 and 3 months postpartum. The selenium contents in human milk were characterized by a pattern of slight decline with advancing stage of lactation;13.1, 11.5 and 9.8$\mu\textrm{g}$/L at 1,2 and 3 months during lactation. There was a large individual variation at any stage of this study. The mean dietary selenium intakes in breast-fed infants were 8.38, 8.32 and 6.97$\mu\textrm{g}$/day at 1,2 and 3 months postpartum, respectively. The mean daily intakes on a body weight basis were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course of lactation.

  • PDF

성인 여성의 생애주기별 셀레늄 영양상태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Selenium Status in Adult Females According to Life Cycle)

  • 이옥희;문종화;정용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5호
    • /
    • pp.491-499
    • /
    • 2003
  • Selenium is a strong antioxidant trace mineral, scavenging free radicals. The prevalence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s increasing in Korean adults with increasing age. The increased cell damage from free radicals has been implicated in the etiology of these diseases, and evidence is accumulating that the low selenium status that comes with advanced aged is involved in the prevalence of age-associated diseas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selenium status of Koreans, its age-related change and its relationship to dietary nutrient intake. In this study, the serum selenium levels of healthy adult females according to life cycle and its association with blood albumin levels and nutrient intake were examined. Serum selenium level was measured with the Huwo research reactor using the neutron activation analysis method (NAA). The overall proportion of women with selenium deficiency, serum selenium concentrations below 7.0 $\mu\textrm{g}$/dl, was 9.4%. The average serum selenium levels were 12.39 $\mu\textrm{g}$/dl, 9.45 $\mu\textrm{g}$/dl and 9.16 $\mu\textrm{g}$/dl in the young adult, middle-aged and elderly groups, respectively, showing a reduction of selenium status with advancing age. Selenium deficiency was seen only in the elderly group. Generally, serum selenium levels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trient intake, but these association patterns differed depending on the age. The nutrients tha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enium levels were proteins and phosphate in the young adult group (p < 0.05, p < 0.05), and total calcium, potassium and vegetable-origin calcium in the middle-aged group. Vitamin C and fiber were the negative correlated nutrients with serum selenium levels in the elderly group (p < 0.05, p < 0.05).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the determining factors responsible for selenium status showed that age and serum albumin levels were important factors which explained up to 26.9% variances in serum selenium levels. The average selenium concentrations of Korean adult female subjects were above the deficiency levels in all three age groups. There was a tendency toward decreasing selenium levels as the age of the subjects increased. The factors with the strongest in-fluence on selenium status in healthy adult Korean females were age and serum protein status. (Korean J Nutrition 36(5): 491~499, 2003)

철분의 과잉섭취시 셀레늄 섭취수준이 철분과잉 축적에 대한 예방효과에 관한 연구 (Preventive Effect of Selenium Supplementation on Iron Accumulation of Rats Fed Diets Containing High Levels of iron)

  • 전예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0권3호
    • /
    • pp.318-32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enium supplementation of iron accumulation of rats fed diets containing high levels or iron. Sixty male Sprague-Dawley weaning rats were fed with diet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iron(adequate : 35ppm, 2-fold : 70ppm, 4-fold : 140ppm) and selenium(adequat : 0.05ppm and high : 0.05ppm) for 12 weeks. Feed intakes of 2-fold and 4-fold iron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adequate iron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ody weight gain across iron and selenium containing diet groups. Hemoglobin level was increasd with iron increment and decreased with selenium supplementation. Iron contents in serum and tissues were increased as iron intake was increased. Liver iron content was decreased with selenium supplementation. Selenium content in liver was decreased with iron increment and increased with selenium supplementation. In the case of iron balance, iron excretion through urine and fe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iron intake was increased. However, apparent absorbability and retention rate of iron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iron or selenium.

  • PDF

철분과 셀레늄의 섭취수준이 흰쥐의 망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on and Selenium Intakes on Utilization of Manganese in Rats)

  • 전예숙;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ron and selenium intakes on utilization of manganese in rats fed adequate, 2-fold, 4-fold iron and adequate, high selenium for 6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feed intake across iron and selenium containing diet groups. Body weight gain in 2-fold iron and high selenium group(MFeH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Serum iron level was increased with iron increment, and liver iron content was decreased with selenium supplementation. Selenium and manganese contents in tissues were decreased with iron increment. In the case of manganese balance, manganese excretion through fe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iron intake was increased. However, retention and apparent absorption of manganes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iron. From thes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supplementations of iron and selenium affected the manganese utilization. Therefore, it must be considered interaction with various minerals in micro-nutrient supplementations.

