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rly journal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7초

학술지 평가정책에 관한 고찰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ournal Evaluation Policy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9-376
    • /
    • 2004
  • 학술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학술지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으며, 학문연구의 전반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필요성은 매우 높다. 그러나 평가는 단순히 학술지의 우열을 가리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평가대상의 효율, 장점과 단점을 보여주고, 단점을 보완하여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평가 정책에 대한 논란을 재조명하고, 이 정책이 학술담론의 생산과 유통에 개입함으로써 학문 연구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억압하는 면은 없는지, 구체적으로 등재 학술지와 이를 생산하는 학회 그리고 평가의 주체 기관의 권력화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들을 살펴본다.

  • PDF

전자잡지의 발달과 미래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electronic journals)

  • 노진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441-478
    • /
    • 1997
  • This paper surveyed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electronic journals. The growing and impact of electronic publishing, developments and access of electronic journals, and the future of electronic journals were examined in detail, and remaining problem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future of electronic journals is not an issue of technology it is an issue of economics and social policy. And, the cost of delivering an electronic version to end-users were more expensive. 2. More sophisticated markup software and display software system are needed for fully structured text versions of articles. 3. Coordination of effort is essential in order that we maximize the end-users access requirements against resonable protection for the intellecture effort of the scholarly writer. 4. The success of an electronic journals will depend on the improve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users, author, publish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pecialists. The advent of electronic information delivery has brought with it these issues to be solved. And development in the delivery of scholarly information by electronic means will accelerate.

  • PDF

저자집단 분석을 통한 한국 문헌정보학의 학술커뮤니케이션 동향 연구 (A Study on Scholarly Communication Trend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ies through Author Group Analysis)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09-434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 학술지에 2002년부터 2021년까지 20년 동안 게재된 논문 전체의 저자를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학술지를 통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현황을 고찰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학술지별 공저자 수, 귀환저자 비율, 투고선호지수, 저자집단 변화 추세, 연구자 유인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 학술지의 공동연구 수준, 학술지별로 연관된 저자집단의 형성 정도, 저자집단이 변화된 변곡점, 신진 연구자 집단의 특성, 학술지 간 저자 공유 정도 등이 파악되었다. 전체적으로 2015년이 한국 문헌정보학 저자집단이 변화한 변곡점으로 나타났으며, 이후에 등장한 신진 연구자들은 주로 공동연구를 수행하면서 이전과 다소 다른 학술지 논문발표 행태를 보였다. 계량분석을 수행한 이 연구의 결과가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선행 연구와 함께 활용된다면 한국 문헌정보학 학술지 발전 전략에 대한 다각화 연구를 수행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정보 유통위기 및 해소전략의 해부 (Analysis of Crisis and Alternative in Scholarly Information Communication)

  • 윤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1호
    • /
    • pp.1-32
    • /
    • 2005
  • 현재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위기는 잡지의 위기가 아니라 정보 유통상의 광범위한 위기이다. 그것은 STM 학술지의 구독비용이 대학도서관의 예산 증가율을 상회함에 따라 학술 및 연구자료의 접근력이 축소되거나 상실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오픈 액세스 잡지(OAJ), 저자 셀프 아카이빙(ASA), 학술기관 레포지터리(AIR)를 전략적 수단으로 하는 오픈 액세스가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의 최근 동향을 개관하고, OA 전략에 내재된 장애요소와 다양한 현안인 학술정보의 공공재 논쟁, 무료접근의 신화와 한계, 저자의 비용지불 모델, 저작권 귀속문제 등을 분석한다.

Research Publishing by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cholars in Pakistan: A Bibliometric Analysis

  • Ali, Muhammad Yousuf;Richardson, Joann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1호
    • /
    • pp.6-20
    • /
    • 2016
  • Scholarly communica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research outpu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This study presents findings from a survey which examines the key attributes that characterize the publishing by Pakistani LIS scholars, i.e. academics and professionals, in national journals. A pilot-tested, electronic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 target population. 104 respondents (or 69.3% of target) provided feedback on areas such as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number of citations, and the nature of any collaboration with other authors. The findings of this survey revealed that, among the various designated regions of Pakistan, the Punjab region was the most highly represented. In articles published in national journals, there was a clear preference among all respondents to collaborate with at least one other author. The citation metrics for LIS articles in national journals were relatively low (30.22%), which aligns with Scimago’s Journal and Country Rankings. The uptake of social scholarly networks mirrors international trends. Respondents were asked to score factors which could impact negatively on their ability to undertake research and/or publish the results. The study recommends that concerned stakeholders work together, as appropriate, to address concerns. In addition, it recommends that further research be undertaken to define patterns of Pakistani co-authorship in the social sciences.

