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ismo-acoustic arra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지진-공중음과 자료를 이용한 2002천도 인공발파 식별 (Artificial blasts discrimination by using seismo-acoustic data in 2002)

  • 제일영;전정수;이희일;신인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8-44
    • /
    • 2003
  • Artificial blasts, defined as seismo-acoustic events, were discriminated from natural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by the seismo-acoustic analysis. Total 197 seismo-acoustic events corresponding to 9 percent of seismic events in 2002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s artificial surface blasts. Events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eismo-acoustic events in 2002 was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 in 1999-2001, except for two regions. Newly determined seismo-acoustic events were added to the previous artificial blast database. To extend infrasound detection capability, new small-scale infrasound array(TJIAR) was installed in KIGAM.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small array was conducted to discriminate artificial blast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mall array discriminated S seismo-acoustic events during short period analysis. And two infrasound arrays(TJIAR and CHNAR) were used to determine approximate sound source location by cross bearing method.

  • PDF

지진-음파 자료를 이용한 2004년도 인공발파 식별과 백령도 지진-음파 관측망 설치 (Discrimination of artificial explosions by using seismo-acoustic data in 2004 and installation of BRDAR)

  • 제일영;전정수;신인철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8-73
    • /
    • 2005
  • In succession of the previous works, seismo-acou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collect ground truth events and to discriminate surface explosions from natural earthquakes in the Korean Peninsula for 2004. In this period, total 510 seismo-acoustic events corresponding to 10.8 percent of total seismic events occurred in and near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and discriminated as artificial surface explosions. Events distribution of the seismo-acoustic events in 2004 is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s of 1999-2003. And newly determined seismo-acoustic events were added to the surface explosions database. To extend infrasound detection capability,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and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SMU) installed new seismo-acoustic array (BRDAR) in Baekryoung Island last November, 2004. The array configuration and design is nearly same to previous seismo-acoustic arrays CHNAR, KSGAR, a triangular 1 km aperture. BRDAR consists of 5 short period vertical seismometers (GS-13) in seismic vaults and 13 microbarometers (Chaparral Model 2). Preliminary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BRDAR shows an extension of infrasound detection capability to 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lso, multiple observations of infrasound at BRDAR and other arrays gave an opportunity to localize sound source regions.

  • PDF

국내 인프라사운드 전파특성 연구 (Infrasound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 제일영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63-69
    • /
    • 2000
  •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KIGAM) cooperating with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SMU) has been operating seismo-acoustic array in Chul-Won area to discriminate man-made explosions from natural earthquakes since at the end of July 1999. In order to characterize propagation parameters of detected seismo-acoustic signal and to associate these signals as a blast event accompanying seismic and acoustic signals simultaneous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frasound wave propagation in the atmosphere. Two comparable Effective Sound Velocity Structures(ESVS) in atmosphere were constructed by using empirical model (MSISE90 and HWM93) and by aerological observation data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t O-San area. Infrasound propagation path computed by empirical model resulted in rare arival of refracted waves on ground less than 200km from source region. On the other hand Propagation paths by KMA more realistic data had various arrivals at near source region and well agreement with analyzed seismo-acoustic signals from Chul-Won data. And infrasound propagation in specific direction was very influenced by horizontal wind component in that direction. Linear travel time curve drawn up by 9 days data of the KMA in autumn season showed 335.6m/s apparent sound velocity in near source regi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will be used to associate seismo-acoustic signals and to calculate propagation parameters of infrasound wave front.

  • PDF

철원 지진-공중음파 관측망 설치 (The Installation of Chul-Won Seismo-Acoustic Array)

  • 전명순;전정수;신인철;김동균;제일영;김용성;박정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 /
    • pp.52-57
    • /
    • 1999
  • Korea Earthquake Monitoring System(KEMS) in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KIGAM) as detected more than 1000 events since the end of 1998. But not all events are interpreted as earthquakes because many events are concentrated on daytime. It strongly implies that in addition to earthquake these events include artificial effects such as industrial blasting. Before the determination of eathquake charactertistics in the korean peninsula it is necessary to discriminate the detected events as earthquakes or artificial events. For the discriminant study KIGAM and SMU(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installed a triangular four-element 1-km aperture seismo-acoustic array at Chul-Won area northeast of Seoul Korea. Each array element includes a GS-13 seismometer in the bottom of borehole and a Validyne DP250-14 microbarometer sensor mounted inside of the borehole 1,2 meter deep connected to a 11 arm radial array of 10m porous soaker hoses. This array introduce the use of 2.4-GHz radios for inter-array self-contained solar-charged power system and GPS time-keeping system. A 24-bit digital data acquisition system performs 40 SPS in the infrasound and seismometer data. Velocity and direction of wind and temperature are also measured at hub site and included to the data stresam. This seismo-acoustic array will be used to identify and locate associated with industrial blasting and these identified and located events will be applied to form a ground truth database useful to assist the other development of discriminant studies.

