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explanatio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4초

협력적 과학논의활동에서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상호작용과 개념변화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action and Conceptual Change in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 이미선;김효남;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16-23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actions shown conceptual changes in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Fifty six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Jeonju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en small groups consisting of five students each were organized evenly with considerations of their gender,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discussion experience and degree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Food web and Ecosystem' and 'Change of Moon shape' were selected as the proper topics of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erms of difficulty to be understanded by the $6^{th}$ graders. The small group's dialogue was recorded. The students' activity sheets, field note and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aspect of small groups' interaction shown conceptual change of each stu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interaction aspects of the small group of students who showed conceptual changes in the collaborative scientific discussion have a tendency of showing their discussion responses, explanation-opposition discourse, the use of rigorous criteria, their collaborative attitude and participation.

두 천문학자 집단의 논증과정 분석 (Analysis of an Argumentation between an Astronomers group and a Counter Astronomers group)

  • 이효녕;조현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2-411
    • /
    • 2010
  • 이 연구는 동일한 연구 방법으로 다른 결론을 내린 두 천문학자 집단 간의 논증과정을 분석하고 학교과학교육 현장에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동일한 관측 대상과 자료 처리 방법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르게 해석한 두 논문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이 두 논문의 쟁점은 결과의 해석과 설명, 그리고 관측된 자료의 신빙성에 관련되어 있다. 이 결과로부터, 과학적 설명의 정당화 과정과 실험 결과에 대한 신빙성 평가활동이 수반되는 과학적 논증활동이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공개동굴 지형지물의 명칭 및 설명문에 대한 문제점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Problem in the Names and Explanations of Cave Formations)

  • 홍현철
    • 동굴
    • /
    • 제87호
    • /
    • pp.23-33
    • /
    • 2008
  • 동굴 관광자원은 동굴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성격 등이 매우 다양한 구성원으로 되어 있으며, 동굴내부의 지형지물에 대한 명칭이나 설명문을 포함한 안내문은 동굴을 찾는 관광객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동굴지형지물에 대한 명칭 및 안내문에는 많은 오류를 비롯하여 관람객에게 혼동을 주거나 올바르지 않은 정보를 제공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전달의 매체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동굴 지형의 학술적 명칭보다는 지형지물의 형태에 따른 추상적인 명칭이 부여되고 있다. 2) 대부분의 지형지물에 대한 명칭만이 부여되어 학술적 설명문이 미약하여 정보 매체로서의 역할이 부족하다. 3) 설명문의 경우, 잘못된 표현이나 오류가 보이며, 학술적으로 논란이 있는 부분을 객관적이지 못한 설명이 되어있다.

수목학명(樹木學名)의 어원구명(語源究明) 및 외국명(外國名) 조사(調査)(제(第)2보(報)) (Etymological Explanation of the Scientific Names for Trees and the Foreign Names of Them(II))

  • 김정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3-61
    • /
    • 1976
  • Though it is not easy for those who study dendrology to memorize all the scientific names of trees, the names remaines in their memory can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foreign technical books. The scientific name of a tree indicates characteristics of shape, color, and other aspects of the tree and by analyzing the name we can see common element found in other scientific names of trees. It is helpful to those who want to memorize and study the scientific names of trees if they understand their etymology. The preseut study is the seconds report of the investigation which aims at examining the etymology of the scientific names of native and foreign trees growing in Korea and their original names not only at the habitat but in Japan, China, England, Germany, and France. While the first report, which was made known in Theses Vol. 9. (The City College of Seoul 1975), is the examination of the scientific names of trees belonging to Gymnospermae, the present report is that of scientific names of trees belonging to Piperales: 2 families, 2 genera and 2 species; and trees belonging to Salicales: 1 family, 3 genera, 44 species, 16 varieties, and 3 forms. As the etymology of the scientific names of trees is made clear, this study will help those who want memorize the scientific names and study foreign technical books and it is also useful for international interchange of trees. The classification is depended chiefly on Dendrology by Prof. Lee Tchang-bok and "Plant Resources of Korea" shown in Biblography No. 10; the native names of trees on Jumoku Daizusetsu by Dr. Uehara; and etymology on A source-Book of Biological Names and Terms by E.C. Jager. In the column of etymology of the scientific names for genera, species, varieties and forms, Gr. stands for Greek, L. for Latin, NL. for New Latin, and genit. for genitive.

