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growing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32초

Canada산 인삼의 형태 특성 (Correlations amo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nax quinquefolium Plants Grown .in British Columbia, Canada)

  • Smyth, S.R.;Bailey, W.G.;Skretkowiez, A.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45-152
    • /
    • 1988
  • Correlations between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nax quinquefolium plants grown in Lytton, British Columbia, Canada were assessed for 1-through 4-year old plants. Root dry weight, the dependent variable, was found to be strongly related to leaf dry weight, leaf length and root length for 1-and 2-year old plants during the middle of the growing season. For 1- and 2-year old plants at the end of the growing season, root dry weight was found to be related to leaf dry weight, leaf length and stem dry weight. For 3 and 4-year old plants, root dry weight was found to be related to leaf dry weight, leaf length and stem dry weight. For 3- and 4-year old plants, root dry weight was found to be related to leaf dry weight. For practical considerations, this latter relationship provides a simple method for selecting superior plants from which seed can be harvested.

  • PDF

Optical flow 이론을 이용한 움직이는 객체의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extraction of a moving object using optical flow)

  • 정철곤;김경수;김중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50-53
    • /
    • 2000
  • In this work, the new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extracts moving object of the video image is presented. In order to extract moving object, it is that velocity vectors correspond to each frame of the video image. Using the estimated velocity vector, the position of the object are determined. the value of the coordination of the object is initialized to the seed, and in the image plane, the moving object is automatically segmented by the region growing method. As the result of an application in sequential images, it is available to extract a moving object.

  • PDF

Study on the correlation links between parameters of weather conditions and indicators of seed productivity of plants of spring wheat (Tr. aestivum L.) in Irkutsk region

  • Takalandze, Gennady Ordenovich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257-261
    • /
    • 2012
  • In Irkutsk region the plants of spring wheat (Tr. aestivum) grow in three agro-ecological zones: steppe, forest-steppe and subtaiga. Due to this reason, the paper determines the coefficients of correlation between the indicators field germination of seeds, plant safety, productivity,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the plant habitat for each zone. The zonal moisture saving features of soil treatment for growing wheat plants (Tr. aestivum)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se data.

GaAs계 OMVPE 및 Laser CVD System 연구 (Studies of OMPVE and LACVD for GaAs semiconductors)

  • 정동호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9년도 제4회 파동 및 레이저 학술발표회 4th Conference on Waves and lasers 논문집 - 한국광학회
    • /
    • pp.210-213
    • /
    • 1989
  • An early phase of the OMVPE and LACVD studies of growing AlGaAs/GaAs films is reported. The AlGaAs/GaAs epitaxy to the level of obtaining MOW structures is a crucial step for the fabrication of the devices such as SEED and/or DOES which are basic parts of the OEIC. The analysis of the OMVPE system is shown for this purpose and the basic results of the LACVD are also presented.

  • PDF

Biological Activities and Constituents of the Semen of Rumex crispus

  • Lee, Shin-Suk;Yim, Dong-Sool;Lee, Sook-Yoe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69.2-369.2
    • /
    • 2002
  • Rumex crispus (Polygonaceae) is a well known perennial plant. which is called So-Ri-Jaeng-Yi. growing in the field and on the roadside. It has been used as a Korean Folk medicine in treating of acute and chronic cutaneous disease. cathartics, fever and jaundice. Also, the seed of this plant has been used as only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gestion problems, liver diseases and many sorts of tumor. So we examined analgesic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hepatoprotective activity using MeOH extraction and BuOH fraction in this plant. (omitted)

  • PDF

강원도 중왕산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 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pseudosieboldianum in Mt. Jungwang, Gangwondo)

  • 김회진;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42-47
    • /
    • 2016
  •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당단풍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조사하였다. 당단풍나무 꽃은 산방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달렸으며,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개체에서는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웅성화가 먼저 개화하는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다른 개체에서의 화분이 꿀벌, 애꽃벌류 및 꽃등에류에 의하여 수분이 이루어지는 이형자웅이숙(heterodichogamy)의 성 형태로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었다. 종자 낙하량은 310~234,84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70,780 ea/ha이었다. 종자생산에 있어 연년변동이 심하며, 최대치가 최소치의 760배 가량이었다. 당단풍나무의 연년종자생산은 정규분포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성숙한 종자 중에서 피해 또는 부후종자가 59.3%로 가장 많았고, 건전종자가 23.9%, 미발육 종자 9.2%, 쭉정이종자 7.6% 등으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5월 중,하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시기에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당단풍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풍년 이듬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낙엽활엽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개화결실 특성과 비산 전후 종자 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강원도 중왕산 지역에서 부게꽃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ukurunduense in Mt. Jungwang, Gangwondo)

