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ee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강원연안산(産) 까나리 자치어(仔稚漁)의 분포 (Distribution of Larva and Juvenile of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in Kangwon-do Coast, Korea)

  • 한경호;김복기;최수하;김귀영;김용억;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5-162
    • /
    • 1999
  • 강원연안의 까나리 자치어(仔稚魚)의 형태발달 및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연안 6마일 이내의 해역 60개 정점을 선정하여 난(卵) 치자어(稚仔魚) 네트 (RN 80 net)와 기선권형망의 일종인 소형선인망으로 채집하여 관찰하였다. 강원연안에서 까나리 자치어(仔稚魚)의 체장조성 및 출현양상은 1~3월에 평균체장이 10.0~30.0 mm의 개체가 $5.0{\sim}6.0^{\circ}C$의 수온에서 주로 출현하였으며, 4~6월에는 평균체장이 40.0~80.0 mm의 개체가 $7.2{\sim}12.0^{\circ}C$의 수온에서 분포하였다. 자치어(仔稚魚)가 출현하였던 시기는 1월에서 6월까지였고, 6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수온이 낮은 2~3월까지 동해 남부해역에서만 분포하지만, 표층수온이 $7.2^{\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4월부터 점차적으로 북상하여 중부와 북부해역에 나타났고, 분포상 특성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까나리의 생물학적 연구 (Biological Studies on the Sand-eel ,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전찬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3권2호
    • /
    • pp.5-7
    • /
    • 1977
  • 생식소 회복초기의 생태에 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까나리의 결장과 체중의 상대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W=0.0010114L^{2\cdot7281024}$ 2.체중,생식소 및 내장 중량 생식소으 ㅣ체중에 대한 비율은 0.27$\sim$0.87%로 생식소는 회복초기의 것이다. 내장의 체중에 대한 비율은 10.34$\sim$11.86%로 산란군의 생식소의 체중에 대한 비율과 비등하다. 3.척추골의 수 척추골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다. $64.597\pm1.307$

  • PDF

까나리의 생물학적 기초조사 (Variation in the Vertebral Number of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전찬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5권1호
    • /
    • pp.1-3
    • /
    • 1979
  • 1. 거제도, 주문진, 백령도지역의 주요어장산 까나리 표본의 척추골수의 변이를 검정하였다. 2. 척추골수의 평균치(m)와 표준편차($\sigma$)ms 거제도산: m=60.537, $\sigma$=1.314, 주문진산: m=63.614, $\sigma$=1.354, 백령도산: m=61.580, $\sigma$=1.302 이었다. 3. 척추골수의 평균치의 차를 t 검정한 결과 세지역산 까나리 척추골수는 서로 높은 유의도에서 차가있었다. 4. 전(1977)이 1977년 주문진산 까나리 72미의 척추골수(미부골을 포함한 수)를 측정한 것을 미부골을 제외한 수로 고치면 평균 63.57, 표준편차 1.30이 된다. 1977년 표본과 1978년 (본문) 표본과의 척추골 평균수의 차를 t 검정하면 t=0.09로 되어 주문진산 까나리의 척추골수 연교차는 유의차가 없었다.

  • PDF

양미리 (Hypoptichus dybowskii)의 산란과 발생 (Spawning and Egg Development of Sand eel(Hypoptichus dybowskii))

  • 이정용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91-97
    • /
    • 1997
  • In order to study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Sand ell(Hypoptichus dybowskii) catched at kangwon-do, Wooamjin Bay, spawning and egg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in April and May, 1996. The observed spawning period was from the middle of April to the end of May with the water temperature above $8^{\circ}$C. Body size and colouration were distinguished between male and female. The type of testicular structure is lobular, and the ovary is a pair of sac-sahaped covering with a fibromuscula capsule and comprising a mature egg of average 86. The unfertilzed egg are demersal and adhesive, and their diameter were 1.65-1.95 mm. the colour of yolk is light yellow and contained a lot of tiny oil globules. The average spawned egg was 62 in sargasso weeds. Hatching was observed in 12 days after fertilization with the water temperature of 14 ${\pm}1^{\circ}$C. The average size of larva after hatching was 6.85${\pm}$0.23mm in total length, and larva were containing yolk including globule.

  • PDF

Low-value Fish used as Feed is a Source of Disease in Farmed Fish

  • Kim, Do-Hy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03-209
    • /
    • 2015
  • Low-value fish is the most commonly used feed in Asian fish farms despite the fact that its application is controversial in regard to the sustainability and biosecurity of aquaculture. In this study, the causal agent of a disease outbreak at a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arm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whether the low-value fish used at the farm was the source. Infected Korean rockfish and Pacific sand eel used as feed were sampled from the farm, and bacterial cultures recovered from the internal organs of all sampled rockfish were isolated as pure cultures and later identified as Vibrio harveyi. The causal agent of the disease was also isolated from the kidneys of some of the sampled Pacific sand eels.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that the low-value fish used as feed at fish farms can be a key source of infectious diseases.

