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bottom sediment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3초

Polychaete Taxocenes Variability Associated with Sediment Pollution Loading in the Peter the Great Bay (the East Sea/Japan Sea)

  • Belan Tatyana A.;Moschenko Alexander 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05
  • Variations in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polychaete taxocenes that occurred in 1980-1989 under different contamination levels of bottom sediments were studied in three areas of Peter the Great Bay. The most polluted area was shown to be the Golden Horn Inlet where contaminant contents in the bottom sediments exceed the threshold values of negative biota alterations. Amursky Bay is characterized by a moderate level of contamination, while Ussuriysky Bay has the lowest level of contamination. Pollutant contents vary considerably within the same areas and their separate patches are polluted differently. An integral index characterizing the contamination of bottom sediments is proposed. This index is an average grade of the rank value of contaminant contents in sediments. The index was used to compare the contamination level and data on polychaet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of polychaetes is found in the least affected zones. Monotonous decrease of the species number, as well as decrease in the indices of diversity and evenness, is correlated with pollution level increases. Significant growth of the average polychaete biomass and polychaete density is observed in the case of an increase of contamination from low to moderate levels. Conversely, the biomass and abundance of polychaetes decline following an increase in contamination.

서해 천해환경에서의 중주파수 해저면 반사손실 측정 (Measurements of Mid-frequency Bottom Loss in Shallow Water of the Yellow Sea)

  • 윤영글;이찬길;최지웅;조성호;오선택;정섬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3-431
    • /
    • 2015
  •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양대학교에서 공동으로 진행한 해양음향 실험이 2013년 5월에 경기만 태안반도 서쪽에 위치한 천해에서 실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중주파수(6~16 kHz) 해저면 반사손실 결과를 제시하고, 수평입사각 $17{\sim}60^{\circ}$ 범위에서 레일리 반사계수 모델과 비교분석한다. 실험해역 지질은 다중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표층 퇴적물이 다양한 구성성분(평균 입도 $5.9{\phi}$)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역이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표층 퇴적물의 평균 입자를 고려한 모델결과는 측정된 반사손실과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퇴적층의 지음향 정보를 역산한 결과 약 $4{\phi}$ 평균입도에서 측정치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표층 퇴적물 입도의 표준 편차가 $4.3{\phi}$로 다른지역에 비해 상당히 컸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상부 퇴적층은 역산 결과로부터 얻어진 지음향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하부 퇴적층은 $1.3{\phi}$의 평균입도로부터 예측된 지음향 파라미터를 사용하였을 때, 모델결과는 측정된 반사손실 결과와 전체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황해에서 저주파 광대역 음원을 이용한 전달손실의 계절변동 연구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Propagation Loss in the Yellow Sea Using Broadband Source of Low Frequency)

  • 김봉채;최복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220
    • /
    • 2002
  • 해수중에서 음파는 수심, 음속구조 및 해저지질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파한다. 특히 천해의 경우 해수중의 음속구조는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변동하고 있고, 해저지질도 공간적으토 다양하게 분포한다. 황해에 있어서 저주파 음파전파의 계절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황해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동일한 정선에서 봄철, 여름철, 가을철 등 서로 다른 계절에 저주파 광대역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 전파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때에는 수중음파 전락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수중 음속구조를 측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황해에 있어서 음속구조 및 음파 전달손실의 측정결과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음파 전달손실의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은 봄철 및 가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보다 크게 나타났고, 가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은 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계절에 의한 전달손실의 차이는 주파수 및 전파거리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이중 주파수 에코 사운드 시스템을 이용한 부니층 두께 조사 (Estimation of the thickness of floating silty clay sediment using dual frequency single beam echo sound system)

  • 하희상
    • 지구물리
    • /
    • 제5권3호
    • /
    • pp.219-231
    • /
    • 2002
  • 일반적으로 수심측량은 항측, 항해 분야에서 해저면의 지형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이 논문에서는 주파수에 따라 해저면에 대한 음파의 침투심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같은 지역에 대하여 고주파(200 KHz)와 저주파(33 KHz) 두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심을 측정한 후 두 결과의 차이로부터 부니층의 두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 층의 물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I 방사능 밀도 검층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광양만 투기장 건설 예정지역으로 부니층의 체적을 계산하여 적정한 투기장 규모를 설계하는데 이용되었다. 향후 항만 지역 및 호수 수계에 대한 정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부니층 두께 또는 시간에 따른 퇴적 패턴에 대한 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추계와 동계 섬진강하구 부유퇴적물농도 변화 (The Change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Fall and Winter Months)

