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angl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4초

상수리나무 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Growth and Branch Characteristics of 35 Half-sib Families in a Seed Orchard of Quercus acutissima)

  • 전병환;강규석;한상억;오창영;김장수;김계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8-235
    • /
    • 2009
  • 상수리나무 실생채종원에서 수형목 풍매차대 35 가계의 생장 및 가지특성 변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채종원 임령 12년생 때의 평균 수고는 9.96 m, 평균 흉고 직경 14.50 cm, 평균 지하고 1.04 m, 평균 수관폭 6.80 m, 평균 가지각도는 $18.82^{\circ}$이었고 평균 통직성 등급은 2.58로 조사되었다. 수고생장에 있어서 075 및 052 가계가 우수하였던 반면에 0511 및 0517 가계는 불량한 것을 나타났다. 또한 흉고직경 생장에 있어서는 075 및 0413 가계가 우수하였고 0725 및 0511 가계가 불량하였다. Pearson 상관 및 Spearman 순위상관 계수는 2006년과 2008년 조사에서 가지각도를 제외한 조사된 모든 형질에 있어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수고 생장 및 흉고직경 생장이 우수한 가계가 통직성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산분석 결과, 수고, 흉고직경, 원주재적 및 통직성에 있어 가계간 고도의 유의적인 생장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하고, 수관폭 및 가지각도에 있어서도 가계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채종원 임령 10년 및 12년의 경우에 개체유전력 보다는 가계유전력이 더욱 높게 추정되었다. 특히 가계유전력이 높게 추정된 수고, 흉고직경 및 통직성은 강한 유전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체선발보다는 가계선발에 의하여 더욱 높은 개량효과가 추정됨을 알 수 있었다. 가계선발에 의한 각 조사형질별 개량효과 기대치를 추정한 결과 가지각도에서 개량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흉고직경, 수고 순이었다. 최종적으로 생장 및 가지특성에 대한 분산분석, 유전력, 유전변이량 등에 근거하여 생장형질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계별 육종가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육종가는 상수리나무 채종원에서 유전간벌을 적용하는데 있어 선발 기준 등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층기판온도에 따른 CoCrTa/Si 이층박막의 특성변화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CoCrTa/Si double layer thin film on variation of underlayer substrate temperature)

  • 박원효;김용진;금민종;가출현;손인환;최형욱;김경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80
    • /
    • 2001
  •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characteristics of CoCr-based magnetic thin film for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a were influenced on preparing conditions. In these, there is that substrate temperature was parameter that increases perpendicular coercivity of CoCrTa magnetic layer using recording layer. While preparation of CoCr-based doublelayer, by optimizing substrate temperature, we expect to increase perpendicular anisotropy of CoCr magnetic layer and prepare ferromagnetic recording layer with a good quality by epitaxial growth. CoCrTa/Si doublelayer showed a good dispersion angle of c-axis orientation $\Delta$$\theta$$_{50}$ caused by inserting amorphous Si underlayer which prepared at underlayer substrate temperature 250C. Perpendicular coercivity was constant, in-plane coercivity was controlled a low value about 2000e. This result implied that Si underlayer could restrain growth of initial layer of CoCrTa thin film, which showed bad magnetic properties effectively without participating magnetization patterns of magnetic layer. In case of CoCrTa/Si that prepared with ultra thin underlayer, crystalline orientation of CoCrTa was improved rather underlayer thickness 1nm, it was expected that amorphous Si layer played a important role in not only underlayer but also seed layer.t also seed layer.r.

  • PDF

Assessment o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 Tests in the Bago Yoma Region, Myanmar

  • Lwin, Ohn;Hyun, Jung-Oh;Yahya, Andi Fadly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86-692
    • /
    • 2010
  • This study described the general pattern of genetic variation among ten teak (Tectona grandis Linn. f.) provenances in Myanmar and determined the most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Bago Yoma region. Seeds of ten provenances were collected to cover the whole teak natural distribution in Myanmar and planted at four trial sites in Bago Yoma region in 1998. Seven years after planting, variation was assessed for grow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with geoclimatic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traits measured among provenances, trial sites and provenance ${\times}$ site interaction at five percent level.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was found among most of the traits. Th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all traits and geoclimatic factors indicated the existence of ecoclinal variation in teak. Most of the trai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latitude while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longitude and C/B ratio, crown-diameter, average branch angle and leaf-remai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temperature and any other traits in this study. Furthermore, growth traits and crown diamet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ean annual rainfall whil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geographical distance and growth traits. Results indicate that the latitudinal pattern of teak genetic variations in growth performance was attributed to the limit of mean annual rainfall. Comparative assessment showed that local provenances were generally the best and could be use as suitable seed sources for the plantation program in the Bago Yoma region.

