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food component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5초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휘발성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of the Low-Salt Fermented Ascidian)

  • 황석민;김영아;주종찬;이소정;최종덕;오광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41-150
    • /
    • 2011
  •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풍미발현물질을 구명하기 위해 SDE apparatus,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저염 우렁쉥이 젓갈 특유의 향기성분을 추출, 분리 및 동정하였다. $5^{\circ}C$에서 15일간 숙성시킨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pH는 5.17, 염도는 8.0%,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23.0 mg/100 g이었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성분으로 총 96 성분이 동정되었고, 총함량은 $1,221.42{\mu}g/100g$-cyclohexanol이었다. 이들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을 group별로 분류하면 alcohol류 23종, acid류 16종, aldehyde류 15종, hydrocarbon류 29종, 방향족 화합물 6종, ester류 2종, 함질소 화합물 2종 및 기타 3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계수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hydrocarbon류였고,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1-octanol을 위주로 한 alcohol류였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발현에는 alcohol류를 위주로 여기에 aldehyde류, acid류, 방향족 화합물, ester류 및 함질소 화합물 등이 관여하며, 이들 성분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독특한 향기를 발현한다고 생각되었다.

자연산과 양식산 식용복어의 성분 비교 (Comparisons of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Wild and Cultured Edible Pufferfishes in Korea)

  • 황석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5-732
    • /
    • 2013
  •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edible pufferfishes (five wild pufferfishes including striped puffer Takifugu xanthopterus; eyespot puffer Takifugu chinensis; purple puffer Takifugu porphyreus; rough-backed puffer Lagocephalus wheeleri;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nd two cultured pufferfishes including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chemical and tast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whereas grass puffer had lower moisture and crude lipid levels contents, and higher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other species. The total amino acid levels in wild and cultured pufferfishes were 14,941.6-16,427.9 m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the fatty acid and mineral compositions, the major fatty acids included 22:6n-3, 16:0, 18:1n-9, 20:5n-3, 18:0, 20:4n-3, and 22:5n-3 in that order,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Grass puffer had a higher monoenes ratio, i.e., 16:1n-7 and 18:1n-9, and a lower polyenes ratio than the other pufferfishes. The main minerals detected K, P, Na, S and Ca. Regarding the taste-active compound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ufferfish extracts were 236.4-428.1 mg/100 g, consisting primarily of taurine, lysine, proline, glycine, alanine and arginine in that ord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pufferfishes was 84.5-156.4 mg/100 g,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As for taste intensity, the total taste value of the purple puff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ufferfishes.

송어 보일드 통조림의 개발 및 식품학적 성분 특성 (Development and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anned Boiled Rainbow Trout)

  • 강경태;김형준;이택상;김혜숙;허민수;황나에;하진환;함준식;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015-1021
    • /
    • 2007
  • 송어의 용도 확대에 의한 어민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송어를 이용한 통조림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송어 통조림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71.5%, 단백질이 18.2%, 지방이 3.1% 및 회분이 4.5%로, 시판 연어 통조림에 비하여 수분의 경우 약간 낮았고, 단백질의 경우 차이가 없었으며, 지방 빛 회분의 경우 높았다. 송어 통조림의 유리아미노산 및 총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330.9 mg/100 g 및 18.2 g/l00 g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은 유리 아미노산의 경우 glutamic acid(68.6 mg/100 g, 20.7%) 및 anserine(124.1 mg/100 g, 37.5%) 등이었으며, 총 아미노산의 경우 glutamic acid(18.0%), aspartic acid(8.6%), lysine(8.4%) 및 leucine(8.9%)등이었다. 송어 통조림의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123.3 mg/100 g, 칼슘이 271.3 mg/100 g, 마그네슘이 40.3 mg/100 g, 철이 2.4 mg/100 g 및 인이 244.3 mg/100 g으로, 송어 통조림을 100 g 섭취하는 경우 한국 성인 1일 영양 섭취량(칼슘 및 인: 모두 700 mg, 철: 12 mg)과 비교하여 보면 칼슘의 경우 38.8%를, 인의 경우 34.9%를, 그리고 철의 경우 20%를 섭취하는 효과가 있어 송어 통조림의 섭취에 의한 무기질 보강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송어 통조림의 지방산 조성은 폴리엔산이 43.7% 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모노엔산(28.8%) 및 포화산(27.5%)의 순이었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으로는 16:0(18.4%), 18:1n-9(20.6%), 18:2n-6(17.3%) 및 22:6n-3(12.7%) 등이었다.

