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lassroom

검색결과 699건 처리시간 0.022초

민주 시민 소양 증진을 위한 과학 교실?: 초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논의 (Science Classroom for Promotion of Democratic Civic Literacy?: Exploratory Discussion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 정용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5-145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민주적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과학 수업을 통해 민주 시민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교실 혹은 과학 수업에서 민주 시민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탐색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총 96명의 초등 교사 응답을 분석한 결과, 초등교사들은 민주적 과학 탐구의 특징으로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자율성과 공정성에 바탕을 둔 과학 탐구', '인류와 사회의 이익에 기여하는 과학 탐구'를 들었다. 또, '의사소통과 협력에 바탕을 둔 활동/탐구'를 과학 수업을 통해 민주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민주적 탐구와 민주 시민 소양 증진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연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Orientations about Earth Systems Education: A Case Study)

  • 이정아;맹승호;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07-719
    • /
    • 2007
  • 교육활동에서 교사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향은 교육의 실천적인 맥락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작동한다. 따라서 과학교사의 지구계 수업에 대한 인식과 지향을 분석하는 것은, 지구계 교육의 목표가 현실에서 어떠한 모습으로 구현될지 가늠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두 명의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 학습계획안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지구계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지향을 수업에 대한 일반적 관점과 통합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계 교육의 궁극적 겨냥점인 '전지구적 과학소양'에 대한 교사의 충분한 이해가 선행될 때 그 취지가 충분히 반영된 지구계 수업이 실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전 지구적 과학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통합을 포함한 다양한 통합의 상(像)이 교사에게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 요구되었다. 아울러 현장에서 지구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구계 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중심학습을 위한 구글크레스룸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oogle Classroom for Problem-Based Learning)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81-87
    • /
    • 2018
  • PBL은 유능하고 숙련된 실무자를 훈련시키고 학습 경험 중에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장기적으로 보유하도록 하기 위한 우수하고 효과적인 전략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PBL과 면대면 PBL에 관한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참가자가 서로 의사소통하고, 프레젠테이션 또는 비디오를 보고, 다른 참가자와 상호 작용하고, 작업 그룹의 자원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온라인 환경이다. 오늘날, 교육은 디지털 기기의 사용으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 구글은 교육 기관을 위한 이러닝 플랫폼으로 구글 크레스룸을 소개했다. 구글 크레스룸은 무료로 신청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쉽고, 배움에 유연한 온라인 환경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구글 크레스룸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PBL을 설계하고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몽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구글 크레스룸 기반 PBL의 유용성과 평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몽골 도로노드 대학교 자연 과학 및 경영학과에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으로 제안될 예정이다.

과학고등학교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for Science High Schools)

  • 조한희;이화룡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14
    • /
    • 2011
  •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space planning and architectural guideline required in designing the Science High School. It investigates specific features of the science high school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the general high school and analyses the compositional figure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teaching methods and its educational curriculum, especially the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9. Meanwhile, it explores the administrative systems and facilities of the existing science high schools through both the document survey and on-the-spot interview. Such endeavor results in proposing the space classification, the space composition methods and a classroom managing system, which would be suited to the science high school. Finally it presents the architectural guidelines for planning the special subject learning area that is composed of a special subject classroom, a specified lab, medial space, a project and research room and teacher's room.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the fundamental resources for programming the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as well as the science high school building.

  • PDF

중등학교 과학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quiry Level in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s)

  • 이근준;정진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507-518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에서의 실험수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Dana(2001)가 개발한 상황적 실험활동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실험수업의 탐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의 협의를 거쳤으며, 15명의 과학교육 전공 대학원생들에게 의뢰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연구자와 평가자 2인이 3개의 전사된 수업을 읽고 난 후, 함께 녹화된 실험 수업을 보여 수준을 달리 하였을 때 도구의 내용을 수정하는 방법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4명의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평가도구는 중등학교의 실험수업 탐구수준을 결정하는데 좋은 도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초임과학교사의 탐구수준은 확인수준과 구조화된 탐구주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Inquiry: A Review of Literature