MOC-NA 영상의 영역기준 영상정합 (Area based image matching with MOC-NA imagery)

  • 윤준희;박정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3-469
    • /
    • 2010
  • 화성의 고도정보를 제공하는 MOLA 센서는 화성전역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수치표고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MOC-NA영상을 이용한 영상정합이 수행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특색(feature)이 적고 명암대비가 낮은 화성영상의 특성상, 자동 영상정합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MOC-NA 영상에 대하여 영역기준 영상정합에 기반한 반 자동 영상정합의 알고리즘을 다룬다. 공액점을 나타내는 시드(seed)포인트 들이 수동으로 스테레오 영상에 추가되고 이를 바탕으로 특징점들이 자동으로 삽입된다. 각 영상의 특징점들은 서로의 초기 공액점으로 사용되며, 영역기준 영상정합으로 정제된다. 영상정합의 과정 중 정합에 실패한 점들은 초기 공액점의 위치를 정합에 성공한 주변의 여섯 점들을 이용하여 재 계산한 후 정제된다. 타깃영상과 검색영상의 역할을 바꾸어 수행한 영상정합의 질적 평가 결과, 97.3%의 점들이 한 화소 이하의 절대거리를 나타내었다.

Sol-Gel Process를 이용한 PMSQ/TiO2 복합 미립자의 합성 (Preparation of PMSQ/TiO2 Composite Fine Powder by Sol-Gel Process)

  • 이동현;구상만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34-638
    • /
    • 1998
  • 응집이 없는 단분산의 $PMSQ/TiO_2$ 복합 미립자를 얻기 위하여 300 nm 크기의 $TiO_2$ seed가 분산되어 있는 메탄올 수용액과 MTMS (Methyltrimethoxysilane)를 메탄올에 녹인 용액을 혼합하여 $TiO_2$ seed 표면에서 MTMS가 가수분해 및 축합 반응이 일어나도록 유도하여 복합 미분말을 제조하였다. 촉매로 암모니아를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실온이었으며, 모든 반응은 질소분위기에서 행하였다. 교반속도, 반응온도, $[H_2O]/[MTMS]$, $[MTMS]/[TiO_2]$ 등을 변화하여 입자의 크기 및 형태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조사한 결과, [MTMS]=0.2 M, $[NH_4OH]=0.6M$, $[H_2O]/[MTMS]=100$, $[MTMS]/[TiO_2]=10-50$이고 실온에서 서서히 교반한 경우 단분산된 약 $1-2{\mu}m$의 크기를 갖는 복합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입자에 대한 소수성을 물에 대한 접촉각 측정을 통해 조사한 결과 거의 180도에 가까운 접촉각을 보임으로써 복합입자의 소수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외선 차폐효과도 UV 투과도 측정을 통해 조사되었다.

  • PDF

유채 종자의 물리적 특성(II) (Physical Properties of Rapeseed (II))

  • 홍상진;;한재웅;김훈;김유호;금동혁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3호
    • /
    • pp.173-178
    • /
    • 2008
  • Some physical properties of rapeseed were measured at five moisture levels of 10.03, 14.91, 20.07, 25.06 and 30.12% (w.b.), which include frictional properties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emptying and filling angle of repose) and aerodynamic properties (terminal velocity and drag coefficient). The physical properties of rapeseed were evaluated as a function of seed moisture content. In the moisture content range, the coefficients of static friction, emptying and filling angle of repose increased linearly with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The maximum values of coefficients of static friction were on the acrylic surface, varied from 0.34 to 0.43; the next is on the galvanized steel, varied from 0.30 to 0.38; and the minimum were on stainless steel surface, varied from 0.27 to 0.35. Emptying and filling angle of repose varied from 26.12 to 29.62 and 23.83 to 27.05 degrees, respectively. Terminal velocity increased linearly from 3.47 to 3.91 m/s with increase of moisture content. Drag coefficient varied from 1.84 to 1.64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ag coefficient and moisture content were expressed by non-linear equation.

