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tangle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2초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7. 저분자 Alginate에 의한 랫드 분변의 성분 변화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l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7.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Fecal Composition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4-90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분변의 무게와 수분함량, 단백질과 지방함량, pH, VBN 및 단쇄지방산을 측정하여 소화생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랫드분변의 무게와 수분함량의 변화는 alginate에서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고, 다음으로 HAG-100, HAG-50이었으며 HAG-10은 투여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 분변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5\%$ HAG-50에서 가장 높았고, 그 소화율은 $5\%$$10\%$ HAG-50에서 유의적으로 현저히 저하하였다. 분변의 pH는 $5\%$$10\%$ HAG-50에서 급격하게 저하하였으나, $10\%$ HAG-100과 alginate에서는 오히려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VBN은 $10\%$ HAG-10, HAG-50 모두 그리고 $1\%$$5\%$ HAG-100에서 뚜렷한 저하를 보였으나, $10\%$ HAG-100 및 $5\%$$10\%$ alginate는 반대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단쇄지방산의 변화는 $5\%$$10\%$ HAG-50에서 n-butyric acid가 증가하였고,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는 반대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AG-50은 랫드 분변의 pH와 VBN을 현저히 저하시켰으며, 단쇄지방산중 n-butyric acid를 증가시키고 propionic acid와 acetic acid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므로, 랫드의 소화생리특성을 개선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저분자 alginate라고 사료된다.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6. 랫드 분변의 장내균총의 변화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6.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fecal Microflora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83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분변중의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를 관찰하여 소화생리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최적의 저분자 alginate를 찾고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n vitro에 있어서 대표적인 장내세균에 의한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기질이용성을 조사한 결과, Bacteroides ovatus는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Megamonss hypemegas는 약간의 증식하였으나, 그 외의 대부분의 균주는 기질로써의 이용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분변중 장내균총의 변화는 $10\%$ HAG-10, $1\%$, $5\%$$10\%$ HAG-50 그리고 $1\%$ alginate에서 Bindobacterium과 Lactobacillus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해미생물들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5\%$$10\%$ alginate에서는 반대로 유익균의 증식이 억제되고 유해균의 증식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분자 alginate는 대부분의 장내세균에 대한 기질로서의 이용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전형적인 식이섬유원이었으며, 또한 랫드에 있어서 HAG-50의 섭취는 alginate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내세균중 유익균인 Bifdobacterium과 Lactobacillus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미생물균총을 개선시키는 최적의 저분자 alginate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표고버섯을 이용한 조미료의 주요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Seasoning Using Lentinus edodes.)

  • 차월석;이명렬;조배식;박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29-833
    • /
    • 2004
  • 표고버섯(IfHDHHS efodes)조미료 중의 조성물질의 성분을 규명하고자 무기질, 구성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비타민 등을 분석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무기질은 Na가 5.04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K, Ca, p, Mg, fe, Zn, Mn, Cu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총 19종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고 인체에 필수한 9종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었으며, glutamic acid가 4.62%로 가장 많았었고 그 다음으로 glysine,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lysine, valine, prol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총함량은 41.78%였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은 20종으로 분석되었으며 glycine, glutamic acid, asparamine, proline, taurine과 aspartic acid, arginine, leucine, threonine과 serine phenylalan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총 함유량은 71.9 mg%이었으며 인체 필수아미노산의 총 함유량은 12.80%이었다. 비타민의 경우 괴혈병의 치료제로 많이 알려져 있는 vitamin C가 224.78 mg%로 가장 많고 판토텐산은 159.09 mg%, vitamin B6 15.08 mg%, 나이아신 3.19 mg%, vitamin E 1.51 mg%, 엽산 1.14 mg%, vitamin B$_{l}$ 1.10 mg%, vitamin B$_{2}$ 0.44 mg%, vitamin D$_{3}$ 0.28 mg%, vitamin A 0.15 mg%, vitamin B$_{12}$ 0.04 mg%, vitamin $K_{l}$ 이 0.02 mg%으로 비타민의 총 함유량은 506.82mg%이었다.다.

부산지역 생선횟집을 중심으로 생선 매운탕 소비실태 및 최적 조리법 확립 (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 김정선;조영제;이남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0-163
    • /
    • 2006
  • 1. 생선매운탕 소비실태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3%가 생선회 먹은 후 식사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횟집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선 매운탕의 맛은 집집마다 다르다고 응답하였으며, 얼큰한 맛을 응답자의 56%가 원하고 있었으며,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선 매운탕의 표준 조리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응답자의 89%가 인식하고 있었다. 2. 맛의 평가를 100점으로 가정할 때, 생선 매운탕 C는 $80.9{\pm}15.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D, B의 생선 매운탕은 각각 $75.7{\pm}17.1$, $75.7{\pm}17.2$로 나타났으며,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가 $61.8{\pm}22.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시원한 맛의 정도는 야채(콩나물, 양배추, 양파)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D 가 가장 시원한 맛이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 멸치+다시마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B, 생선뼈+머리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C 순서로 시원한 맛이 가장 좋다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9명, 13.73%). 감칠맛을 느끼는 순서는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 CBDA 순(134명, 47.2%)이 가장 많은 응답을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맛이 좋다고 느끼는 순서도 감칠맛 과 마찬가지로 CBDA순(109명, 37.2%)으로 나타났다. 3. 영양성분분석결과는 각 조리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기호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생선 매운탕 C 즉, 머리뼈 등의 잡뼈를 이용하여 육수를 만들고 매운탕으로 조리하는 조리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국장 분말 첨가식이가 당뇨 쥐의 혈당과 염증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ungkukjang Powder Supplements on the Regulation of Blood Glucose and Inflammation in Diabetic Rats)

