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Rural Elderly of Gangwon and Chungnam Areas at Agricultural Off-season

강원, 충남지역의 농한기 농촌 노인의 급식식단 개발과 적용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길훈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행란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 ;
  • 김양숙 (농촌진흥청 농식품자원부)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Meal menus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rural elderly of Gangwon and Chungnam areas at agricultural off-season. Amounts of the major nutrients of carbohydrate, protein, lipid, and calorie considered in the menu based o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DRI) of the elderly aged over 65 years were 97.5g, 22.5g, 13.3g, and 600kcal, respectively. In Chungnam, softness and overall acceptance of rice in menu 4, consisted of cereals and rice, kimchi stew with tuna, pan-fried bulgogi mushroom, seasoned dropwort carrot, kimchi, and banana, scored the highest values of 8.5 out of 9.0point hedonic scale (p<0.05). In Gangwon, soup and side dish of menu 3 (rice, frozen pollack pot stew, meatball fried in egg, seasoned sea lettuce, and banana) scored significantly the highest of all (p<0.05). Overall acceptance of all the menus were high over 7.8 without significance in Chungnam. Overall acceptance of the menu 3 scored significantly the highest with value of 8.5 and menu 4 (rice, spicy chicken soup, seasoned bean sprouts, broiled brown seaweed trunk, kimchi, tomato) had significantly the lowest value with value of 7.8 in Gangwon(p<0.05). The total leftover volume of menu 4 was significantly the highest with score of 56g and the menu 4 showed the highest unit cost of 2,900won in Chungnam. However, the total leftover volume of all menus did not show significance ranging from 9g to 19g in Gangwon.

농한기의 충남 연기군과 강원 홍천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급식 식단선정하여 적용하고 및 급식, 기호도 및 찬반량을 조사하였다. 노인의 한 끼 급식의 열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필요추정량 (64세이상 남자2,000 cal/d, 여자 1,600 kcal/d)의 남녀 평균 수치를 삼분의 1로 나누어 600 kcal로 정하였다. 당질, 단백질, 지질의 한 끼 섭취량은 65 : 15 : 20인 비율을 고려하여 각각 당질 97.5g, 단백질 22.5g, 지질 13.3g으로 선정하였다. 급식의 적용은 점심식사로 5일간 실시하였다. 충남 연기군의 급식 식단은 어육류의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쇠고기와 꽁치, 갈치를 이용하였다. 식단 3은 노인들의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다는 점을 고려하여, 요구르트로 유제품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식단 2와 식단 5는 겨울철 농한기의 부족해지기 쉬운 비타민 C를 공급하기 위해 귤을 후식으로 선정하였다. 충남에서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4의 잡곡밥이 8.5로 유의적으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국의 짠 정도의 기호도는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7.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국의 건더기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4인 참치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식단 1의 쇠고기무국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육개장이 8.0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8.3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 조사에서는 모든 식단에서 7.4이상의 높은 값으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강원 홍천군에서의 급식 식단은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칼슘의 섭취를 위해 멸치와 돈등뼈를 활용하였고, 항암 및 면역활성과 고혈압 예방에 도움을 주는 파래와 혈중 콜레스테롤의 강하효과를 가져오는 달래로 구성하였다. 또한 유제품을 후식으로 선정하여 노인들의 유제품 섭취를 유도하였다. 밥의 부드러운 정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차 없이 모든 식단에서 8.5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국의 짠 정도와 건더기의 양은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가, 여자의 경우 식단 3의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p<0.05). 국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의 돼지고기김치찌개, 여자의 경우 동태찌개가 가장 높은 점수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다(p<0.05). 반찬의 전반적인 기호도는 남자의 경우 식단 5인 새우오뎅볶음, 달래무침,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여자의 경우 식단 3인 파래무침, 등 그랑땡, 배추김치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식단에 대한 전반적인 기호도는 식단 3이 8.5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식단 4가 7.8의 값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충남의 식사 후 1인 잔반량을 측정한 결과 식단 4가 56g으로 가장 많은 잔반량을 보였으며 식단가 역시 식단 4가 2,900원으로 가장 높았다. 강원의 경우 잔반량은 유의차 없이 9g에서 19g사이로 나타났고 식단가는 식단 2가 2,61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을 중심으로 겨울철 농한기 식단을 개발하고, 급식을 통한 기호도를 조사함으로써 농촌 노인 복지활성화 및 노인급식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향후 다방면의 조사와 식재료 가격 안정수급 정책의 뒷받침 등에 의해, 노인들의 입맛에도 맞을 뿐만 아니라 적은 급식비용으로 최대의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과 적은 잔반량을 나타낼 수 있도록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개발원(2008) 농립어업 총 조사 종합 분석보고서.
