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8초

상호동료교수 전략을 활용한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이 과학 성취도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Grouping Method on Science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Using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 김경순;왕혜남;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0-189
    • /
    • 2007
  • 이 연구는 소집단 구성 방법 및 학생들의 과학 성취 수준에 따라 상호동료교수(RPT) 전략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아효능감,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서울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88명을 비교 집단, 동질 RPT 집단, 이질 RPT 집단으로 배치한 후, '혼합물의 분리' 단원에 대하여 8차시 동안 수엽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후, 세 하위 영역(지식, 이해, 적용)으로 구성된 과학 성취도, 자아효능감과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 과학 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이질 RPT 집단의 지식과 이해 및 자아효능감 점수가 다른 집단의 점수들보다 높았고, 이들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동질 RPT 집단의 지식 영역 점수는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한 점수 차이로 높았으나, 이해 영역과 자아효능감에서는 비교 집단과 유의미한 점수차이가 없었다. 과학 성취도와 적용 영역에서는 하위 학생들의 경우 이질 RPT 집단의 점수가 다른 집단보다 높았고, 이들 점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상위 학생들의 경우에는 RPT 집단의 과학 성취도 점수가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한 점수 차이로 높았으나, 적용 영역에서는 세 집단 간 점수 차이가 유의마하지 않았다. RPT 집단의 학생들은 대체로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동질 RPT 집단보다 이질 RPT 집단의 학생들이, 상위 학생들보다 하위 학생들이 수업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이었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Korean Students' Performance in Science)

  • 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PISA 2018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영역 성취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PISA 2009 ~ PISA 2018 과학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수준별 비율과 성취 수준별 남녀 비율을 살펴보았으며, 평가틀 하위 요소별 정답률을 PISA 2015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는 PISA 주요 성취 상위국에 비하여 하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상위 성취 수준 학생들의 비율은 낮았다. 평균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취 차이는 거의 없어졌으나, 상위 성취 수준에서 남학생의 비율은 여학생의 비율보다 높은 것이 유지되고 있었다. 또한, 평가틀에서 '맥락'의 '개인적', '역량'의 '과학 탐구의 설계 및 평가', '지식'의 '인식론적' 지식, '인지적 요구'의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정답률이 상승하여 PISA 2015에 비해 성취가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과 평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Effects of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Interest in TIMSS 2015)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3-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TIMSS 2015 결과를 분석하여 성취수준별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을 탐색하고 집단 특성에 맞는 교수 학습 방법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과학 성취와 흥미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비교하기 위해 위계선형모형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4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보유량, 부모학력,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이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으로 확인되었다. 8학년 과학성취도의 경우에는 우수수준 이상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재학생의 경제적 배경으로 확인되었고, 보통수준 이하 학생들의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학년을 막론하고 도서 보유량과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은 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주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학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모든 학생들을 위한 체계적인 독서 프로그램 제공, 중학교 학생참여형 과학 수업을 활성화, 초등학교 보통수준 이하의 학생들을 위한 탐구실험 체험과 개념 연계 수업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서술형 평가에서의 교사평가와 동료평가 활동 경험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식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Descriptive Assessment Activity Experiences by Teacher or by Peer)

  • 백성혜;류혜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93-599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에 대한 교사평가와 동료평가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소도시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2개반을 선정하여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의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서술형 문항의 평가는 10차시 수업 동안 진행되었으며, 교사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수업 중에 실시하였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반에서는 학생들이 서술형 문항을 푼 후에 소집단 별로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교사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평가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학업성취도 상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와 학생평가에서 동일한 채점 기준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하위 집단 학생들은 교사평가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업성취도가 하위인 학생들만 비교한 결과 교사평가를 실시한 학급보다 동료평가를 실시한 학급에서 성취도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의 평가 결과에서도 하위 집단 학생들은 동료 평가가 정의적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별히 과학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개념도를 활용한 과학 학습이 학업성취도와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cept Mapping Activit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 김용권;신상순;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208-218
    • /
    • 2004
  •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misconception related to dissolution and solution. Moreover, they usually fail to apply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n their science classes to their everyday life, and also have low science achievement. Therefore, they are not interested in science, and sometimes some of them are even afraid of i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cept mapping activit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at presen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utilizing concept maps in order to have the students form correct concept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composed of thirty-seven students (experimental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concept mapping activity,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irty-eight students (comparison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mapping activit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Second, the classes using concept maps have a good influence on forming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the concept mapping activit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of mid and low level students. In conclusion, the loaming by concept mapping activity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Particularly for the students in mid and high levels, the effect is more remarkable.

