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nia rot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4초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포도나무 균핵병 발생 (Sclerotinia Shoot Rot of Grapevine (Vitis spp.)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n Korea)

  • 박종한;한경숙;한유경;이중섭;김대현;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61
    • /
    • 2009
  • 경기도 가평과 강원도 영월에서 포도나무 가지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시들어 죽는 증상을 관할하고 병원균을 분리였다. 병원균의 균총은 PDA 배지에서 처음에는 무색이었으나 배양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흰색을 거쳐 연한 초콜릿색을 나타내었다.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이었으며, 균핵을 멸균한 모래의 1~2 cm 깊이에 매몰하고 $20^{\circ}C$ 항온기에서 90일간 배양하여 자낭반 형성을 유도하였다. 자낭반은 자루가 가늘고 긴 컵 모양의 황갈색이었고 원통형의 수많은 자낭이 존재하였으며 자낭 안에서는 무색, 타원형이며 단세포로 된 8개의 자낭포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자낭포자의 크기는 $8.2{\sim}24.4{\times}3.6{\sim}7.2{\mu}m$ 정도였다. 병원성을 확인한 결과, 캠벨얼리와 거봉 품종 모두에서 병원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캠벨얼리 품종이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포도나무에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 검정 결과, 병원균을 Sclerotinia sclerotiorum (Lib.) de Bary으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포도나무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온실재배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ucurbitaceous Vegetable Crops in Greenhouses)

  • 김완규;조원대;지형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98-205
    • /
    • 1999
  •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국내 온실에서 재배중인 6종의 박과 채소작물에서의 균핵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메론, 오이, 동양호박 및 쥬키니호박에서 최고 $30{\sim}70%$로서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수박과 참의에서는 비교적 낮게 발생하였다. 균핵병의 병징은 전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에서 발생하였으며, 수박을 제의한 5종의 박과 채소작물의 과실,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의 잎자루 및 동양호박의 잎에서도 발생하였다. 병반에서는 총 126균주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주들은 모두 그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에 따라 Sclerotinia sclerotiorum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박과 채소작물의 줄기와 과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분리되었으며, 잎자루와 잎에서는 드물게 분리되었다. 6균주를 공시하여 병원성검정을 실시한 결과, 공시균주들은 일부 기주에 대한 병원력에 있어서 균주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6종의 전 박과 채소작물에 대해 모두 병원성을 나타냈다. 수박은 공시균주 들에 대해 가장 감수성인 반면에 참의는 가장 저항성이었다. 또한 메론과 오이는 공시균주들에 대해 비교적 감수성이었으며, 동양호박과 쥬키니호박은 비교적 저항성이었다.

  • PDF

오이 균핵병에 대한 몇 가지 살균제의 방제 효과와 살균제에 대한 균핵병균의 감수성 정도 조사 (The control effect of some fungicides against cucumber sclerotinia rot and the sensitivity of sclerotinia isolates to fungicides)