  • 양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127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청국장의 가치를 평가하고자 대두, 약콩,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의 섭취가 STZ 유도 당뇨 쥐의 혈당 및 염증 관련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당뇨로 증가된 혈당은 약콩청국장 분말 45.5% 및 블랙푸드를 첨가하여 만든 약콩청국장 분말 50.0%을 섭취시킨 DY와 DYB군에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군에 비해서 당뇨군에서 인슐린 농도와 분비능은 낮은 반면에, 인슐린 저항성은 높았다. 그러나 약콩청국장 분말 45.5%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 50.0%의 공급으로 인슐린 농도와 분비능을 다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리지방산 농도는 C군에 비해서 DC군에서 높았으며, 당뇨 유도로 높아진 유리지방산은 대두청국장 분말 55.0%의 공급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 지표로 leptin의 농도는 C군에 비해서 인슐린 분비량이 낮은 당뇨를 유도한 모든 군에서 leptin의 농도가 낮았으며 청국장 분말의 공급 유무나 형태가 당뇨 유도군의 leptin 분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 다른 지표로 adiponectin의 농도는 C군에 비해 당뇨 유도군들에서 낮았으며, 청국장 분말의 공급 유무 및 형태에 따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혈당 농도와 관련된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HOME-IR과 adiponectin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인슐린 농도는 HOME-${\beta}$ 및 leptin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인슐린 농도는 leptin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adiponectin 농도와는 음의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leptin과 adiponectin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당뇨 유도로 혈당과 인슐린 저항성은 높고 인슐린 분비능, leptin 및 adiponectin 농도는 낮았다, 그러나 혈당과 인슐린저항성 및 분비능은 44.5%의 약콩이나 50.0%의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분말 식이의 공급으로 다소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약콩 및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이 향후 당뇨 환자의 관리와 합병증 예방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 식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간 기능과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eonggukjang Powder Made with Black Foods on Liver Function and Lipid Composition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현숙;양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9-707
    • /
    • 2013
  • 본 연구는 대두청국장, 약콩청국장 및 흑미, 흑임자, 다시마와 같은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이 STZ으로 유도된 당뇨 쥐의 간 기능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후, 당뇨병과 같은 생활 습관병의 예방과 합병증을 낮추기 위한 식이요법으로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식이 섭취에 대한 근거 자료를 마련 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군으로는 정상식이군(Control), 당뇨 정상식이군(Diabetic), 당뇨 대두청국장 식이군(DSC), 당뇨 약콩청국장 식이군(DYC), 그리고 당뇨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식이군(DYCB)로 나누어 7주간 실험식이를 공급 한 후 혈청과 간 조직 내 간 기능 지표 및 지질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의 일일 체중 증가량과 사료효율이 감소되었으며, 이때 식이로 공급한 청국장식이 공급은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GOT와 GPT 활성 모두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청국장식이 공급으로 높아진 활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총 빌리루빈 함량은 역시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약콩청국장 및 블랙푸드가 첨가된 약콩청국장 식이의 공급으로 낮출수 있었다. 또한 정상 쥐에 비해 당뇨 쥐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고지혈 증상과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가 증가된 반면에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청국장식이 공급으로 다소 호전된 결과를 얻었다. 특히 간 조직 내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 조절은 대두 청국장에 비해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콩청국장과 블랙푸드를 첨가한 약콩청국장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당뇨에 의해 유발 될 수 있는 간 기능, 고지혈증 그리고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위험지수 개선에 블랙푸드로 만든 청국장분말 식이 섭취가 다소 도움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4. $HCl{\cdot}ethanol$용액과 침수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랫드 위궤양의 억제효과-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Heating Hydrolysis -4. Inhibition Effects of Acute Gastritis Induced by $HCl{\cdot}ethanol$ Solution and Gastric Ulcer Induced-)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20-523
    • /
    • 2000
  • Alginate를 가열에 의해 저분자화하여 저분자화에 따른 위점막 보호작용을 검토하기 위해 랫드에 있어서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투여 가 $HCl{\cdot}ethanol$ 용액과 침수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위손상과 위궤양의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현미경으로 점막의 형태를 관찰하면서 그 억제율과 조직학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HCl{\cdot}ethanol$ 용액과 침수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위손상과 위궤양에 대한 억제효과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그 억제효과는 alginate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50과 HAG-100 및 HAG-10의 순으로 HAG-50, HAG-100 및 alginate에서 현저한 효과를 보였으나, HAG-10은 아무런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위손상과 위궤양점막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 볼 때, 대조군과 HAG-10에서는 위점막 전체에 걸친 출혈과 부식에 의한 응고괴사가 진행되었고 점막 (粘膜)과 점막근판 (粘膜筋板) 및 근육층 (筋肉層)에 부종의 발생과 조직의 파괴가 일어났으나 HAG-50, HAG-100 및 alginate에서는 가벼운 병변이 진행되어 위점막층에 약간의 출혈만 관찰되어 위손상억제 및 위궤양 억제효과를 뚜렷히 나타내었다.

