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sensitiv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2초

Positive Regulator, a Rice C3HC4-type RING Finger Protein H2-3(OsRFPH2-3), in Response to Salt Stress

  • Min Seok Choi;Cheol Seong J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9-189
    • /
    • 2022
  • Soil salinity negatively affects plant growth, productivity, and metabolism. Rice is known to have more sensitive phenotypes than other cereal crops, such as wheat, sorghum, and barley. We characterized the molecular function of rice C3HC4 as a really interesting new gene (RING). Oryza sativa RING finger protein H2-3 (OsRFPH2-3) was highly expressed in 100 mM NaCl. To identify the localization of OsRFPH2-3, we fused vectors that include C-terminal GFP protein (35S;;OsRFPH2-3-GFP). OsRFPH2-3 was expressed in the nucleus in rice protoplasts. An in vitro ubiquitin assay demonstrated that OsRFPH2-3 possessed E3-ubiquitin ligase activity. However, the mutated OsRFPH2-3 were not possessed any E3-ubiquitin ligase activity. Under normal conditions, there is no significant phenotypic difference between transgenic plants and WT plants. However, OsRFPH2-3-overexpressing plants exhibited higher fresh weight and length under saline conditions. Also, transgenic plants maintain higher chlorophyll, proline, and soluble sugar contents and lower H2O2 and MDA contents than the wild type; these results support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salinity tolerance phenotypes.

  • PDF

간질 발작으로 내원하여 진단된 Gitelman 증후군 1례 (A Case of Gitelman Syndrome Presented with Epileptic Seizure)

  • 박지민;김정태;신재일;김흥동;김태영;정해일;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68-73
    • /
    • 2004
  • Gitelman 증후군과 Bartter 증후군은 모두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신 세뇨관 질환으로 낮은 혈중 포타시움 농도, 대사성 알칼리혈증, 염분 소실, 정상 또는 낮은 혈압을 특징으로 한다. Gitelman 증후군은 thiazide-sensitive Na-Cl cotransporter(NCCT)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발생하며, 저마그네슘혈증과 저칼슘뇨증이 있는 것으로 Bartter 증후군과 구별된다. 환자들은 대개 증상이 없으며, 일정 기간 동안 근 약화, 테타니 등을 보이지만, 대부분의 경우 성인이 되어서 진단된다. 저자들은 11세된 여아에서 간질 발작의 악화로 내원하였다가 우연히 발견된 Gitelman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itelman 증후군의 진단은 대사성 알칼리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저칼슘뇨증에 의해 근거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환자의 SLC12A3 유전자에서 이종접합체성 $^{642}$Arg(CGC)>Cys(TGC)변이와 동종접합체성 가성엑손을 확인하였다.

  • PDF

저온 민감성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돌연변이 균주에서 glycine betaine의 저온 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Studies of cold resistant glycine betaine effect on cold sensitive Bacillus subtilis mutant strains)

  • 김도형;이상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00-207
    • /
    • 2018
  • 높은 염분 농도에서 glycine betaine은 Bacillus subtilis 안으로 유입되어 세포 생장이 지속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온에서도 glycine betaine이 세포 생장을 지속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에서 Bacillus subtilis의 생장을 저해시키는 세포 대사 활동으로는 세포막 운송과 단백질 합성을 들 수 있다. 세포막 구조와 관련하여 저온에서 세포막 운송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들로는 bkdR과 des가 있고,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RNA helicase 유전자인 ydbR과 yqfR들은 저온 민감성을 보인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 저온 민감성 유전자 결손 세포들에 대한 glycine betaine의 효과를 조사하여 저온에서의 glycine betaine 생리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 glycine betaine의 존재 유무에 따라 야생형 Bacillus subtilis와 ydbR과 yqfR 결손 균주의 저온생장에 큰 차이를 보였다($T_d$차이 190~686 min). 반면에 bkdR이나 des 결손균주의 경우에는 glycine betaine 존재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lycine betaine의 전구체인 choline으로 대치하여도 저온에서의 생장은 같은 결과를 보였다. Glycine betaine의 영향이 세포막 구조와 관련이 있는 유전자 bkdR과 des 결손균주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세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Triton X-100과 N-lauryl sarcosine 세제에 의해 bkdR 결손 균주가 야생형에 비해 더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bkdR 결손이 저온에서 막 구조를 변형하여 glycine betaine의 투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한련초의 발아(發芽) 및 출현(出現)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Eclipta prostrata(L.) L.)

