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victimization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성폭력 피해 아동·청소년이 2차 피해로 인지한 경험 연구 (A empirical Study of Secondary Victimization Among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채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1호
    • /
    • pp.117-140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이 인지하는 2차 피해의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차 피해 경험이 있다고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성폭력 피해 아동 청소년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였고, 2~4회에 걸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처 위에 소금 뿌리는 가해자', '비빌 언덕조차 되어주지 않는 가족', '울타리가 무너진 학교', '상처를 덧내는 사법기관', '믿었던 도끼로 발등 찍는 상담원', '강 건너 불구경하는 이웃'이라는 6개 하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아동 청소년이 경험하는 2차 피해는 성폭력이라는 1차 피해 후에 '이중삼중으로 밀려오는 후폭풍'과 같은 경험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동 청소년 성폭력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수사경찰의 성범죄에 대한 2차피해 인식요인 탐색 (Influencing Factors of Attitude toward Secondary Victimization in Sexual Assault Cases by the Police Officers)

  • 권혜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71-681
    • /
    • 2019
  • 수사경찰관들은 업무 특성상 사건의 진위를 가려내기 위한 과정에서 지나친 의심을 지닐 가능성이 높고, 이는 2차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우려가 종종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성폭력수사를 담당하는 경찰관들이 2차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탐색된 영향요인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수사과정에서의 성폭력 2차피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경찰의 신뢰회복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경찰공무원 개인적 특성 중에서 강간통념, 폭력허용도, 적대적 성차별이 의심과 편견에 영향을 미쳤으며, 민감성부족에는 강간통념과 적대적 성차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관련 특성 중에서는 재직기간과 성폭력 사건 담당경험이 민감성 부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성폭력사건 수사과정에서 2차피해를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폭력 사건 관련 법 개정과 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담당 경찰관들의 성인지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경찰관의 성폭력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 결정요인 - 성폭력에 대한 편견을 중심으로 - (Determinants of Male Police Officers' Investigative Behavior(Active Investigation vs. Secondary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 이명신;양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159-185
    • /
    • 2011
  • 경찰의 성폭력 수사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경찰의 인지 및 태도(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와 실제 수사행동(적극적 수사와 이차폭력)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경남지역 세 도시의 남성경찰 354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델이 발견되었다(CFI=0.947,IFI=0.948, RMSEA=0.048). 분석결과, 적극적 수사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 성폭력에 대한 편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가 높을수록 적극적 수사행동이 증가되며, 반면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차폭력 행동을 결정짓는 요인은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이 높을수록 이차폭력 행동이 감소되었다. 특히, 성폭력에 대한 편견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수사행동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수사임무에 대한 법지식과 적극적 수사, 보호연계임무에 대한 인지와 적극적 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적극적 수사를 강화하고 이차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성폭력관련 법에 대한 교육, 수사지침의 재정비, 의식전환 프로그램, 경찰의 전문화, 수사환경의 개선, 사회복지사와의 연계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 PDF

국제결혼한 농촌남성의 에이전시에 대한 생애사적 '사례이해' (A Biographical 'Caseunderstanding' on the Agency of Men in international Marriage in Rural Areas)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1호
    • /
    • pp.317-34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한 농촌남성들의 에이전시를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8개를 실시하였고, 인터뷰자료는 Sch$\ddot{u}$tze의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분석과 Rosenthal의 내러티브식-생애사 인터뷰 분석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중적 소외자로 객체화되고 있는 외부자적 관점과는 달리, 에이전시를 작동시키며 살아가고 있는 주체로 재현되고 있었는데, 주 생활영역인 직업생활에서는 주변부에 자리한 직업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자기주도적인 직업생활을 하도록 추동하는 에이전시가, 가정생활에서는 '아래로부터의 다문화주의'를 실현하는 초국가적 가정의 주체로 위치시키는 에이전시가, 그리고 학교생활에서는 탈획일화된 학교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추동하는 에이전시가 작동되고 있었고 또 현재도 작동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국제결혼한 농촌남성들에 대한 이해가 전제된 사회복지실천을 하는 데에 시사하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청소년의 가출 경험 여부가 성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6-10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victimization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of the Korean Survey on the Rights of Youth and Children (2016) were used. A total of 7,11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AS 9.3. Results: About 3.8% of the total students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and 4.1% of the students experienced sexual victimization. The results from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s who had run away from home before showed a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AOR: 1.76, 95% CI: 1.13~2.72). Lower economic status (AOR: 1.42, 95% CI: 1.03~1.97), suicidal ideation (AOR: 1.80, 95% CI: 1.37~2.38), depressive feelings (AOR: 1.36, 95% CI: 1.04~1.78), victims of violence by teachers (AOR: 1.56, 95% CI: 1.20~2.03), victims of off-line school bullying (AOR: 5.00, 95% CI: 3.56~7.01), victims of on-line bullying (AOR: 2.61, 95% CI: 1.79~2.80), and victims of both on- and off-line bullying (AOR: 6.62, 95% CI: 4.76~9.22) showed a highest risk of being sexually victimized. Conclus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rate of experiencing sexual victimization in youth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keep them from running away from home. In addition, if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secondary mental traumas that may arise from the experience of sexual victimization.