  • 김명옥;민지영;최우봉;강범관;박성우;최경자;박창식;조광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9-436
    • /
    • 2005
  • 오이에 균핵병을 일으키는 Sclerotinia sclerotiorum은 $25^{\circ}C$에서 균사의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며, 병원성 실험을 위해 오이 열매를 이용한 실내 검정 실험의 경우 동일한 온도에서 병원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한 모든 Sclerotinia sclerotiorum 균주는 오이 절편 접종법과 상처 접종법을 사용한 실내 검정에서 모두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지만, 오이 절편 접종법의 경우는 상처 접종법과는 다르게, 균주와 환경, 처리한 살균제 간에 차이를 볼 수 없을 정도로 병원성이 강하여 실내 검정법으로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오이 절편접종법과 상처접종법을 사용하여 dichlofluanid와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의 병 발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오이 절편접종법에서는 500과 $3.0{\mu}g/mL$의 처리구에서 14.3과 42.8%의 낮은 효과를 보였지만, 상처 접종법에서는 동일한 농도에서 100와 92.5%의 우수한 발병 억제 효과를 보였다. 두 살균제는 포장에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였는데, $100{\mu}g/mL$의 혼합제와 $825{\mu}g/mL$의 dichlofluanid는 병 발생 억제 효과가 각각 91.1과 82.9%이었다. 충남 연기 지역의 오이 시설 재배지에서 분리한 37개의 S. sclerotioum 균주는 7가지의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균주들의 평균 EC50값을 구하였는데, fenhexamid는 $0.13{\mu}g/mL$, 병원균의 세포막에서 과산화반응을 일으켜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rocymidon과 iprodione은 0.18과 $0.24{\mu}g/mL$, Tubulin 단백질의 중합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된 carbendazim과 carbendazim과 diethofencarb의 혼합제는 0.13과 $0.05{\mu}g/mL$, 보호용 살균제로 알려진 iminoctadine과 dichlofluanid는 평균 $EC_{50}$ 값이 1.94와 $8.95{\mu}g/mL$이었다. 특별히 dichlofluanid의 경우는 $EC_{50}$값의 범위가 0.001에서 $21.54{\mu}g/mL$ 사이의 넓은 범위에 분포하였지만, 포장에서의 사용 농도가 $1,650{\mu}g/mL$인 것을 감안한다면 저항성균의 출현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충북의 연기 지역에서는 7가지 살균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균핵병균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Biological control efficacy on Sclerotinia rot(Sclerotinia sclerotiorum) by the use of antifungal agent some Bacillus sp.

  • Hong, Yeon-Kyu;Lee, Bong-Choon;Shin, Dong-Beom;Hyun, Jong-Nae;Kang, Hang-Won;Park, Sung-Tae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6-107
    • /
    • 2003
  • The effect of biological control agent Bacillus sp. (BAC03-3-1, BAC03-3-2, BAC02-4) on pre- and postemergence Sclerotinia rot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was determined from greenhouse field trials. The ability of this antagonist to reduce germination of sclerotia of S. sclerotiorum was also evaluated. In the greenhouse, suspension of BAC03-3-1 application as root drench of perilla, which provided as little as 10$\^$7/ cells/ $m\ell$ per gram of soil,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stand in pathogen-infested soil over that in the untreated control. All three isolates reduced the germination of sclerotia of S. sclerotiorum in loamy sand soils in the greenhouse. In loamy sand amended with rice bran the sclerotial germination was inversely correlated (r = -0.79) with perilla stand in the greenhouse. However, a higher rate of bacterial suspension with rice bran(Ig dwt./100g soil) than that applied with bacterial suspensions only was necessary to achieve a comparable reduction in sclerotial germination. In field study, all three isolates added to soil to provide 10$\^$7/ cells/$m\ell$ per gram significantly prevented Sclerotinia rot (73-85%) after 35 days of growth. The isolate BAC02-4, BAC03-3-1 and BAC03-3-2 gave final stands of 65 to 75, 60 to 70, and 55 to 60%, respectively. The addition of rice bran(1 %) to loamy sand in the field resulted in a 10-fold increase in propagule numbers of the three isolates within 10 days of application.

  • PDF

Bacillus subtilis C4와 B. cereus D8에 의한 유채의 생육증대 및 무름병과 균핵병 방제효과 (Effect of Bacillus subtilis C4 and B. cereus D8 on Plant Growth of Canola and Controlling Activity Against Soft Rot and Stem Rot)

