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lassrooms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3초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Science Teachers' Diagnose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Field)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0-376
    • /
    • 2001
  • 본 정성적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현직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교실 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실천에 따른 장애요소들을 조사하였다. 구성주의 인식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협동학습은 내용의 단순암기와 경쟁을 통한 학업성취를 조장하는 현재의 교육체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틀로서 제시되었다. 2001년 여름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등록한 18명의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한 면접자료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정의,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실천과 관련된 이슈들, 교사 및 학생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반응’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류, 분석되었다. 이 영역들은 다시 10개의 주제들로 다시 세분되었다: 교사들이 느낀 협동학습의 의미, 학습에서 대화의 중요성, 협동학습이(부)적절한 상황, 협동학습 수업의 마무리 방법들, 협동학습시의 조편성 방법, 협동학습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소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들이 밝힌 학습중심 교수/학습 방법 선택(또는 거부)의 이유, 협동학습법을 선호하는 교사들의 특성, 교사들이 현장에서 협동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각 주제별로 교사들의 반응을 상술하고 토의를 제시하였다. 보다 많은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개발과 실행을 위해서는 (1) 교사들의 인식 전환의 필요성, (2)교사 재교육 기회의 제공, (3) 학생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적응, (4)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측면의 지원 및 (5) 행정적, 시설적지원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한편, 협동학습이 모든 수업상황이나 교수/학습적 문제들에 있어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단지 하나의 수업방법 또는 도구로서 가르치고자 하는 특정한 교수목표를 위해 유용하며, 특히 다양한 학습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섞여있는 교실에 적절한 방법이다. 후속 연구과제도 제안되었다.

  • PDF

Using Facets of Effect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to Exam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bservations of Their Clinical Experiences in Korea and the U.S.

  • Morey, Marilyn;Park, Do-Yong;Lee, Myon 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52-146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d by Korean and U.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during their 3-week clinical experience.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97 Korean and 112 U.S preservice teachers were surveyed with an instrument that we developed for the study. Follow-up interviews provided a clearer picture of what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and experienced in science classrooms during their clinical experiences. Korea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variety of science teaching environments, whereas the U.S.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limited opportunities to obser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terms of 6 identified facets that we posed. Along with our interpretation of the contrast in findings, some of the challenges are discussed in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observe, experience, and teach in effect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during the clinical experience.

Effect of Challenges with Class Size, Classroom Management and Availability of Instructional Resources on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in Secondary Schools

  • Moluayonge, Gracemary Eloheneke;Park, Innwoo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35-151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to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in the Anglophone sub-system of education in Cameroon secondary schools. A sample of 331 of these teachers was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use of a questionnaire and was subjected to inferentia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e size and management of a science class have an effect on the teaching practices of a science teacher. However, challenges with availability of instructional resources did not have an effect on science teaching practices. Recommendations to solve the identified drawbacks include the provision of more classrooms to accommodate the ever growing population of students and the organization of many seminars through which teachers could be educated on how to handle classroom problems and improvise when necessary.

대학의 실내 라돈가스 농도의 변화 평가 (Assesment of Indoor Radon Gas Concentration Change of College)

  • 박훈희;정의환;김학재;이주영;유광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1호
    • /
    • pp.127-134
    • /
    • 2017
  • 본 연구는 실내 라돈 가스의 농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건물의 준공연도, 건물의 용적, 환기 세 가지 변수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를 비교, 측정하여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측정은 1973년에 건축이 되었고, 2011년에 증축이 된 건물의 6층을 대상으로 용적이 서로 다르고 준공연도가 1973년과 2011년인 6개의 강의실을 측정하였다. 준공연도에 따른 라돈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4개의 강의실을 선정하였고, 용적에 따른 라돈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준공연도가 같고 용적이 다른 강의실을 선정하였고, 환기에 따른 라돈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6개의 강의실의 폐쇄와 환기를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준공연도에 따른 라돈농도는 최근에 지어진 건물에서 라돈농도가 최대 4배 높게 나타났으며, 용적에 따른 라돈농도는 용적이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환기에 따른 라돈농도의 변화는 폐쇄 시보다 환기를 할 경우 약 80%의 감소율을 보였다. 특히, 준공연도가 최근이면서 용적이 작을수록 라돈농도가 높게 검출되었고, 세 가지 변수 중 환기가 라돈농도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쳐 라돈에 의한 피폭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 김나영;김영란;김민규;조두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00
    • /
    • 2007
  •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따른 발문 유형 분석 (Analysis of Questioning us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 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76-28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science based classes. The study participants' class was recorded in video and instructional conversation transcription. The pattern of the observed class was analyzed using the classification frame suggested by Mogan &Saxton(2006). In result, the questioning for elicit information was most frequent and questioning for shape understanding and the questioning for press for reflection in its priority. In result, the presence of elicited questioning for the attainment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s more prominent in science-based classrooms.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ng teachers used the questioning sentence pattern more frequently and the self-sustained inquiry that accelerates creative thinking of the student was lacking. It was discovered that teaching elicited questioning, which accelerates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fact confirmation pattern is a necessary element of training for teachers.