  • 김갑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53-158
    • /
    • 2014
  •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A. Mey.)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하였다. 부게꽃나무 꽃은 총 상화서(드물게 원추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많이 달렸으며, 꽃의 배열은 화서마다 서로 달랐다.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로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부게꽃나무는 꿀벌, 깜둥이창나방, 하늘소류, 애꽃벌류, 대모각다귀류 등이 수분하며,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화서당 꽃의 수는 6월 8일에 189개였다가, 6월 21에는 과수당 시과?의 수는 41.2개였으며, 9월 5일에는 과수당 33.4개로 줄어들었다. 시과낙하량은 670~17,93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6,720 ea/ha이었다. 건전배를 가진 것이 4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 부후인 것이 41.8%, 미발육 10.2%, 쭉정이배 4.8%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6월 초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6월 초 중순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부게꽃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다산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무우의 휴면성(休眠性)과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ormant Behavior Effects of Plant Growth Substances for Beaking the Seed. Dormancy of Raphanvs Sativus L.)

  • 나종현;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85-93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하파형(夏播型) 무우육성(育成)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져 여름무우 소재(素材)로 사용(使用)될 수 있는 몇가지 무우품종(品種)의 품종간(品種間) 휴면성(休眠性)의 차이(差異), 그들간의 모계효과(母系效果) 및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가 휴면(休眠)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고, 인위적(人爲的) 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의 효과(效果)를 구명(究明)코져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7개(個) 품종(品種)의 채종(採種)직후(直後)의 발아율(發芽率)은 SP70- : 0.5%, PS11- : 37.5%, GJ75- : 75.5%, JD127- : 77.5%, YH85- : 81.0%, M55- : 96.5%, JC73- : 98.0%로 나타나 무우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에 따라 휴면(休眠) 정도(程度)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휴면(休眠)이 깊은 SP70-의 휴면기간(休眠期間)은 60일(日) 이었으며, 이 품종(品種)을 모계(母系)로 하였을 때가 부계(父系)로 하였을 때 보다 휴면(休眠)이 깊게 나타났다. 3. 채종모본(採種母本)의 성숙정도(成熟程度)에 따라 휴면성(休眠性)이 달라졌는 바, 성숙모본(成熟母本)(3월(月)22일(日) 파종(播種))은 말숙모본(末熟母本)(11월(月)10일(日) 파종(播種))에 비(比)해 휴면(休眠)이 훨씬 경감(輕減)되었다. 4.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 및 첫 꽃이 개화(開花)한 이후(以後)부터 SP70-에 전일장처리(全日長處理)를 행(行)한 구(區)는 휴면(休眠)의 정도(程度)가 낮았으며, 등숙기(登熟期) 이후(以後)의 처리구(處理區) 및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휴면(休眠)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휴면(休眠)의 인위적(人爲的) 타파(打破)에 있어서는 GA 200ppm+thiourea 0.2% 혼용처리(混用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 PDF

국내에 자생하는 한국잔디 종자의 변이 특성 (Characteristics of Seed Variation of Zoysiagrasses (Zoysia spp.) Native to South Korea)

  • 배은지;이광수;박용배;김동수;양근모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67-273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241개체의 한국잔디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종자 형태적 형질을 조사했으며, 한국잔디의 종자 형태적 특성 및 변이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한국잔디 241개체 중에서 중지가 99개체로 41% 이상이 수집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종자 변이를 보였다. 크게 갯잔디형과 들잔디형으로 두 개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I과 II군은 화서당 종자수가 30.1개와 17.5개, 종자길이는 4.6과 5.2 mm으로 갯잔디형이 포함되었고, III과 IV군은 화서당 종자수가 59.2개와 45.8개, 종자길이는 3.3과 3.4 mm으로 들잔디형 특성을 나타내었다. 정확한 종간교잡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생육특성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