  • 이재은;이서현;박경수;박진우;박경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5-282
    • /
    • 2009
  • 선발된 PGPR 균주인 Bacillus subtilis C4와 Bacillus cereus D8 균주의 유채에 대한 생육촉진 및 무름병균인 Erwinia carotovora와 균핵병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실내검정과 온실검정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 결과, C4와 D8균주처리에 의하여 유채의 생육이 40.3%~74% 증가하였으며 무름병이 대조구에 비하여 80% 감소하였다. 실내검정에서 C4와 D8균주를 종자에 처리하였을 때 뿌리가 크게 신장되었다. 주요 식물병원균 Sclerotinia sclerotiorum, Rhizoctonia solani, Botrytis cinerea,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Colletotrichum acutatum에 대하여 항균활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두 균주 중 C4균주는 모든 병원성 곰팡이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온실검정에서 C4와D8균주처리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채의 초장, 엽폭 및 엽장을 19.5%~24.9%, 11.3%~15.3%, 14.1%~20.7% 각각 증가시켰으며 균핵병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C4, D8 균주 처리는 유채의 생육을 촉진시키며 유채에 저항성을 유도하므로 친환경생물방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의 상추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 S. minor) 균핵 발아에 대한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araconiothyrium minitans CM2 on Sclerotial Germina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S. minor Causing Sclerotinia Rot of Lettuce)

  • 이상엽;김완규;홍성기;원항연;박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135
    • /
    • 2011
  • 2종의 상추균핵병균(S. sclerotiorum, S. minor)에 기생성인 선발진균(CM2)의 형태적 및 분자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araconiothyrium minitans로 동정되었다. P. minitans CM2의 균사 배양조건은 pH 6.5로 조절한 PDA배지를 사용하고, $22^{\circ}C$에서 1일 12시간 주기의 근자외선광을 처리하여 배양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 minitans CM2의 분생포자현탁액을 상추균핵병균의 균핵에 처리하여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균핵의 직접발아와 자낭반 형성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Multiplex TaqMan qPCR Assay for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ree Sclerotinia Species

  • Dong Jae Lee;Jin A Lee;Dae-Han Chae;Hwi-Seo Jang;Young-Joon Choi;Dalsoo Kim
    • Mycobiology
    • /
    • 제50권5호
    • /
    • pp.382-388
    • /
    • 2022
  • White mold (or Sclerotinia stem rot), caused by Sclerotinia species, is a major air, soil, or seed-transmitted disease affecting numerous crops and wild plants. Microscopic or culture-based methods currently available for thei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are time-consuming, laborious, and often erroneous. Therefore, we developed a multiplex quantitative PCR (qPCR) assay for the discrimination,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DNA collected from each of the three economically relevant Sclerotinia species, namely, S. sclerotiorum, S. minor, and S. nivalis. TaqMan primer/probe combinations specific for each Sclerotinia species were designed based on the gene sequences encoding aspartyl protease. High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each probe were confirmed for sclerotium and soil samples, as well as pure cultures, using simplex and multiplex qPCRs. This multiplex assay could be helpful in detecting and quantifying specific species of Sclerotinia, and therefore, may be valuable for disease diagnosis, forecasting, and management.

Biocontrol Traits and Antagonistic Potential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NJZJSB3 Against Sclerotinia sclerotiorum, a Causal Agent of Canola Stem Rot

  • Wu, Yuncheng;Yuan, Jun;Raza, Waseem;Shen, Qirong;Huang, Qiw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0호
    • /
    • pp.1327-1336
    • /
    • 2014
  •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NJZJSB3 has shown antagonism of several phytopathogens in vitro, especially Sclerotinia sclerotiorum. Both the broth culture and cell suspension of strain NJZJSB3 could completely protect the detached leaves of canola (Brassica napus) from S. sclerotiorum infection. In pot experiments, the application of strain NJZJSB3 cell suspension ($10^8CFU/ml$) decreased the disease incidence by 83.3%, a result similar to commercially available fungicide (Dimetachl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biocontrol mechanisms of strain NJZJSB3, the nonvolatile antifungal compounds it produces were identified as iturin homologs using HPLC-ESI-MS. Antifung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detected volatiles toluene, phenol, and benzothiazole showed antifungal effects against S. sclerotiorum in chemical control experiments. Strain NJZJSB3 also produced biofilm, siderophores and cell-wall-degrading enzymes (protease and ${\beta}$-1,3-glucan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rain NJZJSB3 can be a tremendous potential agent for the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nia stem r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