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algebra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중등학교 수학교사 양성을 위한 현대대수학 교재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extbook 'Modern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신현용;이강섭;한인기;류익승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37-360
    • /
    • 2005
  • In this paper we develop textbook 'Modem Algebra'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understand mathematics teacher's viewpoint about desirable textbook 'Modem Algebra' we created a Questionnaire related with curriculum and textbook for training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We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long with recent studies on teacher education and come up with basic principles of developing textbook 'Modern Algebra'. The first version of 'Modern Algebra for Mathematics Teachers' that we have developed based on our study can be found in website 'www.teacheredu.co.kr'.

  • PDF

On the Teaching Linear Algebra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the Teaching Vector Spaces

  • Konyalioglu, A.Cihan;Ipek, A. Sabri;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59-67
    • /
    • 2003
  • In linear algebra course, the theory of vector space is usually presented in a very formal setting, which causes severe difficulties to many studen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aching the theory of vector space in linear algebra from the geometrical point of view on students' learning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of the theory of vector space in linear algebra from the geometrical point of view increases the meaningful loaming since it increases the visualization.

  • PDF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영역별 내용 비교 분석 -대수, 통계, 해석,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Text-book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the Region of Algebra, Statistics, Analysis and Geometry-)

  • 김삼태;이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14
    • /
    • 1999
  • It has already been fifty years since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two nations, South and North Korea. Owing to forming different political and social structures with each other, we can conjecture that there are much heterogeneity in education. 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 plays important role in coming to an accommodation and in restoring homogeneity of the Korean race after unification, we consider the investiga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text-book of secondary schools as a meaningful research to make provision against unification. In this paper, we shall investigate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teaming substances and sequences in mathematics of secondary school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by falling into four regions; algebra and statistics, analysis and geometry. By grasping the special features of terms, teaming subject matters and learning substances, and clarifying their distinctions, we shall present some reforms measure of distinctions.

  • PDF

Are the Primary School Teachers of the Future Ready to Solve the Word Problems without Algebra?

  • Enver Tatar;Tevfik Isleyen;Muzaffer Oku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4호
    • /
    • pp.317-328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uture teachers' skills that can make problem solving methods concrete for 7-11 year old students. For the students in the concrete operations level, solutions of word problems should also be taught by concreting. But most of teacher candidates can not solve the problems without algebra because they got used to solve the word problems with algebra during their high school and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study, whether the teacher candidates have the skills of solving the primary school level problems without using algebra or not are being observed. At the end of this observation it is determinated that primary level teacher candidates generally prefer using algebra operations because of their former habit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education of the primary level teacher candidates, there is the need of developing the solving skills using figures and diagrams without algebra rather than algebraic solutions in word problems.

  • PDF

역사발생적 관점에서 본 행렬 지도의 재음미 (A Review of Teaching the Concept of the Matrix in relation to Historico-Genetic Principle)

  • 조성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9-114
    • /
    • 2009
  • 선형대수는 최근 이공계열 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과학 분야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선형대수는 대학의 기초 과목으로 채택된 지 20-30년 밖에 되지 않은 분야로, 선형대수의 지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1990년 선형대수 교육과정 연구 단체(The Linear Algebra Curriculum Study Group)가 결성되고, 선형대수 지도를 개선하기 위한 움직임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대수의 주요 도구 중 하나인 행렬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역사발생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행렬 지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행렬과 행렬식, 연립일차방정식과 행렬, 일차변환의 개념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역사발생적 관점에서의 행렬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Gifted Students and Advanced Mathematics