  • Flick, Larry;Park, Young-Sh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4-20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i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research have been done about scientific inquiry in te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room context from the upper elementary to the high school levels. First, science educators argued that there had not been differentiation between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by scientists and school scientific inquiry by students in the classroom. This uncertainty of goals or definition of scientific inquiry has led to the problem or limitation of implementing scientific inquiry in the classroom. It was also pointed out that students' learning science as inquiry has been done without opportunities of argumentation to understand how scientific knowledge is constructed. Second, what is scientific argumentation, then? Researchers stated that scientific inquiry in the classroom cannot be guaranteed only through hands-on experimentation. Students can understand how scientific knowledge is constructed through their reasoning skills using opportunities of argumentation based on their procedural skills using opportunities of experimentation. Third, many researchers emphasized the social practices of small or whole group work for enhancing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hrough argumentations. Different role of leadership in groups and existence of teachers' roles are found to have potential in enhancing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o understand science as inquiry. Fourth, what is scientific reasoning? Scientific reasoning is defined as an ability to differentiate evidence or data from theory and coordinate them to construct their scientific knowledge based on their collection of data (Kuhn, 1989, 1992; Dunbar & Klahr, 1988, 1989; Reif & Larkin, 1991). Those researchers found that students skills in scientific reasoning are different from scientists. Fifth,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o understand how scientific knowledge is constructed, other researchers suggested that teachers' roles in scaffolding could help students develop those skill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it is important to find what kinds of generalizable teaching strategies teachers use for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through scientific argumentation and investigate teachers' knowledg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inquir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knowledge and their teaching strategies and between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and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can be found out if there is any.

학교시설 교사공간정보의 BIM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f the Application of BIM to Classroom Spatial Information of School Facilities)

  • 이상헌;최중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922-6931
    • /
    • 2014
  • 현대 과학기술과 컴퓨터공학의 발전은 정보통신 분야의 비약적 발전과 함께 생활양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주고 있다. 정부는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을 통해 2030년의 미래사회를 예측하고 그에 맞는 인재 육성을 위해 미래지향적 관점으로 교육정책의 목표를 발표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에는 교육시설의 변화가 동시에 요구 되며, 교실운영과 교사공간정보는 연동된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BIM 설계는 3D 형상정보 기반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설계정보와 비형상 정보인 공간정보를 연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BIM 기반 교사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교육시설을 운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공간정보를 표준화하고 학교시설 BIM 발주와 운영을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하고자 한다.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for Reading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 황금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5-92
    • /
    • 2001
  •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어온 독서교실은 어려서부터 독서의 즐거움과 필요성을 깨닫게 하고, 올바른 독서태도를 길러 스스로 즐겨 독서하는 습관을 갖게 하며, 도서관에서의 폭넓은 학습경험으로 도서관 이용을 생활화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교실을 통한 독서교육은 어린이나 학생에게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독서교실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교실 운영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여 독서교육이 좀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Talafha, Abdulhameed Ha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0호
    • /
    • pp.413-422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are informed are familiar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researcher adopted the descriptive approach.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89)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6) at public primary schools in Northern Mazar Directorate of Education in Jordan.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primary tool for collecting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an average level of knowledge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about ADHD.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knowledge of ADHD due to the variables (gender, qualification, professional experience, grade level being taught).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Knowledge and Perception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 Talafha, Abdulhameed Ha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127-136
    • /
    • 202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ordinary classrooms teachers are informed are familiar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The researcher adopted the descriptive approach. The sample of the study consisted of (89)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teach students from grade (1) to grade (6) at public primary schools in Northern Mazar Directorate of Education in Jordan. A questionnaire was employed as the primary tool for collecting the data.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d an average level of knowledge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about ADHD. The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ordinary classroom teachers' knowledge of ADHD due to the variables (gender, qualification, professional experience, grade level being ta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