  • 이병관;이수웅;김석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2-550
    • /
    • 2011
  • Change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located in south sea of the Korea peninsula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spring tide in autumn (i.e. 25 hours in October) 2000 and winter (i.e. 25 hours in February) 2001.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showed larger variations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During the spring tide in October 2000, currents at bottom layer were observed to be stronger than during the spring tide in February 2001, showing that both of the two periods had ebb currents-predominant tide asymmetries.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s in October 2000 were larger than the those in February 2001. At the time of the maximum of tide currents or after about one hour of the maximum during the autumn months, the suspended sediment turbidity was observed to be maximum. Another observation station at Hadong upstream from the Seomjin river estuary showed about one hour delay in tide phase, Thereby, the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howed high turbidity after two hours at bottom and three hours at surface layer, in particular, in October 2000. This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s that river dischar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summer rainy season, causing also increase of erosion processes by strong current velocity at bottom layer.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음파전달 특성의 시공간적 변동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ou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박경주;피터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1-211
    • /
    • 2015
  •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with changing environments is a major concern of navy.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s studied, using the 11 years hydrographic data and the Bellhop acoustic model.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CS is highly variable due to extensive interaction of various ocean currents and boundaries. Seasonal variations of transmission loss (TL) with various source depths are highly affected by sharp gradient of sound speed and bottoms interaction. Especially, various bottom sediment types lead to severely degrading a waterborne propagation with bottom loss. In particular, the highly increased TL near the ocean front depends on the sourc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sound propagation.

천해 사질 퇴적층에서 종파감쇠계수의 깊이별 변화가 음파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pth-varying Compressional Wave Attenuation on Sound Propagation on a Sandy Bottom in Shallow Water)

  • 나영남;심태보;정문섭;최진혁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3권2E호
    • /
    • pp.76-82
    • /
    • 1994
  • 천해 해저 퇴적물의 특성은 수 미터 깊이에서도 변할 수 있다. 퇴적층에서의 음속 뿐만 아니라 감쇠계수도 퇴적물의 성분과 특성 자체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감쇠계수는 퇴적층 깊이에 따라 가변적이라고 여기는 것이 합리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포물선 방정식 기법을 도입한 음향모델을 이용하여 퇴적층 종파 감쇠계수의 변화가 100-805 Hz 대역 음파의 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상 해역은 해저면이 사질로 구성되어 있고, 수심과 최적층의 깊이는 각각 40 m, 10m이다. 감쇠계수가 퇴적층 깊이에 따라 일정하게 또는 가변적으로 가정함에 따라 음파의 전파손실은 15 km 거리에서 10dB 까지 차이가 발생한다. 모델에 의하여 계산된 전파손실은 감쇠계수를 퇴적층 깊이에 따라 변하게 할 경우 실측된 전파손실과 잘 일치한다.

  • PDF

A CLOSED-FORM SOLUTION FOR TURBULENT WAVE BOUNDARY LAYERS

  • Larson, Magnus
    • 한국해안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안해양공학회 1995년도 정기학술강연회 발표논문 초록집
    • /
    • pp.66-70
    • /
    • 1995
  • The oscillatory boundary layer that develops when surface waves propagate over the sea bottom affects many flow-pendent phenomena in the coastal zone. Examples of such phenomena are wave energy dissipation due to bottom friction and the initiation and transport of sediment (Grant and Madsen 1986). In nature the boundary layer under waves will almost always be turbulent (Nielsen 1992). (omitted)

  • PDF

동해 한국대륙주변부 정동진 연안 지층의 지음향 모델 (Geoacoustic Model of Coastal Bottom Strata at Jeongdongjin in the Korean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 Sea)

  • 양우헌;김성필;김대철;한주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00-210
    • /
    • 2016
  • 지음향 모델링은 퇴적층과 기반암의 해저 지층을 통해 전파되는 음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연구는 동해 한국대륙주변부의 정동진 해역에서 50 m 퇴적층 심도의 4개 지음향 모델을 구성하였다. 지층 모델은 고해상 에어건 탄성파 자료, SBP 자료, 퇴적물 코어에 근거한다. P파 속도는 신호투과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압전기 트랜스듀서의 공진 중심 주파수는 1 MHz를 유지하였다. 42개 P파 속도와 41개 음감쇠 측정이 세 개 코어 퇴적물에서 수행되었다. 실제 모델링을 위해, 모델의 P파 속도는 Hamilton 방법을 이용하여 해저면 아래 현장 심도 속도로 보정하였다. 연안 지층의 이 지음향 모델은 동해 정동진 해역에서 지음향 특성의 수직/수평 변화를 반영하는 지음향/수중음향 실험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가스함유 표층퇴적물의 3.5kHz 탄성파 영상 (3.5kHz seismic images of the gas-charged shallow sediment at Kwangyang Bay and the Yeosu S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오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239-246
    • /
    • 2000
  • The 3.5kHz sub-bottom profiling was carried out over both Gwangyang Bay and the Yeo Sound . High -resolution digital images of uppermost sediment layers are obtained from the field data which were originally recorded in analog mode. Most prominent feature along the acoustic profiles is the chaotic reflections which imply the presence of shallow gas within the silty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the gas-charged sediments are assoicated with the acoustic turbidity of the blanket type. Across the Seomjin Delta in the eastern part of Gwangyang Bay, the gas-charged seismic facies are observed just beneath the sea bottom. In the western Yeoul Sound , the gassy seiments occur widely , whereas it is rare in the eastern counterpart with the <30-m-deep channel. We postulate that this gas was biogenetically produced within the organic-rich depos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