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

검색결과 3,521건 처리시간 0.033초

초등과학 수업에서 교사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최지은;김용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2호
    • /
    • pp.210-2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es of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To do these,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has been developed the Science Teacher Stress Inventory, which consisted of 45 stress factors with subcategories such a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120 teachers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have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tress from teacher characteristics is perceived as having more stress factors than five stress factors (student characteristics, teacher characteristics,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schoo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but all of the five stress factors was under normal. The detail question of stress such as 'Having to guide educational guidance and course in life education', 'Having to cope with the demand of new curricula', 'Pace of the school day is too fast', 'No time to attend training of the experiment (preliminary experiment)', 'Not enough time to complete lesson preparation and marking', 'Having to cope with non-teaching delegated duties', 'Fear of getting injured as a result of lab accidents' are perceived as having a lot of stresses. Secon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the course of high school.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 variables such as whether elementary subject exclusive science teacher, career in education experience, teaching grade. Third, coping ways of stresses are active support for better science teaching conditions, training of the experiment for expertise of science education, developing a workbook for science class.

과학 탐구 평가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Inquiry Activity in Science Curricula)

  • 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3
    • /
    • 1984
  • An inquiry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has been advocated by many science educators for the past few decades, and most elementary and secondary science curricula have incorporated it in varying degrees. It has been proven in recent studies, however, that there exists considerable discrepancy between the expectation of outcomes of the inquiry approach and the actuality. This in part implies that there is a somewhat urgent need for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approach in teach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rehensive instrument for evaluating inquiry teaching approaches embedded in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To develop a more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a set of empirical data was used in the developmental procedure, an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inquiry teaching method and inquiry evaluation were consulted. The inquiry evaluation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called the Scientific Inquiry Evaluation Inventory (SIEI), is composed of three parts: (1) analyzing and coding each science process task of inquiry activity; (2) evaluating each inquiry activity as a whole; and (3) evaluating each science laboratory curriculum as a whole. The first part of the instrument consists of twenty science process categories and thirty subcategories grouped into four sections: (1) gathering and organizing data; (2) interpreting and analyzing data; (3) synthesizing results and evaluation; and (4) hypothesizing and designing an experiment. The science process categorie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psychological level of thinking, degree of creativity demand, and the model of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which is also developed in the study. The second part of the instrument contains four evaluation scales of inquiry activity: (1) competition/cooperation scale; (2) discussion scale; (3) openness scale; and (4) inquiry scope scale. And the last part consists of three methods for evaluating a science laboratory curriculum as a whole: (1) inquiry pyramid; (2) inquiry index; and (3) difficulty index. The instrument is designed to be used by teachers, science curriculum developers and science education evaluators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he nature and appropriateness of scientific inquiry introduced in secondary science curricular materials, especailly in laboratory work and field work.

  • PDF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 박재문;양우헌;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47-761
    • /
    • 2007
  • 이 연구는 격포 채석강 지역의 야외지질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야외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려는 것이다. 야외지질학습 자료 개발 대상인 격포 채석강(전북)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다. 채석강의 퇴적층(백악기)은 규모가 크고 뚜렷한 퇴적구조가 해식절벽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뚜렷한 퇴적구조는 지구과학의 야외지질 학습 자료로서 중 고등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교육적 활용이 가능하다. 5단계 야외학습모델을 과학고 지구과학과 관련된 동아리반 학생 13명에게 적용하였다. 또한 야외 학습자료와 관련된 자료들을 이용한 실내수업 내용이 야외수업에 참여 하지 않은 학생 37명에게 발표되었다. 적용 결과, 두 수업그룹 모두에게 야외학습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실제적인 학습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27-5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6명의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 교과교육학지식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부족한 부분, 즉 교직이 완전한 전문직으로 거듭나기 위해 보완해야할 부분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 방안을 고찰하였다. 동료교사들로부터 추천을 받은 6명의 교사들은 과학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과학 내용 지식,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학생들에 대한 지식,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 등이라고 설명하였다. 이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고유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교과교육학지식, 즉 사회의 일반 구성원들이 교사가 소유하고 있기를 기대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을 학생 이해 자체를 목적으로 한 교사의 체화된 지식이며, 과학교사들이 나름대로 지니고 있는 교과교육학지식은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알아듣게 가르칠 것인가들 오랫동안 고민한 결과 축적된 노하우라고 설명하였다. 과학교사들은 전문직으로서 교직의 문제점이나 부족한 부분으로 책임을 묻지 않는 시스템, 지속적인 자기 개발에 대한 외부의 인정과 요구 결여, 동료의식의 부족, 자신감 부족에서 비롯된 폐쇄성, 업무량 과다. 관리자의 경영 능력이나 목표 의식 부재, 교사 자격시험의 신뢰도와 타당도 부족, 교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처우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Narrative Inquiry on Student-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Extra Curricular Science Classes of a High Schoo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Constructed by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오필석;이선경;이경호;김찬종;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6-5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26명의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수업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 과학 교사들은 과학반 지도 경험을 계기로 교과 내용 지식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고 이를 스스로 학습할 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상황에서 그들의 교과 내용 지식은 과학 내용을 교수법적으로 전환하는 문제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은 또 학생들과의 관계에 관한 지식과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교수법적 지식을 몸소 체득하였고, 새로운 수업의 맥락에서 과학의 본성을 새삼 발견하였다. 이와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실제 교육 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아에 관한 지식과 장차 과학 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인 실천에 관련된 지식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실제적인 지도 경험을 통해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은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계발하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과학 교사 교육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생물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HGP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Social Dimensions of Bio-technology: Focusing on HGP's Shaping Process)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105-122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인간유전체 연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 ELSI 연구의 현황과 과제 (Human Genome Research and ELSI Program)