까나리, Ammodytes personatus의 식성 (Food habits of Sand eel, Ammodytes personatus)

  • 김영혜;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9-98
    • /
    • 1991
  • 까나리의 주요 먹이 생물은 요각류이었으며, 주된 섭식종은 Ca. sinicus이었다. 까나리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 생물의 종류는 다양해지지만 Ca. sinicus를 우점적으로 섭식하였다. 까나리의 위내용물중 먹이 생물로서의 가치는 저연령에서는 P. parvus와 Co. latus가 높았고, 고연령에서는 S. crassa와 Gammaridae가 높았으며, Ca. sinicus는 모든 연령에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까나리는 1.5개월 이상이 되면 소화 기관의 구조가 거의 완벽하게 발달되므로 0.5개월군을 제외한 모든 연령군의 먹이 생물은 같았다. 까나리의 먹이 생물에 따른 연령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 1군은 0.5개월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먹이 생물이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제 2군은 2.5개월군, 15.2개월군, 15.8개월군, 26.7개월군, 27.2개월군으로 구성되었고, Ca. sinicus를 가장 많이 출현함으로써, 우점도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우점 먹이 생물로서 다른 군은 모든 요각류인데 비해 S. crassa가 출현한 것이 특이하다. 제 3군은 1.5개월군, 3.5개월군, 4.5개월군, 11.7개월군, 12.2개월군, 12.8개월군, 13.0개월군, 13.3개월군, 14.0개월군, 14.7개월군, 16.0개월군, 16.3개월군, 17.0개월군으로 구성되었고, 먹이 생물종은 13종이지만 Ca. sinicus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기 때문에 다양도지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까나리, Ammedytes Personatus GIRARD의 생물학적 연구 (BIOLOGICAL STUDIES ON THE SAND-EEL, AMMODYTES PERSONATUS GIRARD)

  • 전찬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15-220
    • /
    • 1974
  • 한국산 까나리의 성장. 산란기와 성비등의 생태에 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문진 부근의 까나리의 주산란기는 11월 하순$\~$12월 하순경이다. 2. 백령도와 거제도의 까나리의 산란기와 산란 여부는 분명하지 않다. 3. 주문진 부근의 산란군의 성비 (수컷/암컷)는 산란전반기에는 0.75로 암컷이 우세하고, 산란 후반기에는 1.36으로 수컷이 우세하다. 4. 까나리의 전장과 체중의 상대 성장 곡선은, 백령도산은 $W=0.0001906L^{3.1998319}$이고, 거제도산은, $W=0.0003419L^{3.0213438}$이다. 주문진산은, $W=0.0002655L^{3.1408629}$이다.

  • PDF

양미리를 급여한 사육 황새에서 ${\beta}$-글로불린 분획의 증가 (Increased ${\beta}$-globulin Levels in Captive Oriental White Storks Fed a Diet of Sand Eels)

  • 한재익;장혜진;정석환;김수경;박시룡;;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2-215
    • /
    • 2014
  • 이 연구는 사육황새에 급여하는 먹이(양미리와 전갱이)의 차이에 따른 혈청 단백질 분획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사육황새를 먹이에 따라 두 그룹(그룹 1과 2)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룹 1에는 22마리, 그룹 2에는 29마리의 황새가 포함되었고, 각각 양미리와 전갱이를 급여하였다. 두 그룹에서 전혈구검사, 혈청화학검사, 단백질분획검사(${\alpha}$-, ${\beta}$- 및 ${\gamma}$-글로불린) 및 지단백질 분획검사(HDL 및 LDL)를 진행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검사 결과 그룹 1에서 ${\alpha}$-글로불린의 감소와 ${\beta}$-글로불린의 증가가 유의적으로 관찰되었다. 그룹 1에서 LDL의 농도는 그룹 2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양미리를 급여한 사육황새에서 ${\beta}$-글로불린의 증가가 LDL의 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방류 연어, Oncorhynchus keta 치어의 해양 먹이선택성 (Marine Prey Selectivity of Released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During arly Marine Migration in Korean Waters)

  • 권오남;김주경;윤문근;김두호;홍관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21-429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feeding ecology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during the critical early life stage prey selectivity of juvenile chum salmon during early marine migration in Korean waters at spring 2011. Salmon juveniles and zooplanktons were collected to draw with $20m{\times}5m$ gill net and $300{\mu}m$ mesh zooplankton net at each station on 11th-13th April n 2011. Collected zooplanktons were classified to 5 Phylum, 6 Class, 9 Order 17 Species in this study. Almost 76.4-100% species were classified to Phylum Arthropoda, dominant species was a species out of Hyperia galba of Order Amphipoda, Acartia spp and Paracalanus parvus of Order Calanoida. Collected salmon juveniles were grew up to average 4.7-5.4 cm fork length and average 1.0-1.5 g wet weight in whole station. Fish stomach content (mg/salmon) was heaver to 97.4, 82.4 and 63.2 mg wet weight/salmon in ST 2, 3, 4 than 20.4, 18.9 mg/salmon of ST 1, 5, because there are fish (sand eel, Hypoptychus dybowskii) and Krill (Euphausia) as prey in salmon stomach in ST 2, 3, 4. And ST 2, 3, 4 and 5 were dominated by Amphipoda as Hyperia galba, Themisto japonica and Gammarus sp., but ST 1 was dominated by copepod, because of absence of Amphipoda in the station. Therefore small Amphipoda as Hyperia galba was good prey for just released salmon juvenile i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