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ffolding strateg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1초

An Exploratory Study on the Meaning of Visual Scaffolding in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 PARK, Soyo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215-247
    • /
    • 2017
  •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literature review on visual scaffolding. Visual scaffolding, as a support for learning, employs various forms of visual objects which can be either content-independent or content-dependent and the types of which would be abstract-verbal, concrete-verbal, concrete-visual, or abstract visual. The effectiveness of visual scaffolding can be argu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explicit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emphasis of critical features i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2) supple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3) structural understanding with decrease in cognitive loa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3세와 5세 유아의 혼잣말과 어머니의 비계설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3- and 5-year-old children' private speech and their mothers' scaffolding)

  • 박영순;유안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8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rivate speech during the individual session and maternal scaffolding during mother-child session. Subjects were twenty 3-year-old children and twenty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recruited from day-care centers in Seoul. Mother-child interaction was videotaped for 15 minutes and maternal utterance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maternal scaffolding. Individual session of child after 3-5days was videotaped for 15 minutes and children's utterance was transcribed. Subcategories of maternal scaffold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ren's private speech during individual session. There did appear to be an age difference in this relationship. In verbal strategy for scaffolding that 3-year-old's mother used, other-regulation and control, praise strateg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ren's private speech. In verbal strategy for scaffolding that 5-year-old's mother used, other-regulation and control, teaching strateg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ren's private speech. In maternal physical control strategy, withdrawal of mother physical control the maze task over tim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ren's private speech. Withdrawal of mother physical control 5-year-old's phys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children's private speech.

  • PDF

가상 커뮤니티의 사회적 기반요소가 커뮤니티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 of Social Scaffolding of Virtual Community on its Growth and Thrift)

  • 김효근;이경연;강소라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0권1호
    • /
    • pp.35-46
    • /
    • 2003
  •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Social Scaffolding of virtual community on its growth and thrif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hat communities, which have goof social scaffolding, tend to grow and thrive. Social Scaffolding refers to those aspects of a site Purpose, Places, Profiles, leaders, Roles, Rules, Cyclic Events, integrating with the real world, and Subgroup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virtual communities in Daum Communications and analyzed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i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The result is following ; purpose, loaders, rules, integrating with the real world support the effects of social scaffolding of virtual community on its growth and thrift, but profiles, roles, cyclic events do not.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social scaffolding of virtual community for re-searches, and developers.

  • PDF

The Effect of Visual and Verbal Scaffoldings on Web-Bas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 RHA, Ilju;PARK, Soyo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2호
    • /
    • pp.1-24
    • /
    • 2010
  •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visual and verbal scaffoldings on web-based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 quasi-experiment with 143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was administered. Each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score was obtain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Based on the visualization tendency scores,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low and high level visualization tendency groups. Then each group was split in half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lessons - one with visual scaffolding and the other with verbal scaffolding. The contents of the two lessons were the same. All students' performance was measured through an essay assignment for a problem solving at the end of the less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visual scaffolding group outperformed the verbal scaffolding group (F=22.54, p<.01), regardless of each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level. The effect size was 0.81, indicating high practical significanc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caffolding modalities and students' visualization tendency levels. These findings imply that visual scaffolding is an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student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정보탐색과정(ISP)에 의한 스캐폴딩 전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caffolding Strategies Model by Information Search Process (ISP))

  • 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43-16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학습 과정의 중재 역할에 대한 설계 및 구현 전략을 제시한 Kuhlthau의 ISP 모형을 활용하여 정보탐색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스캐폴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스캐폴딩 전략을 범주화하고, 대전지역의 중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ISP 모형 기반의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프로젝트 수업을 시행한 후, 이에 대한 소감문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분석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한 후 단어 빈도를 추출하고, STM(Structural Topic Modeling)을 활용하여 토픽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최적의 토픽 개수를 결정하고 ISP 모형 각 단계별로 토픽을 추출한 후 추출된 토픽을 인지적 영역-거시적 관점, 인지적 영역-미시적 관점, 정서적 영역 관점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 과정에서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추출한 단어 가운데 인지동사와 감정동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대표 문서 사례를 검토하여 각 토픽과 관련된 스캐폴딩 전략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보탐색과정(ISP) 단계에서 적절한 스캐폴딩 전략이 제공된다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과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0학년의 화학반응속도 학습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 수업의 효과 (The Effects of Courseware Instruction Using Scaffolding Strategy on 10th Grade Students' Learning Chemical Reaction Rate)