  • PDF

셀레늄의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및 권장식단의 셀레늄 함량 평가를 통한 식품의 셀레늄 데이터베이스 검토 (2020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of selenium and a review of selenium database of foods by evaluating of selenium contents of the recommended menus)

  • 최경숙;이옥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4호
    • /
    • pp.430-440
    • /
    • 2022
  • 셀레늄은 산화스트레스 방어 기능으로 인체의 면역기능 유지에 필수적 역할을 하고, 세포의 항산화기능, 면역기능, 갑상선호르몬 조절, 약물이나 중금속 위해에 대한 방어, 만성질환의 위험 감소에 필수 역할을 하는 미량무기질이다. 셀레늄 섭취의 부족은 암, 심혈관질환, 당뇨병, 신경질환, 골관절 및 근육괴사와 약화, 갑상선질환,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한 만성적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본 논문은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셀레늄의 제정과 개정 근거 기준에 대해 설명하고, 셀레늄 데이터베이스의 현황과 향후 2025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설정을 위한 필요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셀레늄의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은 2015년에 이어 혈장 셀레노프로테인 P 수준이 최대가 되는 셀레늄의 평균필요량을 지표로 사용하였고, 중국인 대상의 보고치에 한국인의 기준체중과 변이계수를 적용하는 방법이 적용되었으며, 2015년에 비해 참고체중치의 변경에 따라 성별, 연령별 셀레늄 섭취기준에서 약간의 개정이 있었다. 향후 셀레늄 섭취기준 설정의 발전을 위해서는 1) 한국인 대상의 혈장 셀레노프로테인 P의 최대수준을 나타내는 셀레늄 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한 셀레늄 중재연구가 필요하고, 2) 셀레늄 섭취량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영양평가 프로그램내 식품 셀레늄 데이터베이스의 검토와 식품의 셀레늄 함량 분석을 확대해야 하며, 3) 국민의 셀레늄 섭취와 체내 생물학적 지표와의 관계를 건강한 일반인뿐만 아니라 질환자 및 운동선수와 같은 특수 환경의 대상자들로 확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Selenium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 및 축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Selenium Sources on Performance and Selenium Retention in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 나재천;김상호;장병귀;김지혁;유동조;이덕수;이상진;이종찬;이원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5-202
    • /
    • 2006
  • 셀레늄의 첨가가 육계 및 산란계의 생산성과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무기태 selenium 0.12, 0.24 ppm과 유기태 selenium 0.12, 0.24 및 0.6 ppm의 첨가가 육계의 사료 섭취량, 증체량, 사료 요구율 및 닭고기 내 selenium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전 기간의 증체량은 무기태 0.24 ppm 첨가구보다 유기태 selenium 0.24와 0.60 ppm 첨가구에서 높았다(P<0.05). 그러나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 무기태 및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슴과 다리근육의 selenium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기태와 무기태 selenium 첨가구가 높았으며(P<0.05),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P<0.05), 무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실험 2에서는 산란계 사료에 무기태 selenium 0.06, 0.12 ppm과 유기태 selenium 0.06, 0.12 및 0.30 ppm의 첨가하여 급여시에 산란율,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질 및 계란 내 selenium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료 요구율은 무기태 0.06 ppm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5), 산란율, 난중, 1일 산란량,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 무기태 및 유기태 selenium의 첨가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Haugh unit는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색은 유기태 selenium 0.30 ppm 첨가구가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난각 강도는 유기태 selenium 0.06 ppm 첨가구가 높았다.(P<0.05). 그러나 난각 두께는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차이는 없었다. 계란 중의 selenium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selenium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다(P<0.05). 이외에도 사료내 selenium 첨가 수준에 비례하여 계란에서 selenium 축적량도 증가하였으며(P<0.05), 특히 유기태 selenium 이 무기태 selenium보다 효과적이었다.

Selenium Content of Infant Formulas and Estimated Intake of Infants in Japan and Korea

  • Yuzo Tamari;Kim, Eul-Sang;Lee, Kyu-H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60-266
    • /
    • 1998
  • Selenium contents of infant formulas that were commerically available in Japan and Korean were determined by the method of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hydrode generation. Total means of selenium contents were 45.2$\pm$22.1ng/g(n=34) in all the Japaneses formulas and 58.3$\pm$18.9ng/g(n=22) in all the Korean formulas. selecnium contents of milk-based formulas (54.7$\pm$23.2ng/g in Japan, n=20 and 64.8$\pm$12.6ng/g in Korean , n=18)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oy-based formulas (36.8$\pm$11.0ng/g in Japanes brands, n=11 and 36.4ng/g in Korean one , N=1). Based on selenium data of these formulas the selenium intakes of infants have been estimated to be about 6.6$\mu\textrm{g}$/day and 8.1$\mu\textrm{g}$/day in Korean by milk-based formula feeding.

