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ed seed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5초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한국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Korean Barley (Hordeum vulgare L.)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권용삼;홍지화;최근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2-329
    • /
    • 2011
  • 국내 육성된 보리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icrosatellite marker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리 70품종을 20개의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대립유전자의 수는 2~9개로 비교적 다양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체 124개의 대립유전자가 분석되었다. PIC 값은 0.498~0.882 범위에 속하였으며 평균값은 0.734로 나타났다.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작성된 보리70품종의 품종간 유전적 거리는 0.10~0.91의 범위로 나타났고, 유사도 지수 0.15를 기준으로 할 때 70개 품종은 2조 보리 그룹과 6조 보리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공시 품종 모두 microsatellite marker의 genotype에 의해 뚜렷이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보리의 유전적 다양성 및 품종식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탈지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제조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에의 활용 (Prepar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defatted perilla seed residue and its application to Leuconostoc mesenteroides cultivation)

  • 신영섭;이태정;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97-1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들깨(Perilla frutescens)박으로부터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를 선별하여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하였다. Alcalase와 Ceremix의 동시 처리가 들깨박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가용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들깨박 중량의 2% (w/w), pH는 7.0,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에서 들깨박을 Alcalase와 Ceremix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 라디칼과 양이온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확인한 결과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젖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들깨박 효소분해물에서 배양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생육과 산의 생성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들깨박 효소분해물은 항산화 생리활성 소재로서뿐만 아니라 유산균 배양 배지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병풍쌈의 종자 및 임분별 생장 특성 (Seed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Kom. and Its Growth Comparison among Forest Stands)

  • 박완근;김영설;이학봉;김유신;김남준;김남영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3호
    • /
    • pp.219-223
    • /
    • 2010
  •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wild vegetation are sort of improving fitness. Many peoples are now ingesting them instead of the vegetables that are grown in green house. In this regard, Parasenecio firmus,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are species in Korea, has been given a lot of attentions as edible green plants recently. Hence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the information people who want to commercially cultivate the plants. Regarding appropriate forest stands that are fit for the cultivation. Firstly, we collected the seeds from 4 natural habitats to find out how many seeds are fully matured in the natural conditions. The quality of the seeds collected were found to be very low. However, it appeared as clear differences when screened seeds were grown in covered seed beds over winter. In this case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eeds was 95%, indicating that there may be no difficulty for mass production of plantlets. Secondly, in the field of planting test in an appropriate cultivating site among 6 of forest stands, those in Pinus koraiensis stand were the highest in survival rate, but somewhat low with those in Quercus mongolica and broad-leaved stands. Thus, it was demonstrated that forest stands dominated with conifer like P. koraiensis are more appropriate for the cultivation of P. firum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from Chinese Cabbage and Their Effect on Growth and Phosphorus Utilization of Plants

  • Poonguzhali, Selvaraj;Madhaiyan, Munusamy;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73-777
    • /
    • 2008
  •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PSB) were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Chinese cabbage and screened on the basis of their solubilization of inorganic tricalcium phosphate in liquid cultures. Ten strains that had higher solubilization potential were selected, and they also produced indole-3-acetic acid,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aminase, and siderophores. The strains were identified to be members of Pseudomonas,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Seed bacterization with PSB strains increased the root elongation and biomass of Chinese cabbage in seedling culture, although they had no effect on phosphorus uptake of plants. The plant growth promotion by PSB in this study could be due to the production of phytohormones or mechanisms other than phosphate solubilization, since they had no effect on P nutrition.

Enhancing Resistance of Red Pepper to Phytophthora Blight Diseases by Seed Treatment with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 M. Rajkumar;Lee, Kui-Jae;Lee, Wang-Hy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5.1-95
    • /
    • 2003
  •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have been shown to suppress phytopthora blight. This suppression has been related to both microbial antagonism and induced resistance. The PGPR isolates were screened by dual culture plate method and most of the isolates were showed varying levels of antagonism. Among the PGPR isolates pyoverdin, pyochelin and salicylic acid producing strains showed the maximum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of Phytopkhora capsici and increased plant growth promotion in red pepper. PGPR isolates further analysed for its ability to induce production of defence related enzymes and chemicals. The activities such as Phenyle alanin ammonia Iyase (PAL), Peroxidase (PO), Polyphenol oxidase (PPO) and accumulation of phenolics were observed in PGPR pretreated red pepper plants challenged with Phytopkhora capsici.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an addition of direct antagonism and plant growth promotion, induction of defense related enzymes involved to enhance resistance against invasion of P. capsici in red pepper.

  • PDF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Organic Acids in Seed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and Lindera obtusiloba.

  • Kim, Kyoung-Rae;Dong, Suk-Won;Kim, Jung-Han;Sim, Kyoung-Ku;Ha, Yu-M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9-169
    • /
    • 1996
  • Seed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and Lindera obtusiloba were screened for organic acids. Free organic acids were solid-phase extracted using Chromosorb P from aqueous extract of the seed powder. Organic acids were then converted to tert.-buthldimethylsilyl derivatives with subsequent analysis by dual-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ore than twenty organic aci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 PDF

Hybrid Breeding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Using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s Combined with Phytophythora Resistance in Korea

  • Lee, Jang-Soo;Kang, Kwon-Kyoo;Hirata, Yutaka;Nou, Ill-Sup;Thanh, Vo-Cong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27-135
    • /
    • 2004
  • We characterized the resistances such as to waterlogging, Phytophythora and viruses in hybrids between Italian and Korean mother lines and screened them for complex resistances and agronomic traits to select elite multi-resistant lines for hybrid breeding. Resistance to waterlogging was selectable due to diversity of the resistance. Phytophythora resistance introduced from Italian lines could also be combined with resistance to other diseases and restoration abilities from cytoplasmic male sterility that has been maintained in Korean varieties.