  • PDF

참치 자숙액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건강 기능성 조미 소스의 제조 (Preparation of Functional Seasoning Sauce Using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kipjack Tuna Cooking Drip)

  • 오현석;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66-772
    • /
    • 2007
  • 참치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건강 기능성이 고려된 참치 자숙액 조미 소스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그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참치 조미 소스는 단백질이 11.8%로 시판 조미 소스의 약 2배에 해당하였고, pH, brix 및 염도는 각각 $577,348^{\circ}$ 및 11.9%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참치 조미 소스는 시판 조미 소스에 비하여 맛, 냄새 및 색조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ACE 저해능은 참치 조미 소스가 시판 조미 소스(9.9 mg/mL)에 비하여 37% 정도 높았고, 항산화능은 20 mM ascorbic acid에 비하여는 약하였으나 인지는 되었다. 참치 조미 소스는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1,905.2 mg/100 mL로 시판 조미 소스(712.7 mg/100 mL)에 비하여 약 2.7배 높았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glutamic acid, histidine 및 anserine이었다. 참치 조미 소스는 total taste value가 58.65로 시판 조미 소스의 34.30에 비하여 맛의 강도가 훨씬 강하리라 추정되었고, 맛에 크게 기여하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및 histidine 등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참치 조미 소스가 10,965 mg/100 mL로 시판 조미 소스의 4,818 mg/100 mL에 비하여 높았고, 참치 조미 소스의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proline, histidine 및 glycine 등이었다. 참치 조미 소스의 섭취에 의한 무기질 강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리라 판단되었다.

선식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sakazakii의 복합동정 및 RAPD를 이용한 genotyping (Multiple Confirmation and RAPD-genotyping of Enterobacter sakazakii Isolated from Sunsik)

  • 최재원;김윤지;이종경;김영호;권기성;황인균;오세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01-105
    • /
    • 2008
  • 시판되고 있는 선식 원료를 수거하여 최근 새로운 식중독균으로 보고되고 있는 Enterobacter sakazakii 분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3종의 선식 원료 중 8개의 선식 원료에서 E.sakazakii로 추정되는 콜로니를 분리할 수 있었으며 API 20E kit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동정한 결과, 다시마 분말, 멸치 분말, 현미 분말, 청국장 분말 및 멥쌀 분말에서 E. sakazakii를 분리할 수 있었다. 이후 3 종의 primer를 이용한 PCR을 실시하여 2차적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에 대한 RAPD-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8종의 분리균으로 molecular typing을 할 수 있었다.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찬물류(饌物類)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정낙원;조신호;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1-748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 kinds and names of side dishes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side dishes were classified 79 kinds of Guk, 23 kinds of Jjim and Seon, 15 kinds of Gui, 3 kinds of Jeon, 7 kinds of Nureumi, 3 kinds of Bokkeum, 30 kinds of Chae, 11 kinds of Hoe, 7 kinds of Jwaban, 6 kinds of Mareunchan, 12 kinds of Pyeonyuk and 5 kinds of Jeonyak, Jokpyeon and Sundae. The earliest records were found on Guk, Jjim, Jwaban, Po and Pyeonyuk Gui, Namul and Hoe were recorded after the 1500's and Nureumi, Jeon, Jeonyak, Jokpyeon and Sundae were developed relatively late in the late 17th century. As to the kinds of side dishes, Guk was the most common. Guks cooked before the 17th century used different recipes and more types of ingredients than today, including some that are not used today. For Jjim, various seasonings were added to main ingredients such as poultry, meat, seafood and vegetable. Most of the records found for Jjim used chicken as the main ingredient. Gui was recorded as Jeok or Gui and there weren't many ingredients for Gui before the 17th century. Gui was usually seasoned with salt or soy bean sauce and broiled after applying oil. Vegetables were broiled after a applying flour-based sauce. The Jeon cooked at that time wa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is cooked today in that cow organs or sparrows were soaked in oily soy bean sauce before being stewed. Nureumi, which was popular in the 17th century, but rarely made today, was a recipe consisting of adding a flour or starch-based sauce to stewed or broiled main ingredients. Chae was a side dish prepared with edible plants, tree sprouts or leaves. Chaes like Donga and Doraji were colored with Mandrami or Muroo. Hoe was a boiled Hoe and served after boiling seafood. Jwaban was cooked by applying oil to and then broiling sparrows, dudeok, and mushrooms that had been seasoned and dried. For dried Chans, beef or fish was thin-sliced, seasoned and dried or sea tangle was broiled with pine nuts juice. There are some recipes from the 17th century whose names are gone or the recipes or ingredients have changed. Thus we must to try to rebuild three recipes and develop recipes using our own foods of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