황해 저층 냉수대에 출현하는 불볼락(Sebastes thompsoni) 치어의 위내용물 조성 (Diet of Juvenil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in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 김현지;황강석;박정호;이정훈;백근욱;정재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18-823
    • /
    • 2017
  • The diet composition of juvenil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40-50 mm SL), was examined based on 121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in August 2016.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is characterized a by water mass of <$10.0^{\circ}C$ and 33 psu. The juvenile gold-eye rockfish fed on Amphipods [57.3%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and Euphausiacea (32.9%). Most of the point in the prey-specific abundance plot indicated a high between-phenotype component (BPC).

국내 산지별 굴의 성분 특성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 of Oysters Produced in Korea)

  • 최종덕;황석민;강진영;김상현;김정균;오광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05-115
    • /
    • 2012
  • 국내산 양식 및 천연산 굴의 가치 증진 및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식품학적 자료를 얻기 위해 통영, 고성, 여수 및 사천만에서 수하식 및 반수하식으로 양식한 참굴 4종과 고흥, 서천의 해안가 조간대에 서식하는 천연산 참굴류 2종을 구입하여 이들의 영양성분과 풍미성분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탈각한 양식산 및 천연산 굴의 크기는 각각 길이 4.7~5.1 및 3.0~4.2 cm, 무게 5.9~9.1 및 2.6~5.5 g으로 산지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성분 조성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232.8~258.2 및 160.5~213.9 mg/100 g, 9.5~12.0 및 7.8~9.5 mg/100 g으로 산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어 맛과 냄새의 강도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도는 각각 1.5~1.7 및 1.5~1.8%, 절단력은 95~114 및 105~132 g으로 산지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양식산과 천연산 굴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16:0, 18:0, 16:1n-9, 18:1n-9, 22:1n-9, 16:4n-3, 20:5n-3, 22:6n-3 등으로 산지에 따른 특별한 조성의 차이는 없었다.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9,004~10,198 및 8,165~8,942 mg/100 g으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및 arginine이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고, 주요 무기이온은 K, Na, Ca, Fe, S, P 및 Zn 등으로 산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정미발현성분인 유리아미노산의 총함량은 각각 1,444~1,620 및 1,017~1,277 mg/100 g으로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tryptophan, ornithin 및 lys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으며, 산지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국 토종 닭고기의 정미 성분 중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에 대한 연구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 안동현;박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47-552
    • /
    • 2002
  • 토종닭과 broiler의 고기 맛에 관계하는 정미성분의 함량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종 모두에서 유리아미노산 중 고기 특유의 풍미를 나타내는 carnos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정미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glutamic acid함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Carnosine은 가슴살 그리고 28주령의 토종 닭고기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리살에 있어서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많았다. Glutamic acid함량은 다리살 그리고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서 많았고, 가슴살에 있어서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살 후 4$^{\circ}C$에서 48시간 저장한 경우 유리아미노산은 carnosine을 제외하고 대부분 증가했으며, carnosine은 도살 직후와 동일하게 가슴살에서는 28주령의 토종 닭고기에, 다리 살에서는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았다. Glutamic aicd는 가슴살에 있어서는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다리살에는 6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많았다. 또한 좋지 않은 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합에 대한 좋은 맛을 나타내는 아미노산의 합의 비에 있어서도 11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에 더 높게 나타났으며 , IMP의 경우 전반적으로 15주령 이상의 토종 닭고기 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관련물질의 결과로 미루어 11주령이상의 토종 닭고기가 육용의 broiler고기보다 정미성분이 많아 맛에 있어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연어 Frame 육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of Muscle From Salmon Frame)