  • 이한규;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9-307
    • /
    • 1988
  • 한련초의 발아(發芽)와 출현(出現)에 미치는 외적(外的) 요인(要因)의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수개(數個)의 시험(試驗)이 수행(遂行)되었다. 한련초의 종자(種子)는 90분(分) 침종(浸種)에 의(依)해 2배(倍) 무게로 증가(增加)되었다. 발아율(發芽率)은 상온(常溫)보다 변온(變溫)에서 더 높아 $35^{\circ}C$에서 78%, 35/$20^{\circ}C$에서 96.5%였다.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는 수분(水分)Stress에 극(極)히 민감(敏感)하였다. 산소(酸素) 결핍조건(缺乏條件)에서는 발아(發芽)하지 않았으나 대기수준(大氣水準) 이상(以上)의 $O_2$함량(含量)에서도 발아(發芽)는 촉진(促進)되지 않았다. 암조건(暗條件), 녹색(綠色), 청색(靑色), far-red광조건(光條件)에서는 발아(發芽)하지 않았고 적색(赤色), 황색광조건(黃色光條件)에서는 정상(正常) 발아(發芽)하였다. pH3-10 범위(範圍)에서는 발아율(發芽率)에 유의변화(有意變化)가 없었다. 한련초 종자(種子)는 salt에 높은 내성(耐性)을 보여, NaCl 0.8%에서 81.5%의 종자(種子)가 발아(發芽)하였다. 토양내(土壤內) 종자(種子) 깊이에 따라 출현(出現)이 극(極)히 민감(敏感)하여, 밭조건(條件)에서는 0.5cm 깊이에서도 출현(出現)하지 않았고 논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는 얕은 깊이에서도 출현(出現)하지 않았다.

  • PDF

사료 첨가용 생균제를 위한 Probiotics 유산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Isolates for Calf Meal Supplements)

  • 이승배;최석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6-112
    • /
    • 2006
  • 한우와 홀스타인의 분변으로부터 MRS 배지와 LAPT 배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선발법으로 54균주의 유산균을 1차로 분리하였다. 1차로 분리된 54균주에 대해 내담즙성이 우수한 10균주를 분리한 다음 내산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위액 pH 2.5에서 LS1, LS15 및 LL6 균주가 각각 66.5%, 82.6% 및 80.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Sta. aureus 및 Cl. perfringens의 병원균에 대해 가장 큰 항균력을 보인 균주는 LL6와 LL7이었다. API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S1, LS2 및 LMI 균주는 모두 L. fermentum, LL6와 LL7 균주는 L. acidophilus, LS3 균주는 L. plantarum으로 각각 동정되었고, 나머지 4균주는 Lactobacillus spp. 로 동정되어 분리된 10균주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간균임을 확인하였다. 10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한 결과 ampicillin, amoxicillin과 erythromycin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있으나 colistin과 ciprofloxacin에 대해 모두 내성을 나타내었다. LB1, LL6 및 LL7 균주는 gentamicin과 neomycin에 대해 내성을 보여 주었다. 분리 동정된 균주 중에 내산성, 내담즙성 및 병원성 균에 대한 특성을 기준으로 판단할 경우 probiotic 유산균으로 사용 가능성이 높은 것은 LL6인 L. acidophilus로 나타났다.

NaCl stress에 의한 몇가지 보리 품종들의 생육시기별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Barley cultivars grown on NaCl stress)

  • 조진웅;박기선;이석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
    • /
    • 2000
  • 본 연구는 몇 가지 보리 품종들을 공시하여 염해에 대처할 재배법 개선과 내염성 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 NaCl stress를 처리하고 보리의 생육특성과 품종간 염해 반응을 조사하였다. 초장, 근장, 분얼수, 잎 수 등은 NaCl 처리로 감소하였으며 그 중 분얼수가 염해를 가장 많아 받았고, 염해를 받은 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그 피해는 증대되었다. 그리고 분얼기에 처리한 것이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보다 NaCl stress를 더 받는 것을 보였다. 잎, 뿌리, 줄기로 구분한 생체중과 건물중 변화는 두 시기 모두 뿌리가 NaCl stress를 가장 심하게 받았다. 수량 구성요소 중 NaCl stress를 가장 많이 받는 것은 분얼기에 처리한 것이 100립중으로 무처리의 64.1% 였으며,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은 이삭 수로 무처리의 81.8% 였다. 수량구성요소로 살펴 본 NaCl sterss에 의한 품종간 차이는 분얼기에 처리한 경우 부농이 가장 약하였으며, 다음이 찰쌀보리, 동보리1호, 늘쌀보리 순이었으며, 유수형성기에 처리한 것은 늘쌀보리가 가장 약하였고 다음이 동보리1호, 부농, 찰쌀보리 순이었다.

  • PDF

Lux operon을 함유한 유전자 재조합 Escherichia coli의 발광 안정화 조건 및 독성물질에 대한 민감성 (Conditions for Stable light Production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Containing Lux Operon and Sensitivity to Toxic Chemicals)

