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lability

검색결과 1,648건 처리시간 0.036초

DCT 기반의 계층부호화를 이용한 비디오 스트리밍 연구 (A Study on video streaming by using DCT-based scalability encoding)

  • 한승균;서덕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4)
    • /
    • pp.203-206
    • /
    • 2001
  • This Paper suggests real-time video streaming method by using DCT-based scalability, and evaluates and analyzes the function. It is similar to using lowpass filter. That is, as following figure, this method is to split the encoded data in splitter and transmit it, and to decode the data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any video CODEC which is based on DCT.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easy video streaming method by using DCT-based scalability, and shows the result of experiment. By using suggested scalability, calculations are reduced, and spacial scalability is realized. Moreover, the objective data which meet user's need according to the network condition and choose the appropriate scalability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erming can be extracted. And it is possible to apply any resources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image.

  • PDF

영상 화면에 적용한 확장적응성 선택 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Scalability selection method that apply to Image Scene)

  • 송대건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권3호
    • /
    • pp.91-96
    • /
    • 2008
  • 최근 네트워크대역 및 수신단말기의 해상도의 다양화에 의해 One Source-Multi use의 영상 전송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영상 확장적응성 기능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MPEG에서는 H.264/MPEG-4 AVC를 기본으로 하는 SVC(Scalable Video Coding)의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SVC에서는 공간 시간 SNR 확장적응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확장적응한 부호화는 비 확장적응한 부호화에 비해 부호화 효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 SNR 확장적응성에 착안하여 SVC에 의한 확장적응성의 입자크기의 정도와 부호화 효율 관계를 기초로 하는 SNR 스케일러빌러티를 제공하는 FGS(Fine Granular Scalability) 기능을 전환함으로서 주관 품질의 향상을 꾀하는 수법을 검토한다.

  • PDF

서비스 복제 및 이주를 이용한 서비스 확장성 향상 기법 (Methods to Enhance Service Scalability Using Service Replication and Migration)

  • 김지원;이재유;김수동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7호
    • /
    • pp.503-517
    • /
    • 2010
  • 서비스 지향 컴퓨팅은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효과적인 패러다임으로서 널리 각광받고 있다. 서비스 지향 컴퓨팅에서 서비스 소비자는 서비스를 관리하거나, 수정할 필요가 없이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단지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반면에,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자원 및 데이터 등을 관리하여야 한다. 하지만, 서비스 소비자는 불특정 다수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품질을 관리하기 힘들다. 따라서 서비스 수준 협약에 명시된 품질을 보장하면서 여러 명의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확장성이 서비스 지향 컴퓨팅의 잠재적인 문제로 주목 받고 있다. 확장성에 대한 연구는 네트워크와 데이터베이스, 분산 컴퓨팅 등의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서비스 공학 분야에서는 아직 서비스 확장성의 정의와 관련 메트릭 등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환경을 다중 노드가 연결된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모든 노드의 자원을 통합 관리한다. 또한 동적인 서비스의 복제 및 이주 기법을 이용하여 서비스 확장성을 관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3장에서는 확장성 관리 프레임워크의 구조와 기능성을 소개하고, 4장에서는 프레임워크의 기능성 실현에 필요한 확장성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5장에서는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여 프레임워크를 설계/구현하며, 6장에서는 구현된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확장성 향상 기법의 실효성을 확인한다.

확장성 있는 무선 인터넷 프록시 서버 클러스터를 위한 동적 해싱 기반의 부하분산 (A Dynamic Hashing Based Load Balancing for a Scalable Wireless Internet Proxy Server Cluster)

  • 곽후근;김동승;정규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4A권7호
    • /
    • pp.443-450
    • /
    • 2007
  • 대용량 무선 인터넷 프록시 캐시 서버 클러스터에서는 성능 및 저장 공간의 확장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성능의 확장성은 캐시 서버를 추가함에 따라 클러스터 성능이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의미하고 저장 공간의 확장성은 캐시 데이터가 서버들에게 분할 저장되어 있어서 캐시 서버의 수에 상관없이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러스터안의 공간의 합은 일정함을 의미한다. 대용량 서버 클러스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라운드로빈 기반 부하분산 방법은 성능의 확장성은 보장되지만, 요청 URL 데이터가 모든 서버에 저장되어야 하므로 저장 공간의 확장성이 없는 단점을 가진다. 해싱기반 부하분산 방법은 모든 요청 URL 데이터가 서버들에 분할 저장되어 있어서 저장 공간의 확장성을 가진다. 그러나 그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 패턴 불균형 또는 특정서버로의 요청 집중(Hot-Spot) 시에 성능 확장성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 및 저장 공간의 확장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동적 해싱 부하분산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주기적으로 과부하 상태의 캐시 서버에 할당된 요청들을 찾아서 다른 캐시서버로 동적으로 재할당한다. 제안된 방법을 16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고,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과는 달리 성능 및 저장 공간의 확장성을 보장함을 확인하였다.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에서의 실시간 스케일러빌리티 변환 (Dynamic Full-Scalability-Conversion in SVC)