  • PDF

인프라사운드 관측을 통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Geophysical Study Through Infrasound Observation)

  • 제일영;전정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495-505
    • /
    • 2006
  • 인간의 가청주파수 보다 낮은 저주파수대역의 음파로 정의되는 인프라사운드는 대기압력 변화를 수반하는 다양한 자연현상이나 인간 활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대기 중으로 전파하고 있다. 인프라사운드의 장거리 전파특성은 음원에 대한 원거리 관측과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자연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인 이해와 대규모 인위적 음원에 대한 탐지기술로 응용되고 있다. 이에 최근 비밀 핵실험 감시와 순수한 지구물리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진보된 관측망이 전 세계적으로 구축되는 등 인프라사운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는 지진파와 인프라사운드를 동시에 관측할 수 있는 지진-음파 관측망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자료의 실시간 관측과 분석으로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 중 상당수의 인공지진을 명확히 식별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진탐지 이외에도 대규모 자연지진, 운석폭발, 화산폭발, 태풍 등의 자연현상에서 발생한 인프라사운드를 국내 관측망에서 관측하여 분석하고 있다. 지구 물리학적 관점에서 인프라사운드 관측은 상부지각과 대기권 등 지구표면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규모 자연 혹은 인위적 현상을 관측할 수 있는 새로운 지구관측기술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의 최신 연구 동향 (State-of-the-art Studies on Infrasound Monitoring in Korea)

  • 제일영;이희일;전정수;신인철;지헌철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201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광역 지진관측망 이외에도 7 개소의 지진-음파(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들 배열식 지진-음파 관측소는 지진파 이외에도 원거리 음원에서 발생하는 인프라사운드 신호를 관측할 수 있다. 인프라사운드란 대기권을 전파하는 20 Hz 이하 저주파수 음파로 정의되며, 에너지 감쇠가 적어 장거리를 전파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은 우선적으로 자연지진과 인공지진(지표발파)을 식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지난 10여 년간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운영한 결과 지진원 식별이외에도 다양한 지구물리학적 자연현상과 북한의 핵실험 등 인위적 폭발현상에서 발생한 인프라사운드를 관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프라사운드 관측소를 통해 한반도 및 주변지역에서 발생한 주요 인프라사운드 음원에 대한 관측사례와 연구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인프라사운드 관측기술은 기존 대기에 국한된 관측영역을 넓혀 지구내부-지표면-대기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연 혹은 인위적 현상을 관측하고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지구관측기술의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향후 지진파와 인프라사운드를 융합한 탐지, 분석기술 개발은 자연현상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이해를 넓히고 인위적 폭발현상에 대한 원거리 정밀탐지기술로 응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Velest를 이용한 남한 지역의 P파 속도구조 분석 (P-wave velocity structure in Southern Korea by using Velest program)

  • 전정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49-54
    • /
    • 2000
  •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KIGAM) has been operating Korean Earthquake Monitoring System(KEMS) to archive the real-time data stream and to determine event parameters (epicenter origin time and magnitude)by the automatic processing and analyst review. To do this KEMS uses the Vindel Hue's velocity model which was derived from Wonju KSRS data. Because KIGAM now receives the real-time data from many stations including Wonju KSRS Cholwon seismo-acoustic array Uljin Wolsung Youngkwang Taejon Seoul Kimcheon Taegu etc. the proper velocity model should be establishe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P were velocity structures was derived from VELEST program using 69 events among the 835 events determined by KEMS in 1999 which were recorded by at least 5 stations. General trend of velocity structure was similar to Sang Jo Kim's model but velocity value was low in crust and high in upper mantle. Due to the sensitivity of inversion results to the initial input model the artificial short and blast data might be added.

  • PDF

한반도 및 인근해역의 지진특성 (Seismic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전정수;전정수
    • 지질공학
    • /
    • 제10권2호
    • /
    • pp.98-112
    • /
    • 2000
  • 지진자료를 분석해 지진기록으로부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공지진을 식별하여 정확한 지진 카타로그를 제공하는 것은 지진연구에서 가장 기초적인 과정이지만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자료 만으로 이를 식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관계로 선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발효를 앞두고 있는 CTBT 체제에서 인공발파와 자연 지진의 식별은 외교 정책적인 면에서 매우 심각한 국제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파 - 공중음파 관축소의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지진과 인공발파를 식별하는 방법을 추천코자 한다. 최극 한반도 및 주변해역에서 발생한 지진들의 분포는 남쪽에서는 서산-포항을 잇는 N60-70$^{\circ}$W 방향으로 진앙이 집중되며, 북쪽에서는 주로 평안도와 황해도에 집중된다. 1936년 이후 한반도 및 인근해역에서 발생한 비교적 큰 지진들(규모 4.5 이상) 14개의 메카니즘(mechanism)은 주로 수평이동단층(strike-slip faulting) 형태로 이는 이 지역에 작용하는 주 응력은 압축력임을 나타낸다. 이는 한반도 및 인근해역에 작용하는 응력장이 동쪽에서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 밑으로 침강하는 태평양판(Pacific Plate)의 영향뿐만 아니라 남서쪽에서 충돌하는 인도판(Indian Plate)의 영향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