빗각 증착 기술과 이를 이용한 박막의 제조 및 특성

  • 정재인;양지훈;박혜선;정재훈;송민아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5-125
    • /
    • 2012
  • 물리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은 진공 또는 특정 가스 분위기에서 고상의 물질을 기화시켜 기판에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증발과 스퍼터링 그리고 이온플레이팅 등이 있다. PVD 방법으로 박막을 제작하면 대부분의 박막은 주상정 구조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주상정의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빗각 증착(oblique angle deposition; OAD) 기술이 있다. OAD는 타겟(증발원)에 대해서 기판을 평행하게 배치하는 일반적인 코팅방법과는 달리 기판의 수직성분과 타겟의 수직성분이 이루는 각도가 0도 이상이 되도록 조절하여 기판을 기울인 상태로 코팅하는 방법을 말한다. OAD 방법을 이용하면 기판으로 입사하는 증기가 초기에 생성된 핵(seed)에 의해 shadowing이 발생하면서 증기가 수직으로 입사하는 normal 증착과는 다른 형상의 성장 조직이 만들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OAD 방법을 이용하여 Al과 TiN 박막을 제조하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Al 박막은 UBM (Un-Balanced Magnetron) 스퍼터링 소스를 이용하여 빗각을 각각 0, 30, 45, 60 및 90도의 각도에서 강판 및 실리콘 웨이퍼 상에 시편을 제조하되 단층 및 다층으로 시편을 제조하고 치밀도와 함께 조도와 반사율을 비교하고 염수분무시험을 이용하여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TiN 박막은 Cathodic Arc 방식을 이용하되 Al 박막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을 하고 내식성 및 경도 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TiN 박막은 경사각이 커지면서 경도가 낮아졌으나 바이어스 전압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제조함에 의해 경도는 유지하면서 modulus를 낮출 수 있어서 박막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H3/E2 값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ngle Sensors Based on Oblique Giant Magneto Impedance Devices

  • Kim, Do-Hun;Na, Ji-Won;Jeung, Won-Young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4권1호
    • /
    • pp.42-46
    • /
    • 2009
  • The measurement of external magnetic field orientation using Giant Magneto Impedance (GMI) sensors has been performed. A soft magnetic alloy of $Co_{30}Fe_{34}Ni_{36}$ was electroplated on a Si wafer with a CoFeNi seed layer. V-shaped microwire patterns were formed using a conventional photolithography process. An external magnetic field was generated by a rectangular AlNiCo permanent magnet. The reference direction was defined as the external magnetic field direction oriented in the middle of 2 GMI devices. As the orientation of the magnetic field deviated from the reference direction, variation in the field component along each device introduced voltage changes. It was found that, by tak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arms of the Vshaped device, the nonlinearity of each device c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The fabricated angle sensor had a linear range of approximately $70^{\circ}$ and an overall sensitivity of approximately 10 mV.

Directionality of ο-Phthalaldehyde adsorbed onto H-passivated Si(100) Surface Characterized by NEXAFS and HRPES

  • Kim, Ki-Jeong;Yang, Sena;Kang, Tai-Hee;Kim, Bong-Soo;Lee, Hang-G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973-1975
    • /
    • 2010
  • The electronic and adsorption structure of o-phthalaldehyde (OPA) on the H-Si(100) surface was investigated by using Near Edge X-ray Fine Structure (NEXAFS) and high resolution photoemission spectroscopy (HRPES). We confirmed that the OPA grown on the H-Si(100) surface showed good dependency with about 60 degree tilting angle using NEXAFS and a single O 1s peak by using HRPES. Hydrogen atom passivated on the Si(100) surface was found to be a seed for making one dimensional organic line that uses a chain reaction as the H-Si(100) surface was compared with the hydrogen free Si(100) surface.

KLT를 이용한 얼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e Recognition by using Karhunen Loeve Transform)

  • 강창수;전형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1호
    • /
    • pp.25-31
    • /
    • 2006
  • 본 연구에서 기존 얼굴추출과 인식의 단점을 색상정보와 KLT를 이용하여 극복하고 얼굴 전체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얼굴의 특징은 KLT를 이용하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주성분 분석방법을 통해 중요한 정보만 추출하였다. 색상정보와 KLT를 이용한 얼굴인식의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색상정보를 가진 다양한 크기와 각도의 얼굴에 대하여 90%이상의 인식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