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itiz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43초

Effect of Chlorine Dioxide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on Inhibiting Foodborne Pathogens and on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hemically Injured Cells on Radish Sprouts

  • Choi, Mi-Ran;Kang, Dong-Hyun;Heu, Sung-Gi;Lee, Sun-Young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3권1호
    • /
    • pp.34-39
    • /
    • 2009
  • This study assessed the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ClO_2$) and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in terms of its ability to eliminate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Escherichia coli O157:H7 on radish sprouts (Raphanus sativus L.). Radish sprouts were inoculated with a cocktail containing one each of three strains of three different foodborne pathogens, then treated with distilled water (control) or chemical sanitizers (100 ppm commercial chlorine, and 50, 100, 200 ppm $C1O_2$) for 1, 5, and 10 min at room temperature ($22{\pm}2^{\circ}C$). Population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counted at 4.64, 6.05, and 4.29 log CFU/g, respectively, after inoculation. Treatment with water did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levels of any of the three foodborne pathogens. The levels of all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by treatment with chemical sanitizers; however, the observed levels of reduction of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not significant as compared with the controls. The levels of the three pathogens were reduced most profoundly when treated for 10 min with 200 ppm of $C1O_2$, and the reduction levels of S. Typhimurium,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were 1.17, 1.63, and 0.96 log CFU/g, respectively. When chemically injured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SPRAB for E. coli O157 :H7 and by selective overlay methods for S. Typhimurium and L. monocytogenes, respectively, it was noted that commercial chlorine sanitizer generated more numbers of injured pathogens than did $C1O_2$. These data indicate that $C1O_2$ treatment may prove useful in reducing the numbers of pathogenic bacteria in radish sprouts.

  • PDF

Comparison of Bacterial Counts on the Hand Surface Based on Various Hand Washing Methods

  • Yu, Kyoung-Hwan;Kim, Mija;Kim, Hak K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0권3호
    • /
    • pp.143-14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different methods of hand washing by counting the number of bacteria on the hand surface. Eighteen clinicians were chosen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sisting of six clinicians each. Culturing of the right raw palms of all individuals was performed. Individuals in the control group washed hands for 5 seconds with antimicrobial soap. Group 1 washed their hands for 10 seconds with antimicrobial soap. Group 2 washed with an instant alcohol-based hand sanitizer. After the respective washes, re-culturing of the right raw palm was done for each member of all groups. The colony-forming units (CFU) were calculated at each time point, and the reduction rate of CFU among the three group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using student t-test. Al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FU, according to the time applied (P<0.01).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of CFU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ANOVA (P<0.01). It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group 1, control group and group 2.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at the hand washing method with antimicrobial soap for 10 seconds and hand sanitizer, including alcohol, were excellent for decreasing the number of bacteria on the hand surface.

새싹채소 오염세균의 에탄올과 유기산에 의한 제어 (Bacterial Biocontrol of Sprouts through Ethanol and Organic Acids)

  • 조선경;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9-155
    • /
    • 2012
  • 즉석섭취 신선편이식품 중의 하나인 새싹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오염 미생물 제어방법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형할인마트에서 유통 중인 새싹채소 20제품을 수집하여 세균수와 B. cereus를 살균소독하는 방법으로 에탄올과 초산, 구연산, 젖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에탄올과 유기산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보다 혼합처리한 실험구에서 세균생육저해가 현저하였으며, 유기산 중에서는 1% 젖산-20% 에탄올 처리구에서 10분 노출시간에 7~8 log CFU/g의 세균을 저감화 시킬 수가 있었다. 주요한 식중독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 E. faecalis에 직접 20% 에탄올-1% 젖산로 처리했을 때 10분 후에 세균의 감소가 5~7 log CFU/g 이루어졌으며, Gram 음성세균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새싹채소에서 에탄올 20%와 젖산, 초산, 구연산 1%를 처리한 후 관능검사는 처리 직후가 하루 후보다는 조직감, 갈변화, 이취 등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차아염소산과 더불어 에탄올-젖산 등의 유기산의 적절한 조합으로 새싹채소의 오염 미생물을 저감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에탄올과 유기산에 의한 가공쌀 부패효모의 생육저해 효과 (Growth Inhibition of Yeast Isolated from Processed Rice Cake with Ethanol and Organic Acids)

  • 김종신;이현준;이영택;장학길;박종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9-104
    • /
    • 2007
  • 비살균 가공 쌀가공품의 오염미생물을 제거/불활성화하는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쌀 가공식품에서 가스발생 효모에 의한 저장유통성 문제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부패된 떡볶이용 쌀가공품에서 부패효모를 직접 분리한 후 Pichia anomala, Candida tropicalis등과 같이 에탄올과 유기산의 항미생물제를 처리하여 생육저해를 분석하였다. 20% 에탄올, 1% 아세트산, 혹은 1% 젖산을 각각 처리하면 효모의 생육저해현상이 크지 않았으나 이 에탄올에 각각의 유기산을 혼합하면 효모의 생육저해가 현저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이와 같은 처리제로 30분간 처리에 의하여 효모숫자를 6 log cfu/ml까지 저감화 할 수가 있었다. 아울러 이 복합위생처리제의 온도를 $20^{\circ}C$에서 $50^{\circ}C$로 높혀서 처리하면 그 살균효과가 더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50^{\circ}C$의 20% 에탄올과 1%의 아세트산 혹은 젖산으로 30분간 처리하면 쌀 가공품의 초기 부패균인 효모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특별한 살균처리 없이 저장유통중인 식품소재의 효모에 의한 품질저하를 줄이는데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잔토리졸과 어성초 추출물의 항균 효과 (Microbiological Effects of Xanthorrhizol and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 조완구;김종일;김민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9-274
    • /
    • 2008
  • Anti-microbiological effects of xanthorrhizol, ie., extract from curcuma xanthorrhiza and extract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against influenza virus and E. coli O157 were tested. From the influenza experiments, the effects were shown above 93 % in case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however, the effects was not shown in case of xanthorrhizol. The effects were sustained in mixtur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curcuma xanthorrhiza extracts. We also tested the anti-microbiological effects of hand sanitizer containing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xanthorrhizol. The effect of hand sanitizer containing 2,000 ppm of xanthorrhizol and 500 ppm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 was better than that of commercialized foreign product.

