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gradient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9초

옥수수 뿌리로부터 분리한 Membrane-bound ATPase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Membrane-bound Adenosine Triphosphatase from Corn Roots)

  • Moon, Hye Yeon;Kwang Soo Roh;Woong Seop Sim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4호
    • /
    • pp.171-179
    • /
    • 1981
  • 옥수수 뿌리로부터 분리한 13,000g pellet과 13,000~80,000g pellet 내에 있는 membrane-bound ATPases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13,000g pellet과 13,000~80,000g pellet의 membrane-bound ATPases의 최적 pH는 5와 9였다. Discontinuous sucrose gradient centrifugation에 의한 13,000g pellet의 분획중 Fraction C는 pH 5에서, Fraction D, E 및 F는 pH 5에서보다 pH 9에서 더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13,000~80,000g pellet의 분획에서 보면, Fraction A, C는 pH 9보다 pH 5에서, Fraction B, D, E 및 F는 pH 5보다 pH 9에서 더 높은 활성을 가겠다. pH 5와 pH 9에서 membrane-bound ATPases의 기질포화 농도는 3~5 mM이며 ATP에 대한 Km 값은 모두 0.25 mM이였다. Vmax 값은 8.0~55.6 $\mu$M Pi/mg membrane protein/hr의 범위에 있었다. Membrane-bound ATPase의 활성은 $K^+$ 이온에 의해 증가되었다.

  • PDF

Hexane 분해 혼합균의 특성 (Properties of a Hexane-Degrading Consortium)

  • 이은희;김재수;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5-221
    • /
    • 2005
  • Hexane을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한 무기염 배지에서 hexane 생분해 속도와 비성장속도를 구하였고, $^{14}C-hexane$을 이용하여 무기화(mineralization)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16S rDNA PCR-DGGE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consortium의 미생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다. Consortium CH의 최대 비성장속도 (${\mu}_{max}$)값은 $0.2\;h^{-1}$이고, 최대 hexane 분해속도 ($V_{max}$)와 포화상수 ($K_{s}$)는 각각 460 ${\mu}mol{\cdot}g-DCW^{-1}{\cdot}h^{-1}$ 및 25.87mM 이었다. Consortium CH는 $^{14}C-hexane$의 약 $49.1\%$를 무기화하였고, $43.6{\%}$$^{14}C-hexane$는 biomass를 증가시키는데 사용하였다. DGGE band로부터 얻은 clone들은 유류, biphenyl, PCE 및 폐가스 등과 같은 오염물질 분해능을 가진 세균들과 유사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hexane 생분해용 consortium은 향후 hexane 제거용 생물학적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염도의 변화에 따른 미생물 군집의 변화: 경북 형산강 하류 미생물 군집 변화의 DGGE pattern 분석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Shift Driven by Salinity: Analysis of DGGE Band Patterns from Freshwater to Seawater of Hyeongsan River, Korea)

  • 백보람;;황철원;도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6-414
    • /
    • 2013
  • 강의 하류지역에서 미생물의 군집이 점진적인 염도의 증가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보기 위하여, 경북 형산강의 하류에서부터 연안해역으로 유입되는 곳까지 약 2.91 km 간격으로 0.02%, 1.48%, 2.63%, 3.62%의 염분을 포함하는 물 시료를 얻어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를 수행하였다. 계통분석, 계통수 및 각 시료간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미생물 군집의 변화가 염분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염분의 농도가 미생물 군집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제시한다. 덧붙여 연안 지역이나 다른 수계환경에 비해 하류지역은 염분의 점진적인 변화로 인해 좁은 면적에 비하여 미생물 다양성이 크고, 이는 곧 특이하고 새로운 종을 찾기에 좋은 장소임을 시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하구 연안습지의 2009년 기준 갈대 및 칠면초 우세 군집 분포양상과 면적 제시 (The 2009-based detailed distribution pattern and area of Phragmites communis-dominant and Suaeda japonica-dominant communities on the Suncheon-bay and Beolgyo estuarine wetlands)

