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service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17초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 분석 - 인천광역시교육청 교원들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Services: Targeting the Teachers in Incheon City Office of Education)

  • 박주현;허우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81-6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내용과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재 초·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원 498명을 대상으로 독서실태, 학교도서관 인식과 정서, 학교도서관 이용 경험, 학교도서관 활용 수업 경험,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급과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에 따라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교도서관 근무인력은 교원들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인식과 정서와 경험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초중등교육법 분석: 문헌정보 서비스 내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the U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 장령령;박주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7-38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모든 학생 성공법'에 의해 재인증된 미국의 초중등교육법을 문헌정보 서비스의 관점에서 법률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문헌정보 서비스 개선 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이 법에는 최초로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가 명시되어 있으며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학교 사서'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도서, 자원, 최신 자료, 기술, 도서관 서비스 및 교육 서비스와 연계시키고 있어 미국의 초중등학교에서 문헌정보 서비스가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재정적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이 법에는 학교 사서가 개인화된 학습 경험, 증거 기반 평가, 전문성 개발에 참여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리터러시 및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을 위하여 학생, 교직원, 학부모에게 문헌정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접근성 강화, 사서교사 등의 문헌정보 서비스 업무 구체화, 학교 구성원과의 협력 강화, 증거 기반에 따른 교육 활동, 교육적 효과의 공유, 문헌정보 교육과정 개발을 논의하였다.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9-146
    • /
    • 2001
  •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 PDF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통한 학교도서관 서비스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Services Using the Repertory Grid Technique)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9-270
    • /
    • 2023
  • 본 연구는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적자원(사서교사, 교과교사, 사서)간의 학교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내적 경험의 차이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소 강도, 구성개념 극단, 불일치 구성개념, 암묵적 딜레마 등의 지표를 활용하였다. 렙그리드의 요소를 9개로 설정하고, 현장 사서교사 3명과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전개하여 14개의 구성개념을 설정하였다. 교육대학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웹상에서 접근이 가능한 GRIDCOR 6.0을 통해 레퍼토리 그리드를 완성하도록 하고, 그 중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최종 6개를 선정, 분석하였다. 요소 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학교도서관 서비스 중에서 자료관리, 도서관협력수업, 독서·정보 상담 서비스가 중요하고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개념 강도의 관점에서 볼 때, 자기 역할이 분명한 정도, 실제 수행 정도,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omestic School Library Standard)

  • 목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34
    • /
    • 2011
  •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학교도서관 기준을 분석하여 기준별 특이성과 차이성을 조사하였다. 현행 적용되는 기준으로 7가지 학교도서관 기준이 조사되었으며, 분석결과, 예산편성, 교육서비스, 자료, 인력 등 4가지 주요 문제점이 진단되었다. 기존 학교도서관 기준을 검토하여 학교 도서관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학교도서관 기준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고등학생의 정보요구 해결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방안 (School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for Satisfyi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formation Need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07-134
    • /
    • 2007
  • 이 연구는 인문계고등학생의 정보요구와 그에 대한 대처양태를 조사하여, 학생들의 요구와 행태에 기반한 학교도서관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인문계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1) 인문계고등학생의 주요관심과 그에 대한 대처방식, 2) 그러한 관심을 해결하기 위해 활용하는 정보원의 유형과 특성, 3) 인문계고등학생의 정보요구해결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 서울 강남구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Focused on School Libraries in Gang-Nam Gu, Seoul)

  • 신지연;김유승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7-297
    • /
    • 2012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 지방자치단체와 초등학교 간의 협력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개방 서비스를 실시하였던 강남구 내 초등학교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과제와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학교도서관 지역사회 개방의 법제도적 근거, 개방 유형, 개방의 장단점 등을 살피고, 학교도서관 개방 사례로 강남구 초등학교 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강남구 초등학교 도서관 담당자와 학부모 및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학교도서관 개방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효율적 지역사회 개방을 위하여 인적, 제도적, 재정적 측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학교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Mobile App Service Based on User Experience)

  • 박소라;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9-67
    • /
    • 2021
  • 학교도서관에서 도서관 목록 검색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모바일 웹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모바일기기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 요구에 맞는 학교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의 내용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연구, 학교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현황 분석, 학생과 교사의 모바일 서비스 사용자 경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DLS 모바일 서비스의 내용구성 및 설계 방안을 마련하였다. 우선, 단계를 4단계에서 3단계로 축소하였다. 1단계에서는 회원가입 시 화면 잘림 오류 개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로그인 플랫폼을 추가하고, 2단계에서는 통합검색 및 상세검색, 이용교육 및 독서교육 자료 제공, 독후활동, 소속 학교도서관 이용안내와 공지사항, 상호대차, 전자책 등과 같이 주로 사용되는 메뉴를 제공하며, 3단계에서는 소장자료 검색결과 상세화면 표시를 중심으로 예약 등의 관련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을 위한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행 모바일 웹 서비스의 변경 시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도서관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실태조사 (A Study on the Using of Social Network Services of Libraries in Korea)

  • 변회균;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55-275
    • /
    • 2013
  • 이 연구는 국내 도서관에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하여, 관종별 도서관에 사용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종류 및 도입현황을 살펴보고, 관종별 사용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특징과 차이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의 4개 관종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도서관 평가에서 우수 도서관 목록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32개의 대학도서관과 41개의 공공도서관, 40개의 학교도서관, 9개의 전문도서관의 홈페이지 및 기관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활용에 대한 기본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사용된 특성 및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 결과를 기초로 관종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적용할 부분과 향후 발전방향을 제언하였다.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Use of Reference Sources and Services by Postgraduates' in Kenneth Dike Library, University of Ibadan, Nigeria

  • Samson Oyeyini Akande;Olalekan Abraham Adekunjo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27-41
    • /
    • 2023
  • The outbreak of the corona virus diseases (COVID-19) in the late 2019 has affected all facets of educational system including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services, an important aspect of library services are not exempted from this impact.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the use of reference services and sources by postgraduate students using Kenneth Dike Library (KDL), University of Ibadan, as a case study. Using descriptive survey of correlational type, the study adopted the use of structured questionnaire to randomly select three hundred (300) postgraduate users of reference sources and services in KDL using online survey monkey. Of the three hundred (300) copies, two hundred and twenty three (223) copies, repre- senting 74.3% were retrieved and used for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in spite of COVID-19 pandemic, most postgraduate students used Current Awareness Services (203, 91.0%, mean = 3.19), Reference Sources (202, 90.5%, mean = 3.18) and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195, 87.4%, mean = 3.13); low frequency of bibliotherapy (mean=2.22), Reader's Advisory services (mean=2.30) and inter-library loan (mean=2.13) and that COVID-19 pandemic had high impact on post- graduate students' use of reference services in Kenneth Dike Library, University of Ibadan. Based on the findings, recommendations were made that library management should consider the adoption of virtual reference services (VR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ode of refer- ence services to enhance patronage in the COVID-19 era. The library users should also be trained on how to take advantage of the COVID-19 pandemic to learn new skills in the digital space that will eventually optimize the usage of the library remot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