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eed soup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3초

폴리만뉴로닉산 첨가가 생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olymannuronic Acid on the Quality of Wet Noodles)

  • 김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1-266
    • /
    • 2006
  • 본 연구는 갈조류의 다당류에서 분리 정제한 폴리만뉴로닉산(폴리만)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생면 치조이용 가능성과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폴리만의 첨가량을 달리한 생면과 조리면은 제조후 색, 조직감, 조리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폴리만 첨가는 면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및 수분 흡수력에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폴리만 국수의 삶은 국물 탁도는 폴리만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만이 첨가된 생면과 조리면의 색도는 모두 폴리만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 a값 및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조직감은 폴리만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폴리만 첨가구의 경도는 감소된 반면, 탄력성과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대조구와 폴리만 2%와 4%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 폴리만 첨가면이 다른 시료에 비해 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수유방법별 관련요인 및 영아의 성장비교 (The study on related factors of feeding type and comparison of development between breast-fed and formula-fed infants)

  • 현혜진;권미경;한경자;윤순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5권
    • /
    • pp.5-19
    • /
    • 1998
  •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Seoul and Kangreung public health center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to identify factors that were relevant to the method of feeding. To compare the infant's development between the breast-fed infants and formula-fed infants, infant's height, weight, triceps skinfold during 1month and 4months were chek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t postpartum, 59.1% infants had formula feeding, while 22.6% had breast feeding. At 1 month old, 49.6% infants had formula feeding, 27.8% had breast feeding. At 4 months old, 60.9% infants had formula feeding, while 26.1% had breast feeding. 2. 'Lack of breast milk' was the predominant reason for formula feeding. 3. The sujects didn't enough eat not only rice and seaweed soup but also any other specific foods during breast feeding period. 4. Factors that affected the method of feeding were the patterns of delivery, mother's height & weight, first baby feeding type(at post partum), infant sex, mother's age, preparation of breast feeding, first baby feeding type, regular clinic visit (at 4months old). 5. The birth weight and height were correlated with mother's weight and height. 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t on infant's weight, height, triceps skinfold between breast-fed infants and formula-fed infants.

  • PDF

서울 및 경기지역 가정에서의 얼음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The Utilization of Ice at Home in Seoul and Kyunggi-Do Area)

  • 장정옥;이영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55-363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development points for automatic ice maker which met consumer's demand. Basic data about using ices in Korean's dietary life, were collected from Seoul and Kyunggi-do residences and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93.7% of respondents had 3 major domestic brands' refrigerator and 41.4% of them had medium-large capacity(400-519L). 65% of respondents had a refrigerator that was purchased less than five years. 15.5% of respondents had one more refrigerator. Among of them, major refrigerator was located in kitchen(67.7%) and minor was in kitchen(29.8%) and in veranda or multi-purpose room(26.3%). 66.2% of respondents always prepared ices in ice container, and 85% of them used ice only in summer. Boiling water with barley or corn was used as drinking water (45.6%) and boiled or purified tap water was used to make ice (38.6%) commonly. In cooking, ice was used especially in cold soup with cucumber and seaweed(89.9%), ice-tea or ice-coffee(81%), and fruit punch(64%). The next commonly using ice was adding in alcoholic beverage such as whiskey(57.4%), in Koreans traditional drink(Misugaru) (45.2%) and juice. The purpose of using ice was to cool in soft drink (58.6%), to cool in cooking food(19.9%), to eat ice itself(14.0%), and to enjoy more fantastic taste and mood(3.8%). In whiskey, the purpose of using ices was to control alcoholic content (5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 in the purpose of using ic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p<0.05). Seasonal variations in using i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ge, roles in family, amount of preparation of ice, socio-economic level and brand and capacity of refrigerator in respondent's home.

  • PDF

Optimization of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for seasoning base production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 Lee, Chaehyeon;Shin, Eui-Cheol;Ahn, Soo-Young;Kim, Seonghui;Kwak, Dongyun;Kwon, Sangoh;Choi, Yunjin;Choi, Gibeom;Jeong, Hyangyeon;Kim, Jin-Soo;Lee, Jung Suck;Cho, Suengm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5권3호
    • /
    • pp.175-186
    • /
    • 2022
  •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 important edible seaweed belonging to the brown algal family of Alariaceae, contains copiou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t has long been popular in Korea as a food and is frequently consumed in the form of soup. It is also commercially available as a home meal replaceme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easoning key base with a high degree of sensory preference from sea mustard using the extrusion cooking process. Extrusion cooking conditions were optimiz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rrel temperature (X1, 140℃-160℃) and screw speed (X2, 158-315 rpm)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verall preference was determined as the dependent variable (Y, points). An optimal condition was obtained at X1 = 148.5℃ and X2 = 315 rpm, and the dependent variable (Y, overall acceptance) was 7.95 points, similar to the experimental value of 7.81. Umami taste had a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acceptance of sea mustard seasoning. In the electronic nose and tongue, increased sourness and umami intens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st sensory score. The samples were separated well by each characteristic vi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llectively, our study provides imperative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seasonings using sea mustard.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Patterns of Ceremonial Foods for Middle-aged Residents in Ganghwa)