  • PDF

유역 개념을 중심으로 한 탐구 기반의 물 환경교육 모형에 관한 연구: ENVISIO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with Watershed Concept: Focusing on the ENVISION Program)

  • 이두곤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3호
    • /
    • pp.150-164
    • /
    • 2006
  • This study reviewed a recently developed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ENVISION' and analyzed the value of the ENVISION program with environmental education(EE) perspective. Also this study proposed a prototype model of a inquiry-based water environmental education model with watershed concepts as a result of discussion of tills research. In the review of ENVISION, this research follow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Inquiry-Based EE' that was previously proposed by the author. The ENVISION was characterized in tills research as two directions: watershed and scientific inquiry. Tills research argued that the watershed concept has a potentially very good meaning in EE because watershed enables 'holistic' view in EE area, an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in ENVISION seeks evidence-based explanation about local watershe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belongs to the scientific inquiry, which is also 'Inquiry-Based EE' and has internal value under EE perspective.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d a prototype EE model that is about watershed concept, and is based on inquiry as general sense (scientific and insightful inquiries) and 'Environmental Studies for EE, (ESEE)' as the inquiry directions. The proposed model can be said a combination of the watershed concept and inquiry-based EE, and it seems that the model materializes better the EE nature than the ENVISION model.

  • PDF

훈민정음 음성학(I): 중성자(홀소리) 제자해에 대한 음성언어의학적 고찰 (Hunminjeongeum Phonetics (I): Phonetic and Phoniatric Consideration for Explanation of Designs of Middle Vowel Letters)

  • 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7-82
    • /
    • 2022
  • Hunminjeongeum was made by the Great King Sejong, and composed of 17 consonant and 11 vowel letters. All the 28 letters were made according to the shape of vocal organ or space at the point of articulation for each letters. This review article focused on phonetic and phoniatric consideration for explanation of the designs of the middle vowel letters, especially three main vowel letters [ • (天, heaven), ㅡ (地, earth), ㅣ (人, human)] using video-fluoroscopic evaluation as well as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etc. During articulating / • / sound, a ball-like space at frontal portion of the oral cavity was found, tongue was contracted, and sound was deep (舌縮而聲深). During /ㅡ/ sound, a flat air space between oral tongue and hard palate was created. Tongue was slightly contacted neither deep nor shallow (舌小縮而聲不深不淺). During /ㅣ/ sound, tongue was not contacted and Sound is light (舌不縮而聲淺). Tongue was moved forward making longitudinal oro-pharyngeal air space. So, I'd like to suggest that we had better change the explanation drawing from a philosophical modeling to a more scientific modeling from real vocal tract space modeling during articulating middle vowels of Hunminjeongeum.

설명대상에 따른 학생들의 진화 개념과 진화 개념 형성의 특성에 관한 횡단 연구 (A Cross-Sectional Study of Students' Conceptions on Evol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cept Formation about It in Terms of the Subjects: Human, Animals and Plants)