  2. 통계청(2006) 장래인구추계.
  3. An SJ, Kim MK(2001) Effect of Dry Powders, Ethanol Extracts and Juices of Radish and Onio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513-524. https://doi.org/10.3746/jkfn.2005.34.4.513
  4. Bae MS, Lee SC(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Containing Anchovy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88-1192. https://doi.org/10.3746/jkfn.2007.36.9.1188
  5. Choe EO, Woo KJ, Chyun JH(2002) Food preferences of the elderly living in Incheon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7, 78-89.
  6. Choi SD, Kim YH, Nam SH, Shon MY, Choi Jh (2003) Changes in Major Taste Components of Soybeen Sprout Geminated with Extract of Korean Panax ginseng.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3, 273-279. https://doi.org/10.5352/JLS.2003.13.3.273
  7. Choi YJ, Kim C, Park YS(2007)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i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40, 270-280.
  8. Heo YR, Shin JH, Kim KS, Kim BH(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munity-based meal program model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4, 23-35.
  9. Kang CH, Jung HY, Lee DH, Park JK, Ha JU(2000) Analysis of Chemical Compound on Tuna Processing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81-996.
  10. Kim HY, Back SR(2006) Development and Acceptance Test of Protein Enriched Menu for the Aged. Korean J Food Culture 21, 262-269.
  11. Kim HY, Kang NE(2005) A Survey on the Seasonal Menu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of Free Meals for the Elderly Facility in Sungnam Region. Korean J Food Culture 20, 273-282.
  12. Kim HY, Kong HJ(2006) Development of Calcium Enriched Menu for the Aged. Korean J Food Culture 21, 670-678.
  13. Kim HY, Lee HJ, Park CE, Kim YS(2007)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 and Local Products for Menu development of the Eldery in Yeongi Chungnam. Korean J Food Culture 22, 775-782.
  14. Kim HR, Joo MJ, Moon HK, Kim HY(2007)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Intake for Introduction of Meal Service in Pavil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 660-669.
  15. Kim HY, Park CE, Joo MJ, Lee HJ(2008) Menu development and evaluation using food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in busy farming season of Damyang Jeonnam. Korean J Food Culture 23, 41-47.
  16. Kim MY, Lee BH, Cho KD, Han CK(2008) Health-Related Behaviors of Industry Workers Exposed to Unclean Work Environments and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in Response to Usual Pork Consump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61-870.
  17. Kim S, Park YS, Park GS(1996)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Soonchunhyang J Nat Sci 2, 3-11.
  18. Lee JH, Yoon SJ(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Green Laver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45.
  19. Lee MY, Kim MK, Shin JG, Kim SD(2004) Dietary Effect of Hemicellulose from Soy Fiber on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Content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119-1125. https://doi.org/10.3746/jkfn.2004.33.7.1119
  20. Park JS, Lee WJ(1994) Dietary Fiber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Nutr 23, 120-124.
  21. Peryam DR, Pilgrim F(1957) Hedonic scale method of measuring food preferences.: J. Food Technology. 11, 9-14.
  22. Woo KJ, Chun JH, Choe EO(2002) A study on the food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the food behavior of the elderly living in Incheon. J Dietary Culture 17, 424-434.
  23. Yim KS, Min YH, Lee TY, Kim YJ(1998)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 for the Elderly in Suw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Preferences. Korean J Community Nutr. 3, 4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