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ismic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및 인근해역의 지진특성

  • 전정수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연구센터) ;
  • 전정수 (한국자원연구소 지진연구?터)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Discrimination between natural earthquakes and man-made explosions is very essential but critical matter in Seismology. In the CTBT Monitoring business, this is very crucial issue and sometimes could occur the international conflict. In this study, we analyzed seismic and infrasound data from Chulwon Seismo-Acoustic Array and would like to introduce routine data processing procedures at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KIGAM) to discriminate the earthquakes and artificial explosions. We found analyzing acoustic data together with seismic data is very effective way to identify and discriminate man made explosion from natural earthquake. Recent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concentrated in a narrow zone with N60-70$^{\circ}$W in southern Korea, and Pyungan and Hwanghae Province in northern Korea. The mechanism of 14 larger earthquake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36 show predominant strike-slip faulting together with minor thrust component. This indicates horizontal compression is dominant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지진자료를 분석해 지진기록으로부터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인공지진을 식별하여 정확한 지진 카타로그를 제공하는 것은 지진연구에서 가장 기초적인 과정이지만 또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지진계에 기록된 지진자료 만으로 이를 식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관계로 선진국에서는 수십 년 전부터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오고 있다. 현재 국제사회에서 발효를 앞두고 있는 CTBT 체제에서 인공발파와 자연 지진의 식별은 외교 정책적인 면에서 매우 심각한 국제문제를 야기 시킬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파 - 공중음파 관축소의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지진과 인공발파를 식별하는 방법을 추천코자 한다. 최극 한반도 및 주변해역에서 발생한 지진들의 분포는 남쪽에서는 서산-포항을 잇는 N60-70$^{\circ}$W 방향으로 진앙이 집중되며, 북쪽에서는 주로 평안도와 황해도에 집중된다. 1936년 이후 한반도 및 인근해역에서 발생한 비교적 큰 지진들(규모 4.5 이상) 14개의 메카니즘(mechanism)은 주로 수평이동단층(strike-slip faulting) 형태로 이는 이 지역에 작용하는 주 응력은 압축력임을 나타낸다. 이는 한반도 및 인근해역에 작용하는 응력장이 동쪽에서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 밑으로 침강하는 태평양판(Pacific Plate)의 영향뿐만 아니라 남서쪽에서 충돌하는 인도판(Indian Plate)의 영향도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