  • PDF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과학교육 성취도 (Science Achievement of 11th grade Students)

  • 이미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25-539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학 교육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로 전국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가 결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종합적인 과학 교육 성취도 수준은 "보통 학력"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별 성취도를 보면 이해, 적용, 탐구 설계,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영역에서는 "보통 학력"을, 지식과 문제 인식 영역에서는 "기초 학력"을 나타내었다. 성별 성취도 분석 결과 종합적인 과학 성취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평가 영역별 성취도 분석 결과에서는 이해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성취도 분석 결과 서울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의 성취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적인 성취도는 광역시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중소도시, 서울시, 읍면 지역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의 성취정서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 전지영;전미란;이희복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39-1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이 과학학습 상황에서 경험하는 성취와 관련된 학습정서를 비교해보고 영재학생들의 긍정적 성취정서 형성 요인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업상황, 학습상황, 시험상황 각각 8개 요소 모두에서 각 그룹별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영재학생들은 일반학생들보다 높은 긍정적 성취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반면에 화, 불안, 수치심, 절망감, 지루함과 같은 부정적 성취정서는 일반학생들보다 더 낮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영재학생들의 성취정서가 어떤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술식 설문을 실시하였고 결과를 학습과제, 학생, 교사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영재학생들의 긍정적 성취정서의 형성은 과학 학습을 매우 가치 있는 활동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실험수업을 즐기고 긍정적인 평가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적극적인 학습 태도와 과학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관심과 지식, 긍정적인 자아 인식, 진로와의 연관성 그리고 교사의 흥미유도와 칭찬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과학과목에 대한 부정적 성취정서를 줄이고 긍정적 성취정서를 확대하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수학과 과학을 통합 지도한 초등학교 '물체의 속력' 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성취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the 'Speed of Objects' Chapter based on the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하나;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372-381
    • /
    • 2015
  • Mathematics and science are very closely related. Among the science areas, physic is strongly linked with mathematics. As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were alloted later than the science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often suffer from science classes. Accordingly, an opinion have been claimed to teach the related mathematics skills prior to the science classes. However, it would be hard to arrange all science and mathematics contents in order. Instead of that, in this research, we taught students mathematics contents that are crucial for learning speed through science classes. We called that teaching strategy an integrated science and mathematics class. Then, we examined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as well as skills of mathematics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strategy. We found that the average mathematics score of the whole class went up meaningfully. We also found that their science achievement was above than basic level. Moreover, the homeroom teacher of the students observed 3 aspects which showed the students were better than previous students. Finally,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4 groups by their science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 and interviewed each group. As a result, we knew that interesting and confidence in science and mathematics quite exerted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The Effect of Using the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in Teaching Mathematical Concepts on Students Achievement in the University Level

  • Alzahrani, Yahya Mizh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149-153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using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to teach mathematical concepts on students' achievement in the linear algebra course at university. The field sample consisted of 200 students divided into two equal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100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100 students. The researcher used an achievement test in some mathematical concepts related to linear algebr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0.05) between the average achievemen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post application of the achievement test, in favor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factor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is "interactive electronic forms", on the dependent factor, which is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epared test, had a very large effect. Also,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0.05)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 and post applications of the achievement test, in favor of the post application. The researcher recommended the use of interactive electronic models in teaching mathematical concept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diversifying the strategies of teaching mathematics, using technology to attract learners and rai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