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struction of cooperative teaching system to support dynamics in gifted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Park, Hae-Jin (Pusan science high school)
Back, Sun-Hwa (Pusan science high school)
Nam, Youl-Soo (Pusan science high school)
Noh, Kyung-Hyun (Pusan science high school)
Lee, Su-Seong (Pusan science high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15, no.1, 2005 , pp. 1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Cooperative teaching emerged as one of the interesting topics on curriculum administr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in BSA(Busan Science Acade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o research on social studies learning with respect to cooperative teaching, and to develop the model of cooperative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urveyed both the concept of cooperative teaching in all aspects and the methodological application on cooperative teaching. Second, We searched all teaching-learning methods in BSA in terms of cooperative teaching. Third, We studied cooperative teaching system on social studies considering current environmental factors. Forth, We performed seminar class which is constructed as one of the cooperative teaching models. The topic of seminar was 'The distortion and falsification of Koguryeo history in China'. The participants of seminar were volunteer students and social studies teachers whose subjects were geography, history, social studies, and ethics. And the participants conducted the research and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eacher's subjects and subtopics. Fifth,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teacher, student and student, and teacher and student in the process of seminar preparation and publication were conducted very excitedly. Especially we foun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teaching by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Finally, students developed the mind-frame to participate in social studies learning actively, and learned the method to research social affairs for themselves, and extended the eyes to approach social affairs with different opinions.
Keywords
cooperative teaching; team teaching; cooperative teaching system on social studies; gifted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성익 외(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2 박은아(1996). 사회과에서의 통합교육과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녹우연구논집 제36집. pp. 107-129
3 이성은, 오은순, 성기옥(2002). 초중등 교실을 위한 새 교수법. 서울: 교육과학사
4 최유현(1997). 실과교육연구. 서울: 형설출판사
5 한형식(1996). 신나는 교실 즐거운 공부: 팀티칭. 새교실: 5학년용 5월호. pp. 22-31
6 부산과학고등학교(과학영재학교)편(2004). 과학영재학교 교육계획서
7 왕석순(2003). 실과교육에서 협동교수법의 실천적 적용방안 탐색. 실과교육연구 제 9집 1권. pp.113-128
8 김광휘(1996). 집단보상 방법과 협동기술 훈련이 학습능력이 상이한 학습자의 학 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9 김재복(1992). 대학의 교양교육과 통합교육과정.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 26권 1호. pp. 277-292
10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 지 제23권 1호. pp. 21-34
11 방명애(1999). 특수학급 아동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특수교육연구 제6집. pp. 171-187
12 신현기, 유장순(1999).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교수 모델의 유형 분석. 단국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과교육연구 제3호. pp. 169-200
13 변영계, 김광휘(2002). 협동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14 노상우(2003). 생태학적 담론의 교육학적 함의. 교육학연구 41집 1호. pp. 1-21
15 박정숙, 김대진(2000). 원어민 영어교사 팀티칭의 교육효과: 대체적 수업모형과의 비교실험. Foreign Language Education 제7집 1권. pp. 97-121
16 Bauwens, J., Hourcade, J., & Friend, M.(1989). Cooperative teaching: A Model for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integration.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35(4), 19-24
17 김성희(2002).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간학문적 접근과 협력교수. 가야대학교 논문집. 11권 pp. 163-187
18 Thousand, J., & Villa, R.(1990). Sharing expertise and responsibilities through teaching team. In W. Stainback & S. Stainback(Eds.), Support networks for inclusive schooling: Interdependent integrate education. Baltimore: Paul H. Brookes, pp. 151-166
19 김상호(1986). 대학교육에서 팀티칭 적용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교육문제연구소 논문집 제3집. pp. 23-35
20 전인진, 박승희(2001). 보조교사의 역할 규명과 순기능 및 역기능에 관한 고찰. 특수교육연구 제36권 3호. pp. 233-265
21 차조일(1998). 사회과 통합교육과정 모형에 대한 연구: 기존 논의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이론적 기반의 탐색. 시민교육연구 제27집. pp. 125-148
22 차경애(2000). 원어민 교수와의 공동협력수업을 통한 실용영어 교육. 한국외국어대 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외국어교육연구논집 14호. pp. 225-241
23 우리교육사(2004). 사회과 통합 오해를 넘어 진실을 묻는다. 중등 우리교육 11월 호. pp. 137-152
24 한기순(2001). 영재교육과정의 모형과 방향.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 제5 집 1호. pp.35-62
25 Onwuegbuzie, A.J., Collins, K. M.T., and Elbedour S.(2003). Aptitude by treatment interactions and Matthew Effect in graduate-level cooperative-learning group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4), pp. 217-230
26 김신혜, 곽병권(2002). 원어민 교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Foreign Language Education 제9집 3권. pp.211-241
27 홍미리, 이훈우, 성용구 공역(1998). 열린교육과 팀티칭-교실왕국으로부터의 탈피. 서울: 동문사
28 박은혜(2000). 통합교육의 한 방법론으로서의 협력교수: 개념과 실행에 관한 논의. 특수교육연구 제7집. pp. 47-66
29 진석언(2004) 영재아와 영재교육. 한국과학재단 한국영재학회편. 과학영재학교 신입교원연수 1단계 국내연수 자료집. pp 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