  • 김은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5-465
    • /
    • 2008
  • 강화 지역의 전통음식, 시절식과 12달 동안의 절기식 및 출산시, 삼칠일, 백일, 돌, 화갑, 혼례 등의 통과 의례 음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강화에서 20대 전후부터 거주하여 30년 이상 계속 거주한 50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기식은 정월대보름(87.5%), 추석(84.4%), 정월초하루 설날(79.8%), 동지(77.4%)로 주로 농사와 관련된 명절이 우세한 것으로 보였다. 통과 의례 음식 중 돌상은 86.4%가 차렸으며, 백설기, 수수팥떡, 송편, 인절미, 과일, 잡채 등의 음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아이 낳은 산모에게 쌀밥과 미역국을 대접하는 경우가 367명(96.1%)이었다. 생일상을 집에서 차리는 경우는 256명(67.0%), 차리지 않는 경우는 126명(33.0%)이었다. 차리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는 38.2%, '귀찮아서'는 19.4%로 57.6%를 차지하였다. 폐백상차림은 육포(닭), 대추, 밤이 기본적인 음식이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경우는 120명(31.4%)이었다. 제사를 장남집에서 모신다고 한 경우는 53.4%이었으며, 제사가 필요한 이유는 관습대로 지키는 것보다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더 많았다(p<0.05). 제사 음식은 주로 천주교는 친정어머니(66.7%)에게서 배우고, 불교는 37.9%, 유교는 54.5%가 시어머니에게서 배워 종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임신 중 금기 식품은 개고기, 게장, 꽃게, 닭고기, 오리고기, 토끼고기, 팥죽, 팥밥, 커피, 모난 것, 물렁뼈가 있는 것, 불결한 모양, 비늘 없는 생선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가 지남에 따라 전통적인 의례 행사가 많이 변형되고 쇠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앞으로 지역의 축제나 전시회, 품평회,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한 홍보 활동 등으로 전통의 맥을 이어야 하겠다.

  • PDF

전통적 모유량 증가방법에 관한 연구 (Korean's Traditional Method to Increase the Amount of Breast Milk.)

  • 이미라;서연옥;조정호;김태임;박영숙;박송자;박인숙;박종숙;이혜경;임현빈;조동숙;주숙남;최상순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2-152
    • /
    • 1993
  • In recent days, most of mothers prefer bottle feeding to breast feeding. Even mothers who started with breast feeding, change to bottle feeding in a short period. Many factors were reported causing the trend, but a significant influencing latter was revealed the mothers' perception that their breast milk wasn't enough for their bab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how mothers of 30 years ago kept breastfeeding longer period for their child, and what were the diet they used in order to keep adequate breast milk secre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5 women who are over 60 years or older. Data were gathered by 13 authors by interview using structured questionnare. There were 16 questions related to subject's demographic informations and the specific recipe which they used, and 7 questions related to breast feeding techniques they used.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and content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reflected that their milk secretion was enough to feed their tables. 2.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 started breast feeding on the 3rd day after delivery and had continued breast feeding until they were pregnant again. 3. The subjects tried to eat as much rice and seaweed (MiYuk) soup as possible and didn't take any other specific diet during the breast feeding period. 4. The subjects didn't pay specific attention to the breast, general health. emotion, home environment. The only thing they did was being careful not to press breast when not feed. 5. Many subjects perceived that breast feeding made them healthy, and only 7% of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had some health problem during the breast feeding period.

  • PDF

중도시내(中都市內) 도서(島嶼)와 육지거주부인(陸地居住婦人)의 모성보건실태비교(母性保健實態比較) (Comparative Study on Maternal Health Status With Island and Land Women in A Middle City Area)