기계 학습을 활용한 논증 수준 자동 채점 및 논증 패턴 분석 (Automated Scoring of Argumentation Levels and Analysis of Argumentation Patterns Using Machine Learning)

  • 이만형;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3-220
    • /
    • 2021
  • 이 연구는 과학적 논증 담화에 대한 자동 채점의 성능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으며, 자동 채점 모델을 활용하여 논증 담화의 양상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적 논증 수업에서 발생한 학생 발화를 대상으로 논증 수준을 평가하는 자동 채점을 수행하였다. 이 자동 채점의 데이터셋은 4가지 단위의 논증 피처와 논증 수준 평가틀로 구성되었다. 특히, 자동 채점에 논증 패턴을 반영하기 위하여 논증 클러스터와 n-gram을 활용하였다. 자동 채점 모델은 3가지의 지도 학습 기법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 총 33개의 자동 채점 모델이 구성되었다. 자동 채점의 결과, 최대 85.37%, 평균 77.59%의 채점 정확도를 얻었다. 이 과정에서 논증 담화의 패턴이 자동 채점의 성능을 개선하는 주요한 피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의사결정 나무와 랜덤 포레스트의 모델을 통하여 과학적 논증 수준에 따른 논증의 양상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주장, 자료와 함께 정당화가 체계적으로 구성된 과학적 논증과 자료에 대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과학적 논증이 논증 수준의 발달을 이끈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자동 채점 모델의 해석은 논증 패턴을 분석하는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제언하는 것이다.

양성(兩性)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 학교 "자연"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Chay{\tilde{o}}n"$ Textbooks : From a Perspective of Gender Fairness)

  • 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199
    • /
    • 2000
  • The textbook is a predominant feature of most classrooms. Because the textbook is an important aspect of educational experience, it is essential that the content of the texts be carefully scruti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isual portrayal of gender groups in elementary $"Chay{\tilde{o}}n"$ textbooks developed by the 6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 instrument was developed to analyze the nature and type of activity engaged in by these groups as well as how often members of these groups were portrayed. Data were collected from 8 elementary $"Chay{\tilde{o}}n"$ textbooks. The results show the following two different features. While the elementary $"Chay{\tilde{o}}n"$ textbooks do not show gender-biases in representing scienc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observing, experimenting, measuring, they show distinct gender-stereotyped roles and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new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which show gender-fairness.

  • PDF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Major Features of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Class Implementation)

  • 심재호;신명경;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0-1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의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으로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다루었으며, 각 특징에 대해 교육과정의 실행을 위한 내적 특징인 필요성, 명료성, 복잡성을 기준으로 교사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또,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중에서, 특히 최소 6차시가 배정되어 실시될 예정인 자유탐구의 실행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준비 및 실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서, 과학 교사들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즉, 창의성, 자유탐구, 과학글쓰기, 토론, STS를 수업에서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필요하지만, 대체로 명료하지는 않으며, 많은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특히, 자유탐구의 경우 다른 주요 내용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실행 어려움의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변화 내용을 교실 수업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해서, 교육과정 개발자와 교육과정 실행자 간의 인식의 간극을 줄이고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유의미한 해석과 실천을 높이기 위해‘이중 실행연구’(Dual Action Research) 모형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교과 학습공간 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Analysis of Science Subject Learning Space Corresponding to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in Elementary School)

  • 김승제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14-24
    • /
    • 2007
  • Recently, there are three major trends in building school facilities by government. First trend is to reconstruct facilities that have been built for 30 years. Second is the creation of a new town, new construction demanded from the redeveloping area. Finally, third is to build educational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gymnasium, auditorium and cafeteria etc. When building or reconstructing school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guide line of the planning the dimension of Science Laboratory in in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to teaming contents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