  • 윤정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423-438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예비교사의 과학의 본성 지도를 위한 과학의 미학적 모델 측정 방안 (Assessment of an Aesthetic Model of Science for NOS Teaching)

  • 권성기;남일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2호
    • /
    • pp.197-204
    • /
    • 2020
  • 이 논문에서는 2차원 미학적 모델의 적합성과 유용성을 찾기 위하여 과학자들이 아름답게 생각하는 10가지 과학 실험들을 과학의 미학적 공간에 표상하였고 동시에 10가지 과학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 실험의 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리커트 척도의 측정 도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의 미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의 본성을 지도하는 방안과 그 방안의 효과 측정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당뇨병 환자 집단교육의 효과 및 교육효과 및 지속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 diabetic group teaching program)

  • 이향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0-186
    • /
    • 1993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iabetic group teaching programs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o predict when re-education would be needed. This study examined the patients’ knowledge at four points (before, directly after, three months and six months after the teaching program) and self-care performance related to diabetes twice (three months and six months after the teaching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 admitted diabetic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four-day teaching programs. Data were gathered from January to October, 1992 by means of an instrument developed from two diabetic knowledge tests which were equivalent in item differentiation and item discrimination coeffic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t and F test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diabetic group teaching program and the duration of the effect of teaching.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diabetes knowledge score directly after the teaching program would be higher than before, was rejected (t=-1.40 ; p=.172).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iabetes knowledge score directly after teaching would be higher than three months later, was rejected(t= -4.27 ; p=.000). 3)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diabetes knowledge score three months after teaching would be higher than six months later, was supported(t=2.43 : p=.020). 2. The relation of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1) The forth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self-care performance related to diabetes three months later would be higher than six months later, was rejected( t=1.49 ; p=.146). 2) The fifth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diabetes knowledge,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are performance, was rejected(r=.2086 ; p=.118). 3. The relation of diabetes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structural variables of diabetes. 1) Diabetic knowledge scores varie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s of the clients directly after the teaching. Three months after the teaching program higher educational levels and higher economic status were related to higher diabetic knowledge scores and men had higher knowledge scores than women. 2) Self-care performance scores of 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women at three months and six months after the teaching program. 3) Before the diabetes teaching, the diabetic knowledge scores of subjects who had a diabetic patient in the family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have patient in their family. Six months after the teaching, the diabetic knowledge scores of subjects who read the distributed books about diabetes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read them. 4) No significance differences were found be-ween self-care performance and structural variables of diale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levels of diabetes knowledge and self-care performance incense of three months after the teaching program but decrease of six months. Reeducation would be needed between three and sir months. The investigator thinks that a study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is needed to increase the education effect. The subjects want to hear patient histories of diabetic management. Group discussion would be helped after the teaching sessions.

  • PDF

수업컨설팅 및 식생활수업에 대한 가정과교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Teaching Consulting and Dietary Class of Home Economics Teachers)

  • 김윤화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18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과교사의 수업컨설팅과 식생활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하여 가정과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업공개에 대하여 62.6%의 교사가 부담을 많이 갖는다고 응답하였고, 자신의 수업에 대해서 만족하고 있는 교사는 29.5% 뿐이었다. 수업컨설팅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교사는 56명(40.3%)이었으며, 받아본 적도 해준 적도 없는 교사는 48명(34.5%)으로 30대와 50대 이상의 수업컨설팅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대부분의 가정과교사가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해서 수업컨설팅이 필요하다고 하였고(65명, 46.8%), 수업컨설팅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받고 싶다고 응답한 교사가 78명(46.1%), 보통이다 46명(33.1%)으로 대부분의 가정과교사는 수업컨설팅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컨설팅을 받고 싶은 사람은 106명(76.3%)의 교사가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동료교사에 의한 컨설팅을 원하였다. 식생활 수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교수매체는 시청각자료가 가장 많았고(47.5%), 개인차에 대한 피드백은 학생의 반응관찰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었으며(73.4%), 강의식 수업이 58.3%로 가장 많이 실시되는 수업형태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수업 진행 시 갖는 어려움의 정도는 2.60/5.00점이었으나 개인차를 고려한 수업진행의 어려움이 3.2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학생참여 유도(3.11점), 적절한 교수매체 선정(2.88점), 매체 제작(2.88점), 교사 및 학생활동 계획(2.85점) 순이었다. 따라서 자신의 수업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고, 수업공개에 대한 부담을 줄이며,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식생활교육에서 가정과교사의 선도적인 역할을 위해서 가정과교사는 수업반성, 자기장학,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끊임없는 훈련과 노력으로 식생활 수업역량을 강화하여 학교 식생활교육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