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atch

검색결과 843건 처리시간 0.03초

컴퓨팅 사고 프레임워크 기반 방과후 스크래치 팀프로젝트 경험의 분석 (Computational Thinking Framework-based Analysis of Afterschool Scratch Team Project Experiences)

  • 최형신;정인기;소효정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549-5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후 소프트웨어 교육으로 진행된 스크래치 수업에서 학생들의 팀 프로젝트 경험을 분석하고 향후 방과후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학기 동안 초등학교 방과후 수업으로 12주차 스크래치 수업을 설계하고 2인 1팀으로 팀을 구성하여 스크래치로 프로젝트를 기획 및 구현해서 발표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팀을 선정하여 산출물 기반 인터뷰(Artifact-based Interview)를 수행하고 방과 후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경험을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개념, 수행, 관점에 초점을 둔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와 실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구 측면에서는 컴퓨팅 사고 프레임워크를 소프트웨어 교육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이며, 실천적 측면에서는 도출된 학생들의 경험의 질적 분석 자료가 향후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의 내용 및 평가방법 설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다.

초등 EPL교육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적용 분석 (Applicaton and Analysis of Scratch Programing for elementary EPL Education)

  • 이미현;구덕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43-249
    • /
    • 2010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초등학교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나 여러 현실적인 제약으로 인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초등 프로그래밍 교육은 EPL로 실시하는게 적합하며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은 개발된지 얼마되지 않았으나 쉬운 인터페이스와 블록을 활용한 구문작성, 멀티미디어적인 요소가 들어있는 결과물을 작성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초등프로그래밍 교육에 적합하다.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1학기 12주간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지도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의 지도안과 교육방법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창의성과 논리성을 향상시키며 과학적 태도를 함양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초등EPL교육을 위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은 효과적이며 지도할 때 학생들의 선행지식이나 남녀의 흥미도에 의해서도 학업 성취의 편차가 있으므로 수준별 개별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결과물의 제작에 앞서 충분한 사고와 토의할 시간을 주어 프로그래밍 교육의 목적을 살리도록 해야할 것이다.

  • PDF

PDMS계 첨가제와 Grain pattern에 따른 PP Compound의 내스크래치성 연구 (A Study on the Scratch Resistance by Additives of PDMS and Grain Pattern)

  • 이용희;남병욱;임재곤;최치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3권3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polypropylene 복합재료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스크래치성 개선을 위하여 PP의 분자량이 다른 두 종류의 PDMS계 M/B를 제조하여 각각의 함량에 따른 기계적 물성과 내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더 좋은 물성을 보인 마스터배치를 선택하여 grain pattern에 따른 내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UTM과 편광현미경을 통하여 기계적 물성과 스크래치성을 평가 하였다. Color 3D laser Scanning microscope로 표면 grain pattern 형상을 관찰하였다. 마스터배치의 분자량과 함량에 따른 기계적 물성의 차이는 비교적 적은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내스크래치 평가에서는 고분자량의 M/B를 첨가함에 따라 내스크래치성이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ain pattern에 따른 스크래치 평가에서는 grain pattern이 깊이가 깊고 불규칙하며 그 형태도 크고, 둥근형일 때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초등학교 STEAM학습모형 (STEAM Learning Model in Elementary Schools by Applying SCRATCH Programming)

  • 문외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57-466
    • /
    • 2013
  • STEAM교육은 궁극적으로 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능력을 크게 신장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생들이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활용해 각 교과 내용을 STEAM학습 할 수 있도록 스크래치 소양교육과 교과적용 STEAM모형을 개발하였으며, 6학년 학생들에게 방과 후 수업 및 정규 수업시간에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로서, 모형적용 대상인 6학년생의 약 70%가 스크래치 프로그램을 교과에 적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STEAM학습을 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30%의 학생들도 스크래치로 일부 STEAM학습을 할 수 있었다. TEAM학습의 성취도 평가에서도 10점 만점에 전체 평균 7.83점을 얻어 평가대상 대부분의 학생들이 만족할 만한 성취수준을 얻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따라서, 스크래치를 활용한 STEAM학습 모형이 C, BASIC 등의 기존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는 것 보다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SW전공자 프로그래밍 입문 수업의 스크래치 활용 수업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utilizing Scratch for Introductory Programming Classes of SW-Major Students)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59-67
    • /
    • 2018
  • 프로그래밍 언어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핵심 교육 영역이지만 수학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력을 요구하고 있어 기초 학력이 낮은 많은 수의 지방 사립대나 전문대 학생들 - 심지어 SW전공 학생들에게도 매우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문제로 인해 SW전공 학생이 프로그래밍 언어 입문 수업 도중 전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잃고 전공을 변경하거나 학업 자체를 포기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입문 언어인 C언어 교육에 스크래치를 활용하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C언어가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개념들 중 스크래치로 교육 가능한 개념들을 분석하고 스크래치 실습 예제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 개념에 대해서 먼저 스크래치의 구현 방식 교육과 실습 예제들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C언어를 교육하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고, 모 지방 사립대의 SW전공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본 수업 모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이 보안 관련 IT 전공자들에게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가 그들의 프로그래밍 언어 입문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스크래치 전자 블록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Programming education using Scratch electronic blocks)

  • 조윤주;전석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29-537
    • /
    • 2020
  • 스크래치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도구로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스크래치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그러나 스크래치 사용자의 연령 통계 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스크래치 활용도가 낮았으며 블록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고학년 학생들도 프로그래밍의 기본 원리인 순차, 반복, 선택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으로 만지면서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수 있는 스크래치 전자 블록과 전자 블록 활용 프로그래밍 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2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전·후 프로그래밍에 대한 흥미도 검사를 진행한 결과 2학년 학생들의 흥미도는 3.28에서 3.58로 향상되었으며 6학년 학생들의 흥미도는 3.41에서 4.09로 증가하였다. 프로그래밍 기본 원리 이해 평가 결과 2학년 학생들 중 84%의 학생들이 주어진 과제 9개 중 7개 이상을 해결하였으며 6학년 학생들 중 62%이상의 학생들의 주어진 과제 9개 중 7개 이상을 해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