  • 김규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65-75
    • /
    • 1976
  • To compare the maternal health status between women in island and land, the study was conducted to adjacent land (kukdong) and island (kyonghodong) areas in Yosoo city during April 1976. The results obtained from 174 interviewee in island and 192 in land areas were the same as fol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both area. Age: Land, group 20-29 year of age was the largest. Island, 30-39 year of age was the largest. Education; Low educated group, less than primary grade (land 88.6%, island 93.1%), was predominant in both area. Occupation of herself; agriculture and labor was the main occupation (land 50%, island 82.2%) in both area. Occupation of husband: labor and fishery was general (81.2%) in land, and agriculture and fishery was general (81.6%) in island. Duration of residence; Land, 25.0% being resided here more than 10 years. Island, 64.3% being resided here more than 10 years. 2. Marriage, Pregnancy, and Present children. Average age at marriage; Land, 20.7 years. Island, 20.9 years. Average frequency of pregnancy; Land, 4.4 times. Island, 4.3 times. Wastage of pregnancies: Land, 236 per 1000 pregnancies. Island, 151 per 1000 pregnancies. Wastage occupied by induced abortion; land, 73.5%. island, 60.5%. Number and sex of present children; Land, 3.3 per family, sex ratio 52.4 to 47.6. Island, 3.6 per family, sex ratio 53.3 to 46.7. 3. Prenatal and postnatal care. Prenatal consutation: Land, 16.1% received by doctor or midwife. Island 9.2% received by doctor or midwife. Complications during last pregnancy; Land, 46.6% complained. Island, 51.1% complained. Return to work within 1 week after delivery; Land, 40.6%. Island, 50.6%. 4. Delivery environment Home delivery; Land, 97.4% Island, 97.3%. Delivery attdended by non medical professions at home; Land, 80.2% Island, 93.7%. Solo home delivery; Land, 13.0%, Island, 12.9%. Delivery attended by layman without taking any disinfective preparations; Land, 48.1%, Island, 49.1%. Material mainly used to cut umbilical cord at home; Land, scissors (97.4%). Island, scissora (98.8%). Cord cutting material used without giving any disinfective preparations; Land, 79.9%, Island, 84.0%. Delivery sheets used at home; Cement bag paper (land 50.0%, island, 31.3%). Vinyl sheets (land,17.5%, island, 27.6%). News paper (land, 3.2%. island, 11.7%). No sheets (land 19.5%. island, 12.9%). etc. Maternal Meal; Seaweed soup with rice was the most general in both area. (land 95.3%, island, 91.4%).

  • PDF

서울, 경남지역 승가(僧家)의 식생활(食生活)에 관한 조사연구 -II. 주식(主食)과 부식(副食) 중심으로- (A study on eating habits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ongnam -II. Staple food and side dish-)

  • 조은자;박선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7-275
    • /
    • 1994
  • 1. 주식 밥은 쌀, 찹쌀만으로 짓는 흰쌀밥, 기름찰밥이 대부분이었고, 그외의 밥의 주재료는 쌀이었고, 부재료는 잡곡, 두류, 야채, 산채, 견과류 등을 사용하였다. 찹쌀을 주재료로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이 찌는 법을 사용하였고, 조미료로는 흰쌀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종류의 밥에는 소금을 기본으로 이용하였다. 죽은 쌀을 주재료로 한 흰죽이 가장 많았고, 부재료는 유종실류, 한방재료류, 우유등을 이용하여 왼죽상태로 끓이는 것이 특이하였다. 국수는 건국수보다는 손국수의 형태가 많았고, 주재료는 밀가루가, 부재료는 콩가루, 메밀가루, 수수가루, 찹쌀가루등이 사용되었으며, 국수 마는 국물에는 표고버섯, 다시마 이외에 들깨, 참깨, 잣, 호도, 가죽나물 등이 이용되었다. 수제비는 밀가루를 주로 이용한 밀수제비가 대부분 이었고, 찹쌀 새알심 반죽에는 쪽을 넣어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국물맛은 다시마, 표고버섯외에 가죽나물을 사용하여 특이한 맛을 내었다. 2. 부식 찌게보다 국이 3배 정도 많이 이용되었고, 주재료로 국에는 엽경채류가, 찌게에는 열매채소가 주로 사용되었다. 국물맛은 간장과 된장이, 양념은 고추가루, 마늘, 파와 참기름이, 농후제로는 들깨가루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조림의 주재료로는 근채류가 대부분이었고, 조리법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아서 간장, 설탕, 물엿으로 조리는 방법이었고, 찜은 각종채소와 산채류를 국물에 익혀 들깨가루, 찹쌀가루를 섞어 농후하게 하는 방법이었다. 생채, 나물, 볶음에는 엽경채류와 산채류가 주재료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삶거나 데쳐서 무치는 방법이 많았다. 볶음, 나물에는 간장, 소금을, 산채류에는 된장, 고추장을 기본 간으로 하고 있었다. 생채와 나물에는 참기름이, 볶음에는 들기름과 식용유가 주로 이용되었고, 양념에는 마늘, 파 이외에 인공조미료도 이용되고 있었다. 전(튀김)에는 엽경채류와 근채류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버섯, 더덕, 도라지, 우엉, 마등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에 구이에 사용되었고, 사용되는 기름은 거의 모두 시판 식용유였다. 쌈의 재료는 상치가 가장 많았고, 방장은 된장, 고추장, 막장외에 멸치젓갈도 사용하였다. 회에는 생표고버섯이, 묵의 재료로는 도토리, 메밀, 녹두, 동부등이 주로 사용되었고, 조리법으로는 양념장을 뿌려서 먹는 법외에 묵볶음, 묵장아찌, 묵구이, 묵전등 매우 다양하였다.