  • PDF

대학 여자 운동선수의 셀레늄 및 아연 영양상태 (Assessment of selenium and zinc status in female collegiate athletes)

  • 이옥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21-131
    • /
    • 2018
  • 본 연구는 여자 대학선수들의 혈청 셀레늄과 아연 수준을 일반 여대생과 비교 평가하고, 열량영양소 및 항산화영양소 섭취와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체육대학의 여자 에어로빅 및 유도선수와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 일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사섭취 조사와 혈청의 두 미량 무기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에너지 섭취량은 에어로빅과 유도선수가 각각 2,151.0 kcal와 2,347.7 kcal를 나타내어 일반 여대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체중 1 kg당 하루 에너지 섭취량은 선수와 일반 여대생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유도선수의 경우 35.8 kcal에 불과하였다. 지질 섭취량은 일반 여대생에 비해 두 선수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선수와 일반 여대생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지질 중 포화지방산 섭취는 유도선수가 일반 여대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를 보였다. 비타민 A, E와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에어로빅 선수가 일반 여대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으며 INQ도 1이상을 보였다. 그러나 유도선수의 경우 비타민 A와 C의 INQ가 1이하를 나타내어 비타민 A와 C의 영양적 질이 부적절함을 보였다. 철의 섭취량은 에어로빅 선수가 일반 여대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셀레늄과 아연 섭취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철과 아연의 INQ는 유도선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에어로빅과 유도선수의 셀레늄의 평균 섭취량은 각각 $106.2{\mu}g$$101.9{\mu}g$를 나타내었고, 아연 섭취량은 각각 10.7 mg과 9.3 mg으로 일반 여대생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셀레늄의 평균 농도는 유도선수가 $10.7{\mu}g/dl$을 보여 에어로빅 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이 들 중 셀레늄 결핍자는 없었다. 에어로빅과 유도선수의 평균 혈청 아연농도는 각각 $96.1{\mu}g/dl$$90.2{\mu}g/dl$으로서 일반 여대생과 유사하였지만, 에어로빅에서는 아연 결핍이 없으나 유도선수에서 아연 결핍율은 각각 14.3%를 보였다. 혈청 셀레늄농도의 변이는 나이 포화지방산, 비타민 E와 셀레늄 섭취에 의해 35.5%를 설명할 수 있으며, 나이를 제외한 식사요인에 의해서 33.3%를 설명할 수 있었다. 혈청 아연농도의 변이는 포화지방산 섭취에 의해 14.7%를 설명함으로써, 특히 포화지방산 섭취가 두 미량 무기질의 혈청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여자 대학선수들의 인체 셀레늄 상태는 양호하나 일부 선수에서 아연 영양부족이 우려되며 두 미량 무기질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포화지방산의 섭취를 줄이는 영양개선이 필요함으로 보였다. 나아가 셀레늄의 식사섭취와 인체 수준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식사를 통한 셀레늄 섭취의 정확히 평가가 필요하며, 이에는 식품의 셀레늄 데이터베이스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아연 영양상태 관련인자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아연의 생체 이용률을 고려하는 자료가 필요할 것이다.

INFLUENCE OF DIETARY PROTEIN ON THE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OF SELENIUM IN SHEEP

  • Serra, A.B.;Serra, S.D.;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9권5호
    • /
    • pp.551-556
    • /
    • 1996
  • Selenium (Se)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in sheep as influenced by diets differing in protein content through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was studied.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was used with three Japanese Corriedale wethers (45 kg average body weight), three periods, and three dietary treatments. In each period, 7 d dietary adjustment was followed by 5 d total collection of urine and feces.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 Diet 1, without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14% crude protein, CP); Diet 2, with 10%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16.5% CP); and Diet 3, with 20% soybean meal supplementation (19% CP). All the diets had a Se supplementation in the form of sodium selenite at 0.2 mg Se/kg dietary DM. The dietary DM intake of the animals was 2% of their body weigh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among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of the Se balance of the animals. However, as percent of Se intake, only urinary Se concentration of Diet 3 was markedly lower (p < 0.05) than the other diets. Fecal Se as percent of Se intake followed the trend of Diet 3> Diet 2 > Diet 1 resulting a Se absorbed as percent of Se intake of 58.9%, 62.3% and 68.2% for Diets 3, 2 and 1, respectively but their differences among each other were insignifica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were observed either on Se retained as percent of intake (Diet 1, 48.2%; Diet 2, 45.2%; Diet 3, 46.0%) or Se retained as percent of Se absorbed (Diet 1, 70.7%; Diet 2, 72.4%; Diet 3, 77.9%).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various measures of Se utilization were also observe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equation: Y = 93.8 - 1.86X (p <0.05, $r^{2}=0.48$), where Y is the Se absorbed as percent of Se intake (%) and X is the dietary protein content (%). This study concludes that Se requirement in sheep is greater when dietary protein content is high.

구리와 셀레늄 보충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pper and Selenium Supplementation on Lipid Contents in Rats)

  • 최미경;전예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0-106
    • /
    • 2002
  • 구리와 셀레늄 보충이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적정수준, 적정수준의 2배와 4배의 구리, 10배의 셀레늄을 6주간 공급한 후 혈액과 간장의 지질함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구리와 셀레늄 보충에 따른 사료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각 군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콜레스테를 함량은 구리 보충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1) 구리 적정군이 가장 낮았으며, LDL-콜레스테롤은 셀레늄의 영향을 받아 (p<0.05) 셀레늄 적정군이 보충군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간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리와 셀레늄의 보충수준에 따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p<0.05) 구리와 셀레늄 보충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적정량 이상의 구리와 셀레늄 공급은 간장의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른 혈청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상승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영양의 균형과 일상 식이를 통한 영양공급의 중요성에 대한 영양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무기질의 보충수준에 따른 지질대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