주거침입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Factor having Influence on Housebreaking Victimization)

  • 이유나;정대관
    • 시큐리티연구
    • /
    • 제38호
    • /
    • pp.137-1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주거침입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에 주거침입 피해 실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일상적 생활양식과 주거침입 피해경험 간의 관계 및 영향력을 살펴본다. 또한 일상활동 생활양식이론에 기초하여 근접성과 노출, 보호능력 요인으로 주거침입 피해를 설명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4,710가구로, 제8차 전국범죄피해조사(KCVS)자료를 이차데이터로서 활용하였고,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근접성 및 보호능력 차원에서 피해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이는 범죄와의 근접성이 높을수록, 물리적 보호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주거침입 피해 가능성은 감소한다고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이차데이터의 특성상 측정변수를 근사변인으로 설명함으로써 이론적 모형을 명확하게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주거침입 피해유발요인 명확하게 측정하여 보다 실질적인 침입피해 예방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PDF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종단관계 검증: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한 성별 간 다집단 분석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the Experience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Multigroup Analysis by Gender)

  • 박지수;한윤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1호
    • /
    • pp.1-27
    • /
    • 2018
  • 최근 학교폭력의 지속성과 가해와 피해의 악순환이 문제로 떠오르고 있어 장기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이 시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 가해나 피해를 이끄는 요인으로 이전 시점의 가해와 피해경험에 주목하였으며, 가해피해자 집단에게서 살펴볼 수 있는 역동성은 상호적 인과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 3차년도부터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N = 1,881). 가해경험과 피해경험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고 성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시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여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다음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을 각각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의 역동성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이전 시점의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이 각각 이후 시점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을 예측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과 개입 방안이 단기간에 효과를 내는 일시적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기 보다는 청소년의 발달적 특성과 학교폭력의 양상을 고려하는 하나의 과정으로써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To Use Facebook for Good: Usage, Cyberbullying Involvemen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 Wong, Natalie;McBride, Catherine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6권2호
    • /
    • pp.59-72
    • /
    • 2016
  •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Facebook usage and social well-being with consideration of cyberbullying involvement using a person-oriented approach.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312 secondary students from Grades 7 and 8 in Hong Kong. Levels of cyberbullying involvement, Facebook usage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investigat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based on the different levels of Facebook usage and cyberbullying victimization through cluster analyses (i.e., frequent Facebook user/noncyberbullied victim, frequent Facebook user/cyberbullied victim, and uninvolved). Our results showed that frequent Facebook users who are cyberbullied tend to engage in cyberbullying perpetration significantly more than the frequent Facebook users who are not cyberbullied, even when the latter reported higher Facebook usage. This result provides some support for the idea that cyberbullying victimization has additional value on top of the level of usage in explaining one's participation in cyberbullying perpetration. As expected, frequent Facebook users who were not cyberbullied reported the highest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the three groups. What is even more interesting is the equal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ound between the cyberbullied victims and the uninvolved. Our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limiting adolescents' Internet use might reduce their risks of being involved in cyberbullying, it might also take away the potential benefits they could get from interacting with the online community. Benefits of using the person-oriented approach in the study of cyberbullying are discussed.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의사결정 나무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자살 시도 예측모형 비교: 2019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를 이용한 2차 자료분석 (Comparison of the Prediction Model of Adolescents' Suicide Attempt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2019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이윤주;김희진;이예슬;정혜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40-5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compare the prediction model for suicide attempts by Korean adolescen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secondary data drawn from the 2019 Youth Heal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A total of 20 items we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5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10 of health-related behaviors, and 5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complex samples and decision 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ver. 25.0 and Stata ver. 16.0. Results: A total of 1,731 participants (3.0%) out of 57,303 responded that they had attempted suicid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as determined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experience of sadness and hopelessness, substance abuse, and violent victimization. Girls who have experience of sadness and hopelessness, and experience of substance abuse have been identified as the most vulnerable group in suicide attempts in the decision tree model. Conclusion: Experiences of sadness and hopelessness, experiences of substance abuse, and experiences of violent victimization are the common major predictors of suicide attempts in both logistic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models, and the predict rates of both models were similar. We suggest to provide programs considering combination of high-risk predictors for adolescents to prevent suicide attempt.

청소년 흡연 행위 및 흡연량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Behaviors and Amount of Tobacco Consump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은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2-75
    • /
    • 2021
  • Purpose: Smoking among adolescents is a critical healthcare concern that needs to be tackled with respect to not only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factors but also socio-cultural factor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moking behaviors and amount of tobacco consumption among adolescent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ehaviors and amount.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theory of triadic influence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econdary data set, the 2018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N=60,040).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smoking behaviors into lifetime, current, and daily smoking, and smoking amount into light, moderate, and heavy smok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Overall, 8.2%, 3.2% and 3.4% of the adolescents were involved in lifetime, current, and daily smoking, respectively. In addition, 5.3%, 0.8%, and 0.6% of the adolescents were involved in light, moderate, and heavy smoking, respectively. The factor associated with smoking behaviors and the amount of tobacco consumed wer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depression, living with family, close friend's smoking, violent victimization, household economic status, and school level (all ps<.05). Conclusion: A considerable number of adolescents are engaged in risky smoking behaviors and consume large amounts of tobacco. Adolescents who said yes to peer smoking, violent victimization, not living with their family, and depressive emotion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risky smoking behaviors and consume large amounts of tobacco. Tailored interventions to decrease smoking should be planed and provided, while considering the school and home environment and individual needs of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