  • PDF

강원, 충남지역의 농한기 농촌 노인의 급식식단 개발과 적용 (Menu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Rural Elderly of Gangwon and Chungnam Areas at Agricultural Off-season)

  • 김혜영;김길훈;김행란;김양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23-435
    • /
    • 2009
  • 농한기의 충남 연기군과 강원 홍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급식 식단선정하여 적용하고 및 급식, 기호도 및 찬반량을 조사하였다. 노인의 한 끼 급식의 열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필요추정량 (64세이상 남자2,000 cal/d, 여자 1,600 kcal/d)의 남녀 평균 수치를 삼분의 1로 나누어 600 kcal로 정하였다. 당질, 단백질, 지질의 한 끼 섭취량은 65 : 15 : 20인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 당질 97.5g, 단백질 22.5g, 지질 13.3g으로 선정하였다. 급식의 적용은 점심식사로 5일간 실시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급식 식단은 어육류의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쇠고기와 꽁치, 갈치를 이용하였다. 식단 3은 노인들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다는 점을 고려하여, 요구르트로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단 2와 식단 5는 겨울철 농한기의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C를 공급하기 위해 귤을 후식으로 선정하였다. 충남에서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4의 잡곡밥이 8.5로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국의 짠 정도의 기호도는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7.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국의 건더기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4인 참치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육개장이 8.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8.3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 조사에서는 모든 식단에서 7.4이상의 높은 값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강원 홍천군에서의 급식 식단은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의 섭취를 위해 멸치와 돈등뼈를 활용하였고, 항암 및 면역활성과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주는 파래와 혈중 콜레스테롤의 강하효과를 가져오는 달래로 구성하였다. 또한 유제품을 후식으로 선정하여 노인들의 유제품 섭취를 유도하였다.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차 없이 모든 식단에서 8.5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국의 짠 정도와 건더기의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가, 여자의 경우 식단 3의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p<0.05).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점수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다(p<0.05).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인 새우오뎅볶음, 달래무침,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식단 3인 파래무침, 등 그랑땡,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식단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3이 8.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단 4가 7.8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충남의 식사 후 1인 잔반량을 측정한 결과 식단 4가 56g으로 가장 많은 잔반량을 보였으며 식단가 역시 식단 4가 2,90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강원의 경우 잔반량은 유의차 없이 9g에서 19g사이로 나타났고 식단가는 식단 2가 2,61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을 중심으로 겨울철 농한기 식단을 개발하고, 급식을 통한 기호도를 조사함으로써 농촌 노인 복지활성화 및 노인급식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향후 다방면의 조사와 식재료 가격 안정수급 정책의 뒷받침 등에 의해, 노인들의 입맛에도 맞을 뿐만 아니라 적은 급식비용으로 최대의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과 적은 잔반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고 나트륨 섭취 노인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 장자영;김미정;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362-1372
    • /
    • 2009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나트륨 섭취군을 분류하여 노인들의 식습관 개선 및 영양교육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을 조사하였다. 65세 이상 노인 135명의 조사대상자 중 42.96%인 58명이고나트륨 섭취군에 속하였다. 생활습관에서 음주, 간식횟수, 외식횟수, 수분섭취량에서 고나트륨 섭취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반류, 젓갈류, 장아찌, 조림류, 국물 섭취량, 간장과 소금의 추가량에 관한 식습관 점수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의 나트륨에 관한 영양지식 총점이 남녀노인 모두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남자노인은 나트륨과 인스턴트식품, 나트륨과 인공조미료에 관한 문항에서, 여자노인은 나트륨과 질병과의 관계, 나트륨 섭취권장량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Na index 14의 김치찌개, 된장찌개, 미역국, 멸치볶음에서의 섭취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총 나트륨 섭취량은 고나트륨 섭취군에서 남자노인 1562.49 mg, 여자노인 1227.82 mg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특히 면류를 통한 섭취량이 70% 이상이었다. 영양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Na index 14 점수(p<0.05), 인스턴트식품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p<0.01), 나트륨 섭취 관련 식습관 점수가 낮았다. Na index 14 점수에 대해 세끼 식사의 규칙성, 식사량의 적정성, 천천히 식사함(p<0.01) 항목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Na index 14 점수가 높을수록 인스턴트 국류(p<0.01), 탕류(p<0.01), 죽류(p<0.01), 스프류(p<0.01), 면류(p<0.01), 레토르트류(p<0.01)의 섭취가 높았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나트륨 과잉 섭취 노인의 특성 및 섭취요인을 진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고나트륨 섭취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들의 영양지식, 식습관, 식품섭취패턴이 개선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변화에 중점을 두는 영양교육이 요구되어지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