  • 하민수;이준기;차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13-825
    • /
    • 2006
  • 이 연구는 설명 대상에 따른 학생들의 진화 개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 동물, 식물의 소재에 따른 진화 개념과 연령별 진화 개념의 추이, 진화에 관한 인식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인간, 동물, 식물을 소재로 한 진화 개념 검사지와 진화에 관한 인식 검사지를 개발하여 8개 초 중 고 학교 1,540명에게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진화개념이 인간, 동물, 식물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은 목적론명이 많았으며 내부 의지와 용불용설이 적었다. 인간은 돌연변이 후 자연 선택이 적었다. 이것은 학생들의 진화 개념에 인간중심적 사고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목적론과 내부 의지가 감소하고 용불용설이 증가하였다. 또한 진화 개념의 다양도 지수가 고등학교로 갈수록 감소한다. 저학년일수록 목적론, 내부 의지, 용불용설을 고루 가지고 있다가 고학년으로 갈수록 용불용설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용불용설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획득되는 개념인 것이며, 학생들의 인지에 강하게 고착화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학생들은 진화가 약간의 증거가 있는 과학적 가설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진화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였다. 그리고 진화개념이 비형식적 교육매체를 통해 많이 형성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과학적 진화 개념의 형성을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의 인지구조에서 강하게 자리 잡고 있는 용불용설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진화 학습 소재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를 극복할 수 있는 소재를 시용하면서, 흥미 있으며 진화 증거에 대한 학생들의 신뢰가 높은 것을 활용해야 한다.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비교 (A Comparison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전성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49-164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특별한 교육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과 일반 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60명의 영재 학생과 69명의 일반 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을 의사소통의 유형과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의사소통의 유형은 '과학적 설명'과 '과학적 주장'으로 나누고 의사소통의 형태는 '글', '수', '표', '그림'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 학생의 전반적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은 일반 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영역별 결과에서는 '설명' 유형과 '그림' 형태의 차이를 제외한 영역의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영재학생이 일반학생보다 뛰어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유형과 형태의 상관관계에서 영재 학생은 '설명'과 '글', '정당화'와 '표'의 관계에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일반 학생의 경우 모든 유형과 형태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귀추전략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개념 이해와 초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nd Meta-cognition)

  • 김희연;강버들;유병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133-11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on the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nd meta-cognition. The subjects included two classes of sixth graders from K Elementary School in B Metropolitan City and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Research group was composed of 21 students(10 boys, 11 girls) and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21 students(11 boys, 10 girls). In order to achieve aims of this study, proper contents to apply abductive strategie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semester science curriculum for sixth graders. Also five-steps study papers were designed to elicit abductive reasoning. While the research group received 20 times of reframed science lessons using abductive strategies,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common science less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man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the scientific concept understanding.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earch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overall science sub-domain. In the process of hypothesis formulating, students tried to find out scientific causes thoroughly to present the optimal explanation and they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each scientific concept. It is thought that this process contributed to better understanding in scientific concepts. Second, science classes using abductive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meta-cogn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especially in monitoring that is one of sub-factors of meta-cognition. It indicates that hypothesis formulating process gave positive effect on meta-cognition by stimulating critical thinking and manifesting elaboration.

공기 압력에 대한 초등영재 학생들의 과학그리기 및 과학글쓰기에서 구성된 과학적 설명과 어포던스 분석 - 다중모드적 표상의 교육적 활용 - (Analysis of Scientific Explanations and the Affordances Constructed in 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ce Drawings and Science Writings about Air Pressure: Pedagogical Use of Multimodal Representations)

  • 장진아;박준형;박지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61-177
    • /
    • 2023
  • 과학적 설명은 글, 도식, 그래프와 같이 다양한 표상들로 구성되는데, 각 표상들은 하나의 '모드'로서 비슷하나 조금씩 다른 의미들을 연결하며 과학적 의미를 확장한다. 이러한 사회기호학의 관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구성한 과학글쓰기와 과학그리기가 각각 시각적 모드와 언어적 모드의 표상으로서 지니는 의미 형성의 특징을 파악하고, 다중모드적 표상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이 공기의 압력에 대해 구성한 과학그리기와 과학글쓰기 각 18편을 수집하고, 과학그리기와 과학글쓰기에서 구성된 설명의 특징을 어포던스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그리기에서 학생들은 시각적 모드가 지니는 어포던스를 통해, 공기입자의 움직임, 공기입자의 수, 입자의 충돌과 같은 입자적 관점에서의 변화를 구체화하여 추론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과학글쓰기에서 학생들은 언어적 모드가 지니는 어포던스를 통해, 공기 압력 개념과 다른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추상적 차원에서 추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모드가 가지는 고유한 어포던스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