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 models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5초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전략을 통한 교수지향 분석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Orientations toward Teaching Science 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 방은정;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74-289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교수전략을 분석하고, 이러한 전략을 사용하는 이유로 부터 교수지향을 분석하고, PCK의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PCK 모델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 경력 등이 다양한 3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반 구조화 된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얻은 자료로부터 연구대상 교사들의 교수전략의 유형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교수지향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교수전략을 사용한 이유로부터 교수내용지식의 다른 요소들인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수업을 통해 드러나는 실천적 교수전략은 내면화된 교수지향을 판단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며,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학습자에 대한 지식은 교수전략을 형성하는 근간이 되는 PCK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PCK 모델 개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eacher Professionalism by the Type of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2-602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의미를 정립하고 수업에서 드러난 과학과 PCK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다. 과학과 PCK 구성요소나 유형별 사례를 추출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수업 동영상, 수업분석 협의회 자료, 교사 면담 자료 등을 면밀히 교차 분석하였다. 이어서 교사별 또는 주제별 수업 사례들이 왜 과학을 가르치는 좋은 실천으로 간주되며, 실천의 어떤 측면이 그 수업을 다른 수업과 차별화하며 권장될 만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즉, 근저 이론(grounded theory)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1학년 빛 단원에 해당하는 수업들로, 세명의 과학교사들이 진행한 같은 주제의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여 과학과 PCK의 유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과학과 PCK 유형을 (1)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수업, (2) 주변 자연현상에 대한 학생 나름의 설명 모델을 만들어나가는 수업, (3) 과학이라는 사회적 언어 학습이 일어나는 수업, (4) 연계성을 기초로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수업, (5) 스캐폴딩을 제공하여 학습 수요를 낮추는 수업, (6) 학생 이해에서 출발하는 수업, (7) 논증을 통한 탐구가 있는 수업, (8) 추상적인 과학개념을 구체화하는 수업, (9) 소외되는 학생이 없는 과학 수업으로 분류하였다. 각 PCK 유형에 따라 교사 전문성의 특징을 고찰하고, 높은 수준의 PCK를 지닌 교사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 한옥영;김재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22
    • /
    • 2011
  •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알고리즘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수학 과학과 연계된 논리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알고리즘 교재 개발이 추진 중 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제시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나선형 모형으로 학습 진도를 진행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위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설계된 교수-학습 모형은 PBL과 자기주도학습 및 동료교수법의 혼합 모형이다. 제시된 모형에 근거하여 수학과 과학의 수업 예시를 구성하여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점진적 완성 개념도의 개발과 적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반응 -지구과학 I 지각변동 단원에의 적용 사례 - (Response of High School Students on Development of Gradually-Processing Completion Concept Map and It's Application - Case Study on 'Diastrophism in Earth Science I'-)

  • 조규성;조성호;김정빈;정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0-1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를 활용한 새로운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지구과학 I의 지각변동 단원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 수업 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개념도 작성 능력, 개념도 수업에 대한 태도 변화에 어떤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한 남자고등학교에서 2학년 학생 128명을 선정하여 실험 처치 후 수집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수업모형은 전통적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수업모형은 전통적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의 개념도 작성 능력과 개념도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과학사 활용 과학 윤리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Science Ethics Education with History of Science)

  • 신동희;신하윤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46-371
    • /
    • 2012
  • 본 연구는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 윤리 수업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수업과 적절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0권의 과학사 서적, 학술지, 논문, 신문자료 등에서 72개의 윤리 관련 사례를 추출했다. 과학사에서 윤리 관련 사례들은 연구 내용 위조, 연구 내용 조작, 실험 중 생명 윤리 침해, 표절과 도용, 부당한 공로 배분, 도를 넘어선 비방, 이데올로기와 결합, 사회적 책임 문제라는 총 8개의 소영역으로 범주화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사에서 윤리와 관련된 사례는 과학 연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가 가장 많았다. 그 중에서도 연구 내용 위조 사례가 가장 많았다. 둘째, 8개 소영역별로 하나씩 총 8개의 수업을 개발했다. 셋째, 개발한 수업의 공통점을 찾아 과학사 활용 과학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제안했다. 이 때, 과학 윤리수업 모형, 윤리 수업 모형, 역사 수업 모형 등 관련수업 모형들을 분석한 결과도 반영했다. '탐색-사례제시-문제 명료화-대안 탐색-정리'등 5단계의 흐름을 갖는 과학 윤리 사례 활용 과학사 수업 모형을 개발했다.