  • 이동수;배태면;노용만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6호
    • /
    • pp.60-70
    • /
    • 2006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비디오 적응 변환을 위하여 현재 MPEG-4 AVC/SE SVC에서는 공간적, 시간적, 품질적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스케일러빌리티의 변환은 가변적인 대역폭을 가지는 네트워크 특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SVC에서는 품질적 스케일러빌리티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스케일러빌리티를 변환할 수 잇지만 공간적, 시간적 스케일러빌리티에 대해서는 이를 제대로 지원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자세히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부호시에는 주기적으로 IDR NAL을 삽입하였다. 추출시에는 실시간 추출에 필요한 정보들을 미리 분석한 후 실제 추출시에 활용하여 실시간 추출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호시에는 실시간 스케일러빌리티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이를 JSVM4.0에 구현하였고 주어진 네트워크 대역폭에 스케일러빌리티를 통하여 적응된 비트스트림의 비트레이트, PSNR, 스케일러빌리티를 측정하여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View Scalability를 고려한 다시점 동영상 코덱 (Multiview Video Sequence CODEC with View Scalability)

  • 임정은;손광훈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36-24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view scalability를 고려한 3차원 다시점 동영상 코덱을 제안한다. 다시점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하여 부호화의 기본 단위로는 GGOP (Group of GOP) 구조를 제안하며 그 GGOP 구조는 시점의 수와 카메라 사이의 베이스 라인의 간격에 따라 유동적으로 여러 가지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제안된 다시점 동영상 부호기는 전처리, 변이 추정/보상, 움직임 추정/보상, 차영상 부호화, 비트율 제어로 구성되며 다시점 동영상 비트열을 생성하게 된다. MPEG-2와의 호환성을 위하여 기준이 되는 동영상은 MPEG-2로 부호화를 수행하여 메인 비트열을 생성하였고, 나머지 시점들에 해당되는 동영상들은 변이 벡터 및 움직임 벡터를 이용하여 보조 비트열을 생성하여 복호단에 전송된다. 다시점 동영상 복호기는 메인 비트열을 복호하기 위한 MPEG-2 복호기와 보조 비트열을 복호하기 위한 복호기로 구성된다. 또한, 수신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특징에 따라 원하는 시점만을 선택하여 복호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view scalability 기능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다시점 동영상 코덱의 GGOP 구조의 유동성, MPEG-2와의 호환성, view scalability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view scalability로 원하는 시점만을 복원한 3차원 동영상을 여러 종류의 3차원 다시점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를 하여 주관적인 성능을 확인하였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 (A Scalability based Energy Model for Sustainability of Blockchain Networks)

  • 전승현;정복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51-58
    • /
    • 2023
  • 최근 블록체인은 트릴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적인 분산 신뢰 네트워크를 설계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일부 국가간 분쟁으로 에너지 분배의 불균형이 발생했고, 현재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거래와 채굴을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기존 연구인 데이터 볼륨 기반 신뢰 모델은 루빈 방식의 신뢰 모델보다 증가하는 블록체인 크기를 더 잘 평가했다. 본 논문에서는 성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존속시간, 블록체인 크기 및 거래를 위해 소모된 에너지를 고려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제안 모델과 기존 모델에 대한 만족도와 최적의 블록체인 크기를 비교한다. 그러므로 제안된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은 트릴레마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성을 검증하는 적절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평가 툴을 제공할 것이다.

센서 미들웨어의 확장성 분석 및 접근방법 (Analysis and Approach for Scalability in Sensor Middleware)

  • 무르다니 무하마드 하리스트;권준호;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B)
    • /
    • pp.235-237
    • /
    • 2012
  • Sometimes scalability is described loosely as a synonym for capacity. A system has their own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others. For each system, they may have different aspect to identify their scalability. Our focus here is in the sensor middleware. This paper described the analysis of scalability for sensor middleware. Summarizing approaches to keep the scalability in check and propose a measurement candidate to decide whether it's scalable or not.

H.264/SVC를 기반으로 한 ROI확장성 방법 (ROI Scalability method based on H.264/SVC)

  • 이정환;유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35-41
    • /
    • 2009
  • The H.264/SVC enables network-adaptive video transmission to smart device which uses wireless network. But, quality scalability of H.264/SVC does not consider personal subjective image quality. In addition, its network efficiency also does not optimized because it uses MGS(Medium Grained Scalability) and CGS(Coarse Grained Scalability). Thus, this paper proposed a new scalable ROI algorithm for not only subjective image quality improvement but also network adaptation. To experiment our proposed a scheme, we added designed algorithm to JSVM(Joint Scalable Video Model) open source video codec of H.264/SVC. Experi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defined scenario for simulating various network conditions. Finally, experimental result showed our proposed scalable ROI scheme. It is better than traditional non-selective scheme in subjective video quality.

  • PDF

Video Watermarking Scheme for Scalable Video Coding using ROI

  • Yoon, Ji-Sun;Kwon, Seong-Geun;Lee, Suk-Hwan;Song, Yoon-Chul;Kim, Min-Hwan;Kwon, Ki-Ryong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796-806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blind video watermarking algorithm that has the robustness against spatial, temporal, and SNR scalability and transcoding for the copyright protection of video contents in heterogeneous multimedia service. The proposed process of watermark embedding and detecting is accomplished on base layer for considering spatial scalability. The watermark consists of the string and the ordering number of string for considering temporal scalability. Thus, each of frames has the bitstream of one character and a ordering number of its character. To robust against FGS, the proposed algorithm quantizes low and middle frequency coefficients in ROI region of each of frames and embeds its watermark bitstream into the specific bits of the quantized coefficients.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atisfies the invisibility of watermark and also has the robustness against spatial scalability, temporal scalability and F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