  • 허민수;김형준;윤민석;박도영;박권현;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52-1456
    • /
    • 2008
  • 연어 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연어 frame 유래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일반 성분은 수분의 경우 73.2%이었고, 건물 100 g 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76.9%, 15.7% 및 4.1%이었다. 연어 frame 근육의 pH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6.63 및 16 mg/100 g으로 신선하여 수산가공원료로 사용 가능하였다. 연어 frame 근육의 헌터 색조는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각각 55.34, 16.60 및 19.99이었고, 색차가 48.83이었으며, 이는 fillet 근육에 비하여 명도의 경우 높았으나,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의 경우 낮았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연어 frame 근육이 542 mg/100 g으로 연어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에 비하여 낮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지방산 조성, 총 아미노산 함량 및 칼슘, 인 함량과 같은 영양성분은 물론이고, 색조 및 냄새와 같은 관능평가의 결과도 연어 fillet 근육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가공 부산물인 frame 유래 근육은 연어 가공소재로 재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유기산처리에 의한 갑오징어갑 분말의 가용성 개선 (Solubility Improvement of Cuttle Bone Powder Using Organic Acids)

  • 김진수;조문래;허민수;조태종;안화진;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7
    • /
    • 2003
  • 수산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을 칼슘소재로서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유기산 처리에 의해 갑오징어갑 분말의 가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처리 유기산의 종류 (아세트산, 젖산), 반응농도 (유기산의 몰에 반응하는 칼슘의 몰 비율), 반응시간 (6$\~$24시간), 반응온도 $(20\~60^{\circ}C)$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들로부터 구명된 최적조건을 이용하여 고 가용성 갑오징어갑 분말을 제조한 다음 구조, 가용화 조건 등과 같은 부분적인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갑오징어갑 분말의 가공용 개선을 위한 유기산으로는 아세트산이 적절하였고, 반응 조건은 칼슘의 몰/아세트산의 몰 비율을 0.4로 한 다음 실온에서 12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IR 및 XRD 상분석 결과 이렇게 제조한 아세트산처리 갑오징어갑 분말의 경우 주성분이 아세트산 칼슘이었고, 전자현미경 촬영 결과 불규칙한 형을 이루고 있었다. 최적 조건에서 유기산 처리된 갑오징어갑 분말의 가용성은 약 $5.3\%$로 원료에 비하여 약 1,380배 정도 개선되었다.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 분말을 가공 기능성 개선제와 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는 실온에서 증류수 또는 수도수에 1시간 정도 진탕하여 사용하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유기산처리 갑오징어갑 분말은 가공 기능성 개선제로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una Livers

  • Kang, Kyung-Tae;Heu, Min-Soo;Jee, Seung-Joon;Lee, Jae-Hyoung;Kim, Hye-Suk;Kim, Ji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367-373
    • /
    • 2007
  • Liver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and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were investigated on the foo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also compared to that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livers were high in crude protein, carbohydrate, and crude ash, while were low in crude lipid when compared to that of Alaska pollack liver. The results of heavy metal suggested that tuna livers appeared safe as a food resource.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livers were 17.7 and 17.1 g/100 g, respectively, and the major amino acids in both liver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and lysine. Tuna livers were good sources of iron and zinc, while have low lipid content. The extractive nitrogen contents of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livers were 526.5 and 468.2 mg/100 g, respectively, and their major free amino acids were taurine, glutamic acid, and alanine. From the results of taste value, the major taste active compounds among free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연어 frame 유래 근육을 이용한 연어 패티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lmon Patty using Muscle from Salmon Frame)

  • 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3-18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salmon patty using muscle separated from salmon frame (SPFM) and to investigate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When compared to salmon patty with fillet muscle (SPM), SPFM was lower in the moisture content, while it was higher in crude lipid content. However, no differences in the ash and protein contents between SPFM and SPM were found. Compared to SPM, the Hunter color value in cross section of cooked SPFM was higher in a and $\Delta$E values, while the color was lower in Land b values. Trichloroacetic acid soluble-N content of SPFM was 279 mg/100 g, which was in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mpared to those of SPM and commercial patty. The hardness of SPFM was 0.44 kg/$cm^2$, which was in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mpared to that of SPM, while was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patty. The major fatty acids of SPFM were 16:0 (16.5%), 18:1n-9 (29.2%) and 18:2n-6 (26.1%). The 20:5n-3 and 22:6n-3 were also detected in high composition.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SPFM was 16.6 g/100 g,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SPM. However, the total amino acid of SPFM was 14% higher than that of commercial patty. From the results of the mineral content, SPFM was higher than that of SPM in Fe and Ca, while the K in SPFM was l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n the color, flavor and tast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ensory items between SPFM and SPM wer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