  • Barbeau, Edward J.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283-291
    • /
    • 2008
  • The extension to a wide population of secondary education in many advanced countries seems to have led to a weakening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response, many students have been classified as "gifted" so that they can access a stronger program. Apart from the difficulties that might arise in actually determining which students are gifted (Is it always clear what the term means?), there are dangers inherent in programs that might be devised even for those that are truly talented. Sometimes students are moved ahead to more advanced mathematics. Elementary students might be taught algebra or even subjects like trigonometry and vectors, and secondary students might be taught calculus, differential equations and linear algebra. It is my experience over thirty-five years of contact with bright students that acceleration to higher level mathematics is often not a good idea. In this paper, I will articulate some of the factors that have led me to this opinion and suggest alternatives. First,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n matters of education, almost every statement that can be made to admit counterexamples; my opinion on acceleration is no exception. Occasionally, a young Gauss or Euler walks in the door, and one has no choice but to offer the maximum encouragement and allow the student to go to the limit of his capabilities. A young genius can demonstrate an incredible amount of mathematical insight, maturity and mastery of technique. A classical example is probably the teen-age Euler, who in the 1720s was allowed regular audiences with Jean Bernoulli, the foremost mathematician of his day.

  • PDF

ICT시대의 대수교육의 방향과 과제 (New Directions for School Algebra in ICT based Society)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3호
    • /
    • pp.409-426
    • /
    • 2007
  • 중등학교의 핵심교과로 긴 세월 동안 기호와 식의 조작이 중심이 되어 왔던 대수교육은 보편교육의 확대와 컴퓨터나 계산기 등 ICT의 편재로 그 적절성을 재고하게 하였다. 이 연구는 대수교육과정 개혁의 방향을 살펴보고, 국내 대수교육과정 연구와 실행에 시사점을 제시하기 계획되었다. 최근 대수교육의 개혁의 큰 흐름의 특징으로 대수교육을 사고교육으로 보아 대수적 사고나 추론 강조, 비형식적 대수 교육에 주목한 대수 대상 연령의 하향화, ICT 환경을 전제로 한 대수교육으로 정리하였다. ICT 환경에서의 특징적인 대수 활동을 제시하였다. ICT 활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국내 중등대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본질적으로 대수교육이 전통적인 틀 안에 있게 된 이유와 국제 동향을 반영한 변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

그림그리기 전략을 통한 초.중등수학의 연립방정식 지도 연결성 강화 (Crossing the Gap betwee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he Case of Systems of Linear Equations)

  • 권석일;임재훈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91-109
    • /
    • 2007
  • 이 논문은 이원일차연립방정식과 관련하여 초등수학과 중등수학의 연결성 문제를 분석한 것이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이원일차연립방정식 문장제가 다루어지는 방식을 연결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연결성을 강화하는 접근법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이원일차연립방정식 문장제에 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접근법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이원일차연립방정식 문장제 해결에 그림그리기 전략을 도입하여 초등수학과 중등수학의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한 초등 6학년 아동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였다.

  • PDF

컴퓨터 대수체계(CAS) 대비 중등대수교육 기초 연구 (Comparative Study in Algebra Education with CAS: Korea and US cases)

  • 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2호
    • /
    • pp.297-317
    • /
    • 2008
  •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CAS도입을 대비한 기초연구로 CAS 환경에서 모델링 문제해결 과정과 CAS 활용방식을 조사하였다. 수학교육과정 배경과 CAS 장착 정도가 문제해결과정과 CAS 사용전략에 변인이 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비교연구로 수행하였으며 한 미 고등학교 2학년생 각 8명과 2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고전적 상자문제에서 CAS는 기호조작명령어와 그래프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으나 수학적 개념이나 통찰을 대신하지 않았으며, 수학적 모델의 분석과 풀이, 결과 적용과 해석, CAS사용에 있어서 집단간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수업을 통해 CAS 장착이 비교적 안정된 미국학생들 다수가, 한국 학생들과 대조적으로, 중간값 정리를 적용하여 해의 범위를 추정하는데 CAS를 사용하였으며 여러 표상의 연결을 시도하였다. CAS는 지필기법을 대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수의 소수표현과 대수적 표현, 수감각과 함수의 성질, 여러 표상의 연결성 등 대수통찰에 주목하게 하는 등 CAS의 가능성과 억제력은 대수교육에서 인식론적 변화와 교육과정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