  • 배희경;이상민;정윤철;송방호;신평균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71-576
    • /
    • 2002
  • 수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을 확인하기 위한 생물학적 경보장치로 현재 상용화된 Lumistox의 단점을 보안하기위해, Photohabdus luminescence의 lux CDABE 유전자가 응합되어 기질첨가의 번거러움이 없는 재조합 E. coli DH5$\alpha$/pSB311을 제조하였다. 적정 생장 상태와 생균수, 발광 측정 완충용액들을 중심으로 재조합 S. coli DH5$\alpha$/pSB311의 발광 안정화 조건을 조사한 결과, 적정 세포수가 유지되면 측정 완충용액은 그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O $D_{660nm}$ 0.6~0.7 정도의 middle-exponential stage까지의 cell age를 가지고 $10^{6}$-$10^{7}$ 정도 희석한 세포수가 가장 안정화된 발광량을 보여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도에 따른 재조합 E. coli와 Lumistox의 발광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Lumistox는 15$^{\circ}C$에서는 안정하나 실온(25 ~ 3$0^{\circ}C$)에서는 급격하게 발광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이는 반면, E. coli DH5$\alpha$/pSB311은 Photohabdus luminescence의 lux operon을 함유함으로써 온도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재조합 E. coli와 Lumistox의 중금속에 대한 독성정도를 EC값으로 산출하였다. Cd, Cu, Hg, Zn에 대해서 E. coli DH5$\alpha$/pSB311은 Lumistox보다 더 민감하거나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이는 Lumistox의 성장과 발광을 안정화시켜 주는 고농도의 salt에 의한 민감도의 저하에 따른 현상으로, 광산이나 공장폐수와 같은 수계의 중금속 독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생물경보장치로 사용하기에는 해양 발광 미생물을 이용하기보다는 재조합 E. coli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교반막대 추출법과 GC-MS/MS를 이용한 수중의 합성 향물질류 분석 (Analysis of Synthetic Fragrances (SFs) in Water Using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SBSE) and GC-MS/MS)

  • 서창동;손희종;염훈식;최진택;류동춘;권기원;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7-3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SBSE 전처리 장치와 GC-MS/MS를 이용하여 합성 향물질 11종을 동시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을 개발하기 위해 흡착 bar의 교반시간, 교반속도, 시료수의 pH, 시료수 용량, 염석제 투입량 및 메탄올 주입량 변화 등 SBSE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전처리 조건과 GC-MS/MS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의 기기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SBSE-GC-MS/MS를 이용한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11종의 합성 향물질들에 대한 검출한계(LOD)는 2.1~4.1 ng/L였으며, 정량한계(LOQ)는 6.6~12.9 ng/L였다. 수돗물, 낙동강 원수,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 및 해수를 이용하여 시료수의 matrix 영향을 살펴본 결과, 11종의 합성 향물질들의 회수율 및 RSD의 경우 각각 88%~119% 및 0.8%~7.5%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시료수의 matrix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BSE-GC-MS/MS 분석법은 40 mL 정도의 적은 시료수량으로도 고감도 분석이 가능하며, 용매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자의 건강 및 환경친화적인 분석법이라는 장점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빠르며 자동화된 방법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층상 실리케이트계 나노복합 소재 적용 습도센서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humidity sensors using 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 materials)

  • 박병기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31-38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층상 실리케이트계 나노복합소재 감습막제조를 통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나노복합소재 제조를 위하여 나노물질로 4급 암모늄염으로 유기화 처리된 층상 실리케이트 물질인 Cloisite®, Bentone®으로 선정하였다. 유기화 처리된 montmorillonite/hectorite 점토 첨가 습도센서는 RH(%)증가에 따라 임피던스는 감소하였다. Cloisite® 습도센서의 경우 Bentone® 38 습도센서에 비해 임피던스 직진성 및 히스테리시스는 다소 우수하였다. 임피던스는 Bentone® 38을 첨가한 센서가 Cloisite® 첨가형 센서와 비교해 가장 낮게 나타났다. Cloisite® 첨가형 센서를 각각 비교하면 유기화 처리된 물질의 친수성 영향에 따라 감습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응답 속도는 친수성 특징에 따라 Cloisite® 93A가 느려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 역시 친수성 유기물에 의한 수분 증발 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기화된 층상 실리케이트계 물질을 이용한 감습막은 기존의 고분자계 감습막과 비교해 감습특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공중합, 가교구조화, 등 복잡한 공정 없이 안정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공정으로 감습막 제조가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습도센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용존산소농도와 pH의 동시 검출용 이중층 광학 센서막의 특성 및 발효공정의 온라인 모니터링에의 응용 (Characterization of Double-layer Optical Sensing Membranes for Dual Sensing of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s and pH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On-line Monitoring of Fermentation Processes)

  • 김춘광;이종일
    • 공업화학
    • /
    • 제20권4호
    • /
    • pp.370-374
    • /
    • 2009
  • 용존산소농도(DO)와 pH를 동시에 검출하기 위하여 이중층 광학 센서 막을 제조하였다. DO 민감성 염료인 Rudpp를 MTMS 졸-겔에 혼합하고 24-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코팅하였다. DO-검출층 위에 HPTS와 혼합된 GA 졸-겔용액을 코팅하고 pH 측정을 위해 사용하였다. 이중층 광학 센서 막은 온도와 이온 강도에 영향을 받았다. 또한 DO와 pH 이중층 광학 센서 막은 미생물발효공정에 온라인 모니터링 하는데 응용하였으며 좋은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