전자출판물의 확산에 따른 학술커뮤니케이션 변화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Measuring impac of electronic publications on scholarly communication using bibliometric analysis)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49
    • /
    • 2003
  • 전자저널을 비롯한 전자출판물의 확산으로 최근 학술커뮤니케이션은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이 연구는 전자저널이 학술커뮤니케이션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인용분석에 기초한 영향력 측정 지표인 영향지수(impact factor)와 즉효지수(immediacy inde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JCR의 사회과학편에서 경제학, 법학, 심리학 학술지의 최근 8년간 영향지수와 즉효지수를 수집하여 연도별 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 학문분야 모두 연도별 영향지수는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에, 즉효지수는 최근 2년 동안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효지수의 상승은 학술지의 논문이 발행되는 즉시 인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학술지의 발행형식이 최근 전자저널로 급속히 전화된 데 따른 결과인 것으로 유추된다. 아울러 이를 통해 학술커뮤니케이션의 속도가 과거에 비해 증진되었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전자저널의 영향 정도를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서관에서 과학적인 장서관리를 하는데 일조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연구기금 논문성과물 게재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정책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of Scholarly Journals Publishing Research Papers Funded by Korean Government)

  • 민윤경;차미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55-17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기금으로 생산된 논문성과물에 대한 공중의 접근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국내외 주요학술지의 오픈액세스 관련 정책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의 선정을 위하여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논문의 국내외 등록현황, 원문연계 비중, 기금지원기관별 논문성과물 현황과 게재 학술지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공공연구기금 논문성과물의 게재 건수가 높은 국내외 18종의 학술지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오픈액세스 관련 정책의 성문화 및 공시, 저작권 귀속주체, 재사용 권리, 셀프 아카이빙 정책, 무료접근 등의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차원에서 공공연구기금 논문성과물의 수집 유통 정책 수립에 참고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국내 학회발행 학술잡지의 전자저널 출판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KISTI의 논문투고 및 전자저널 출판시스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blication Model of Electronic Journals for Scholarly Journals Issued at Learned Societies in Korea - The Case of Article Contribution and Electronic Journal Generation System at KISTI -)

  • 최재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9-54
    • /
    • 2002
  •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연구결과를 알리고 인정받기 위하여 학회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며, 학회는 이를 계속 축적하게 된다. 한편, 대부분의 학회는 이들에 대하여 워드파일 형태의 원본을 확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책자인쇄 이외의 유통에 무관심한 것이 사실이었다. 학회는 연구결과의 집약지이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연구가 수행된다. 따라서, 학회에서의 연구결과 유통과정들을 디지털기반으로 시스템화하여 학회정보 유통체계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학회에서 발행되는 학회논문을 효율적으로 수집 관리하고 이용자들이 학회 연구자의 연구정보를 발생시점부터, 인쇄형태의 자료입수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논문투고 및 전자저널 출판시스템이 논의되었으며, 이 시스템은 해외의 주요 전자저널 출판모형과 비교$\cdot$평가되었다.

해외인쇄학술지의 확보와 유통의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ing the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of Foreign Print Journals in Korea)

  • 심원식;박홍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9-303
    • /
    • 2006
  • 전자학술지의 급격한 도입에도 불구하고 인쇄학술지의 필요성은 여전히 남아있다. 하지만 국내의 해외인쇄학술지 보유량은 상당히 미미하며 그나마 도서관간 중복이 심한 것으로 나타난다. 국내 미보유 외국인쇄학술지의 체계적인 수집과 공유를 위해서 정부 지원의 외국학술지 지원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 연구 역량이 갖춰진 대학의 도서관에 설치되는 지원센터는 해당 학문 분야의 외국학술지를 전문적으로 조사하여 확보하며 이를 기반한 전국적인 공유를 실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대학도서관의 역량이 증대될 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학술정보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trategies and Ethical Considerations for Scholarly Journals: A Focus on KODISA

  • SHIN, Dong Jin
    • 연구윤리
    • /
    • 제1권2호
    • /
    • pp.15-2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thical considerations that must be addressed in journals and discern the strategies that will elevate the quality of the journal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tilized the past studies that were conducted in this field. Examples of journals were used to mark some of the key features of reputable journals, as well as the guidelines for KODISA. Results: This study has showed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iderations in journals for the best interests of the scholars and journal community as a whole. A clear set of outlines makes the journal a place for scholars to share their knowledge, as well as elevate the journal into a good standing in the academic world. Some of the key strategies in improving KODISA include inviting notable members of a field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ncouraging more scholars to contribute to this network. Conclusion: KODISA has a strong set of ethical considerations for the scholars that publish in their journals and will continue to improve its quality for the future. It includes improving its strategies and keeping up to date with the trends in the current field of discip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