  • 조향숙;최병순;박국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3-290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개념 학습 환경에서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코스웨어 수업이 개념 이해도와 노력, 자기 점검 등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충북 청원군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0학년 2개 반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코스웨어와 활동지를 이용한 수업을, 통제집단에는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화학반응속도 단원에 대해 3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에 사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고,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에는 개념 이해 검사와 사후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와 활동지로 학습한 실험집단은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개념 이해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는 스캐폴딩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가 학습자의 개념 발달을 위한 개별화 수업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한편, 문제 해결 능력 하위 변인 검사에서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노력과 자기 점검 그리고 인지전략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는데, 이는 스캐폴딩 전략이 학습의 책임을 학습자에게 이양함으로써 자기 조절력이 향상된 것으로,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의 향상을 위해 스캐폴딩 전략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준다.

요인 분석을 통한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및 기능 탐색 (Exploring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Scaffolding in Open Inquiry through Factor Analysis)

  • 박재용;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204-1221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추출하고, 효과적인 개방적 탐구를 위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을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통해 탐색해 보는 것이다. 개방적 탐구에서 요구되는 스캐폴딩 요소를 탐색하기 위하여 두 중학교에서 개방적 탐구를 수행했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탐구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결과에 대해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에 응했던 학생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추출된 스캐폴딩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개방적 탐구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개방적 탐구에서 교사의 스캐폴딩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살펴보았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스캐폴딩 요소(탐구 동기,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학생들은 개방적 탐구의 스캐폴딩 요소 중 탐구 동기를 제외한 탐구 계획, 탐구 전략, 탐구 환경, 탐구 참여에서 어려운 점을 제시하였고, 특히 자기 역할 인식, 과제 수행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모둠원들과의 협력으로 대표되는 참여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도움 방안을 요구하였다. 한편, 개방적 탐구에서 스캐폴딩의 기능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경험적 시각을 심층 면접을 통해 탐색한 결과, 교사들이 생각하는 스캐폴딩의 기능들을 인지적(개념적, 메타 인지적), 정서적(동기적, 중재적), 전략적 기능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고, 교사들은 스캐폴딩의 전략적 기능과 인지적 기능을 정서적 기능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방적 탐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Strategies on Knowledge Acquisiti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 Satisfaction in Web-based Argumentation

  • BHANG, Sunh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207-23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Strategy supporting argumentation activities between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form of Critical Thinking Strategy offered to support meaningful interaction of collaborative argumentation between learners influences the knowledge acquisition, learning outcome, and student satisfaction. For this, the collaboration outcome of the group, the level of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were measured as outcome of argumentation activity and their differences analyzed. This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A comparison of the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Critical Thinking Strategy (test group) and the group provided with general argumentation scaffolds (compared group) showed ther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the learning outcom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groups and in students satisfaction.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dividual acquisition depending on the offering of scaffolding for Critical Thinking. Therefore, as premised in this study, supporting meaningful mutual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during collaborative argumentation using Critical Thinking Strateg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dividual acquisition of domain knowledge. The group provided with scaffolding for Critical Thinking gained higher effect in the degree of knowledge sharing and individual acquisition of domain knowledge compared to the group provided with general argumentation scaffolding.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Scaffolding for Promoting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 도하영;박정우;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3-6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에서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2학년 8개 소집단에게 소리의 발생과 전달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하여 3차시 동안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준과 수준의 변화를 탐색하고,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을 대상, 목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는 교사 스캐폴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기 위한 교사 스캐폴딩은 첫째, 개인의 인지 발달보다 소집단을 대상으로 스캐폴딩을 지원하고 있었다. 둘째, 결과적 도움보다 과정적 도움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어 참여와 토론을 강조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전략을 제공하기 위하여 진단 전략과 진단 점검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이해 정도와 상황을 파악하고 학생들에게 적합한 전략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을 촉진하기 위해 교사가 스캐폴딩을 어떻게 지원해야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대학 온라인 교육의 스캐폴딩 전략 및 효과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Online Education Scaffolding Stategy and Effect at the University Using a Systematic Review)

  • 홍수민;권현지;한형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63-72
    • /
    • 2022
  •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 교수자 또는 유능한 동료 학습자가 제공하는 도움과 지원을 의미하는 스캐폴딩(scaffolding)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대학 맥락의 온라인 스캐폴딩 전략의 유형과 그 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여섯 개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총 578편의 문헌을 검색하였고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총 7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학 온라인 교육에서의 스캐폴딩 관련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 온라인 교육에서의 스캐폴딩 유형 및 특징, 그 효과를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대학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스캐폴딩과 관련한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