소독약 자동 주입장치용 납축전지의 과 방전 방지시스템 (Over Discharging Protection system of Leak Acid Battery for Automatic Water Sanitizer Device)

  • 배철오;박영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65
    • /
    • 2012
  • 충전과 방전이 빈번히 발생하는 축전지의 사용수명을 늘리고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과 방전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중 하나이다. 축전지의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본 논문에서는 가장 간단하게 축전지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단자전압을 이용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축전지의 잔존용량을 파악하였다. 일정 전압 이하로 축전지의 전압이 떨어지지 못하도록 간단하게 비교기를 이용하여 과 방전이 되지 못하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상수도 시설이 없는 장소의 저수조탱크의 물 소독을 목적으로 제작된 태양광발전을 응용한 소독약 자동 주입장치의 축전지에 설계한 회로를 제작 설치하여 그 동작실험을 하고 그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의 효과 평가: 임상간호사의 손소독 수행 정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Belt-type Hand Sanitizers in Clinical Nurses: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hand disinfection and the satisfaction)

  • 조윤주;이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손소독 수행정도와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효과평가는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만족도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의 종합병원 병동의 임상간호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벨트형 손소독제 사용 후의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벨트형 손소독제는 손소독 수행정도와 손소독 수행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실무에서 벨트형 손소독제를 활용한다면, 손소독 수행 정도와 수행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alcium oxide(CaO)를 활용한 깻잎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및 주요 식중독균의 제어 (Bacteriocidal Effect of Calcium oxide (CaO, Scallop-shell Powder) on Natural Microflora and Pathogenic Bacteria in Sesame Leaf)

  • 연지혜;이동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44-8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인 CaO가 깻잎 중 존재하는 자연균총, E. coli, L. monocytogenes, S. typhimurium에 미치는 저해효과를 알아보았고 chlorine, ethanol, hydrogen peroxide 등과 같은 주요 chemical sanitizer와 비교하였다. CaO를 농도별(0.05-0.2%), 시간별(2-10분) 처리했을 때 총호기성균은 $0.55-1.49\;log_{10}CFU/g$, 대장균은 $0.85-2.56\;log_{10}CFU/g$, E. coli는 $0.16-1.08\;log_{10}CFU/g$, L. monocytogenes는 $0.30-1.14\;log_{10}CFU/g$, S. typhimurium은 $0.19-1.07\;log_{10}CFU/g$의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0.2%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0 ppm의 chlorine, 20% 이내의 ethanol, 1%의 hydrogen peroxide만큼 우수한 살균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 따라 CaO는 기존의 화학적 살균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천연물질유래 살균소독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재질 표면에 오염된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건열살균 및 살균소독제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Dry-Heat Treatment and Chemic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Contaminated on the Surfaces of Materials)

  • 배영민;허성기;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65-1270
    • /
    • 2009
  • 조리기구 및 도구의 재질 표면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은 외식 및 단체급식에서 교차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이 표면에 형성시킨 biofilm은 세척 및 살균소독 과정에서도 살아남아 식중독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살균소독제와 $71^{\circ}C$ 건열 살균을 하였을 때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 오염된 5종류의 병원성 미생물(E. coli O157:H7, S. Typhimurium, P. aeruginosa, L. monocytogenes, S. aureus)의 부착세포와 biofilm에 대한 저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로 염소계와 $71^{\circ}C$ 건열처리는 모두 유의적인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알코올계살균소독제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폴리프로필렌에서 각각 3.4$\sim$6.4 log, 5.5$\sim$7.4 log CFU/coupon 수준의 감소를 보여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살균소독제 처리는 단체급식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독방법이지만, 살균소독제 종류에 따라서 살균 효과 차이가 크고, 미생물의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오염 방법 등 처리 조건의 차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살균 소독을 위해 보다 다양한 조건과 처리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inless steel에 접종된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천연항균제 및 유기산 분무 살균효과 (Efficacy of Aerosolized Natural Antimicrobial and Organic Acids as a Sanitizer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n Stainless Steel)

  • 하수정;양승국;박현주;김충환;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6-341
    • /
    • 2011
  • 본 연구는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그리고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천연항균제와 유기산을 이용한 분무 살균제 (aerosol sanitizer)의 살균효과를 검토하였다. 실제 가공공장의 주요 기계나 기구로 사용하는 stainless steel을 coupon으로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중독 미생물을 model cabinet에서 5분 동안 자몽종자추출물(grapefruit seed extract), acet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lactic acid로 처리 하였다. 3가지 식중독 미생물의 수는 GEF와 유기산 단독 처리시 0.34-3.77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고, 병행 처리시 1.72-3.89 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고 GEF, 유기산 그리고 알코올을 병행 처리시 1.46-5.05 log의 균 감소효과를 나타냈다. 세 종류의 유기산 중 항균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측정된 lactic acid를 이용하여 scale-up 모델에서 10분 동안 처리 한 결과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그리고 L. monocytogenes는 각각 3.42, 2.72, 2.30log의 균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천연항균제와 유기산을 이용한 분무 살균제는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환경 위생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