$7^{th}-12^{th}$ Grad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Science Teachers' Views on the Dissolution of Salt in a Liquid

  • Won, Jeong-Ae;Kang, Dae-Hun;Paik, Seoung-Hey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7-196
    • /
    • 2008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students in grades 7 through 12, student teachers enrolled in their senior year at teachers' colleges, and science teachers. Subjects were surveyed on their conceptions of phenomenon related with dissolution, saturation, and extraction. The models and analogies used by student teachers and science teachers to explain dissolution were sought. The highest percentage of students thought of dissolution as a phenomenon in which particles broke into the spaces between other particles. The models or analogies used by the highest percentage of science teachers were similar. They generally conceived of dissolution phenomenon through what we call the 'space conception'. A conception of dissolution phenomenon as 'hydration through attraction of solvent and solute' was held by more student teachers than science teache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however, according to their academic background. The percentage of teachers professing this view decreased when they attempted to explain the process of extraction of matter in a solution after other matter had dissolved or after the solution was cooled, indicating that the 'hydration' conception was not firmly established in the student teachers' cognition.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ceptions of dissolution as 'hydration' were transformed into the conceptions of dissolution as 'space' after teaching dissolution phenomenon as practicing teachers. This finding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er-training courses.

영재학생들의 사회과 학습의 역동성을 지원하는 협력교수 체제의 구안 (Construction of cooperative teaching system to support dynamics in gifted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 박해진;백순화;남율수;노경현;이수성
    • 영재교육연구
    • /
    • 제15권1호
    • /
    • pp.11-36
    • /
    • 2005
  •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과 교과지도 방법에 협력교수가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을 살펴보고, 사회과의 교수-학습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협력교수 방안과 실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것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여러 교육현장에서 이 개념에 근거한 방법적 적용들이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둘째, 협력교수의 관점에서 현재 과학영재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 교과의 교수-학습을 살펴보았다. 셋째, 현재의 교육과정과 주어진 여러 물리적.인적 여건을 고려하여 사회과의 협력교수 방안을 탐색하였다. 넷째, 협력교수의 한 방안으로 제시된 '세미나 수업'의 일부분을 시행하였다. 세미나의 대주제는 시사성이 있는 통합적 주제로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문제'였으며, 지리, 역사, 일반사회, 윤리 및 사상을 담당하는 교사와 희망한 학생들이 영역별 소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와 협력학습이 진행되었다. 다섯째, 세미나 준비와 발표등의 과정에서 교사-교사, 학생-학생, 교사-학생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있었고, 특히 교사들 간의 상호작용은 협력교수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사회과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사회현상에 대해 연구하는 방법을 익히고 동시에 사회현상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안목을 넓히게 되었다.

사서교사 교유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203
    • /
    • 2011
  •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자유탐구에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안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ng Method on Free Inquiry)

  • 김용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3-1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evaluating method on 'free inquiry'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2007 revised curriculum. The teaching-learning models which apply 'free inquiry' are 'group investigation', 'PBL', 'project investigation' and 'IIM'. And the unit which apply 'free inquiry' on the fourth grade and the second semester in the elementary sc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 leading the lesson is not a teacher but learners. The focus of teaching-learning is not a unit but topic, problem or project on the science textbook. A teacher's role is not the deliverer of knowledge but the guide of learning. Second, the outcome of applying group investigation, PBL project investigation and IIM to 'free inquiry' is improvements of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well as building scientific attitude and social skills as educational effect in commonly. Third, to apply 'free inquiry' efficiently, teachers should understand each subject very well, teach a class with a thorough and concrete plan, and try to evaluate objectively.

  • PDF

Renzulli 수학 영재 교수-학습 모형 적용에 관한 연구

  • 남영만;박동암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379-397
    • /
    • 2009
  • In this paper we apply to Renzulli'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Gifted students were very positive reaction in solving problems creatively using this program, and they were challenging and very confident performing new tasks. They reacted variously in debates with their classmates, in self-initiative studying. So more positive changes are needed for the activities using the gifted learning-teaching program to let each student have full use of his or her possibility and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