  • PDF

웅성불임 인자를 이용한 갓(Brassica juncea L. Czern)의 F1 육종 (Breeding of F1 Hybrid for Oriental Mustard(Brassica juncea L. Czern) Using the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

  • 박용주;민병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27-36
    • /
    • 2018
  • 김치가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되어 세계인의 주목을 받게 되면서 갓의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갓품종의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품종보급 체계가 미흡하여 자가 채종에 의한 자식약세현상, 순도저하, 상품의 불균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갓의 F1 품종 육성체제를 갖추기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수집한 갓의 순계분리와 자식계통의 육성, 웅성불임인자의 도입을 통하여 고품질의 갓을 육성하기 위하여 각 조합을 공시하여 조합능력을 검정하고(인도자사이${\times}$고흥담양)조합과 (분리 MS 유기계-MS910${\times}$일본 적자색갓 8${\times}$강화갓 9) 분리계 조합이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양친으로 선발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과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CMS type을 확인해 본 결과, MS계통 MSLS와 MSLC는 갓에서 보고된 orf263, orf220 및 orf288 CMS 유전자를 미토콘드리아 DNA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생산력검정 및 농가 실증시험을 실시하였다.

국산 발효식품 추출물과 발효식품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벼 종자전염성 진균병 방제 (Effect of Korean Fermented Food Extracts and Bacteria Isolated from the Extracts for the Control of Rice Seed-borne Fungal Diseases)

  • 김용기;홍성준;심창기;김민정;이민호;박종호;한은정;최은정;배수일;지형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3-395
    • /
    • 2014
  • 국내산 9개 작물 51품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종자오염 실태 및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참깨와 벼 종자의 오 염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벼 종자전염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용미생물을 함유하는 김치, 고추장, 된 장, 간장, 막걸리 및 토하젓을 채집하여 식품 추출물 조제하고 종자전염성병원균에 대한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추 가로 식품유래 미생물의 벼 종자전염성 병해 억제효과를 in vitro 및 in vivo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40개 식품추출 물 중 11개 식품추출물을 샤레 상에 처리하였을 때 유묘썩음증상을 50~79%까지 감소시켰고, 5개 식품추출물 처리 는 온실조건에서 건전묘율을 8~33%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식품 40제품으로부터 얻은 218종의 발효미생 물 중 43균주는 7종의 종자전염성 병원균에 대하여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선발된 43균주의 종자소독효과를 검정 한 결과, 32균주가 병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2균주 중 17균주는 모썩음증상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켜 건전주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15균주도 Kc 4-2와 Mkl 2-2균주를 제외하고는 지상부 출현율 및 건전묘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6S r-DNA region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in vitro 및 in vivo에서 항균활 성 및 종자소독 효과를 보인 식품유래 유용미생물 30종에 대한 동정을 수행하였다. 그 중 21균주는 Bacillus 속 세균 으로, 막걸리로부터 분리된 3균주는 Saccharomyces 속 효모로 동정되었다. B. amyloliquifaciens는 간장을 제외한 6 개 식품에서 분리되었으며, 고추장 및 젓갈에서 분리된 우수 항균활성 보유균주는 대부분 B. amyloliquifaciens인 것 으로 나타났다. 김치에서는 B. subtilis, B. pumilus 및 B. amyloliquificiens 등 다양한 Bacillus 속 세균이 분리되었다. 이상의 선발된 발효식품유래 유용미생물은 in vitro와 온실조건에서 종자전염성병 방제에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 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산 발효식품 추출물 및 발효식품 유래 미생물은 벼 종자소독용 방제제로서 사 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종자전염병 억제를 위한 항균성 약용식물탐색 (Screening of Medicinal Plants with Antifungal Activity on Major Seedborne Disease)

  • 백수봉;정일민;도은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7-285
    • /
    • 1998
  • 50종의 약용식물 추출액을 공시하여 생체외(in vitro) 및 생체내 (in vivo)에서 몇 가지 주요 종자전염성병 억제를 위한 항균활성식물을 선발하고 선발된 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공시된 50종의 약용식물추출액을 공시병원균(벼도열병균, 참깨검은무늬병균, 고추탄저병균, 무·배추검은무늬병균)을 접종한 종자에 대한 항균활성을 습지법과 물한천법으로 정정한 결과 마늘, 주목, 대황, 무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 항균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 1차 선발된 식물추출액을 종자에 희석 처리하여 감자한천법으로 검정한 결과, 마늘 추출액이 10배에서도 항균활성을 보였고 종자침적 시간에 따른 효과를 보면 긴 시간 침적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종자침적온도에 따른 항균효과를 보면 $25^{\circ}C$ 처리가 대체적으로 우수했다. 다) 식물 추출액의 종자발아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마늘 추출액의 경우 무처리에 비하여 종자발아에 차이가 없었고 초기생육은 오히려 양호하였다. 주목의 추출액은 무와 배추에서 약간의 영향이 있었고 우슬, 감초, 달맞이꽃 등에서는 종자 발아 및 초기 생육을 심하게 저해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