  • 홍석휘;전승수;엄진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6-37
    • /
    • 2015
  • 2008년과 2009년에 획득된 KOMPSAT-2 위성영상 자료와 야외조사를 병행하여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경계를 확인하고 분포 양상과 면적을 구하였다. 순천만과 벌교 연안습지의 주요 군락은 갈대와 칠면초 우점군락으로 확인되었다. 퇴적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조간대 표층의 수준측량과 퇴적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염습지의 퇴적상은 대부분 실트질 니와 니질 퇴적상을 보였으며 계절변화는 매우 작았고, 지형구배는 경사도가 $0.0007{\sim}0.002^{\circ}$로 매우 평탄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염생식물은 평균해수면보다 0.7~1.8 m 높은 곳을 점하고 있었으며, 갈대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1.1~1.8 m, 칠면초 우점군락은 평균해수면 위 0.7~1.3 m 높은 고도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2009년 분포를 기준으로 순천만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79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22km^2$로, 총 면적은 약 $1.01km^2$이다. 벌교천 하구 연안습지의 갈대 우점군락 면적은 약 $0.31km^2$, 칠면초 우점군락의 면적은 약 $0.031km^2$이며, 총 면적은 약 $0.341km^2$이다. 순천만-벌교 하구 염습지에서 각기 105개와 60개의 염생식물 단위군락의 분포양상과 면적이 제시될 수 있었다. 2008/2009년 위성영상에 의해 분석된 염생식물 군락의 정밀한 분포양상과 면적은 국내에서 가장 중요한 염습지인 해당 연구지역에서 향후 염습지 관련 모니터링의 기본자료로 매우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한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생리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 Treatments)

  • 박희란;윤소정;박한설;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90-597
    • /
    • 2013
  •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은 가열 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비가열 살균기술로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기술이다. 본 실험에서는 미생물의 생리적 측면에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한 효모의 생리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염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사멸하지 않은 세포의 90-99% 이상이 세포 손상에 의해 내염성을 소실하였으며, 내염성을 회복하는데 약 4-6시간의 시간이 걸렸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초기에는 세포 내외의 pH 구배(${\Delta}pH$)가 차이가 컸으나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가 감소하였다. 이는 세포의 pH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H^+$-traslocation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H^+$-ATPase 활성이 소실되었거나 세포막 자체가 손상되어 pH 항상성을 잃어버렸기 때문으로, 이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한 세포의 $H^+$-ATPase의 활성이 초기부터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의 해당활성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여 세포의 대사 기능이 손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Noisy-Robust Approach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Tong, Ying;Shen, Yuehong;Gao, Bin;Sun, Fenggang;Chen, Rui;Xu, Yef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4호
    • /
    • pp.2124-2148
    • /
    • 2017
  • Accurate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ER) requires reliable signal filtering and the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Considering these requirement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for FER which is robust to noise. The main contributions of this work are: First, to preserve texture details in facial expression images and remove image noise, we improved the anisotropic diffusion filter by adjusting the diffu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wo factors, namely, the gray value differe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background and the gradient magnitude of object. The improved filter can effectively distinguish facial muscle deformation and facial noise in face images. Second, to further improve robustness, we propose a new feature descriptor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s with the Canny operator (Canny-HOG) which can represent the precise deformation of eyes, eyebrows and lips for FER. Third, Canny-HOG's block and cell sizes are adjusted to reduce feature dimensionality and make the classifier less prone to overfitting. Our method was tested on images from the JAFFE and CK databases. Experimental results in L-O-Sam-O and L-O-Sub-O mode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Meanwhile, the recognition rate of this method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the presence of Gaussian noise and salt-and-pepper noise conditions.

Prediction of Chemotherapeutic Response in Unresectable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by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MTS) Assay

  • Chen, Juan;Cheng, Guo-Hua;Chen, Li-Pai;Pang, Ting-Yuan;Wang, Xiao-L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3057-3062
    • /
    • 2013
  • Background: Selecting chemotherapy regimens guided by chemosensitivity tests can provide individualized therapies for cancer patients. The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 (MTS) assay is one in vitro assay which has become widely used to evaluate the sensitivity to anticancer ag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MTS assay for predicting chemotherapeutic response in unresectable NSCLC patients. Methods: Cancer cells were isolated from malignant pleural effusions of patients by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and their sensitivity to eight chemotherapeutic agents was examined by MTS assay and compared with clinical response. Results: A total of 37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MTS assay produced results successfully in 34 patients (91.9%). The sensitivity rates ranged from 8.8% to 88.2%. Twenty-four of 34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were evaluated for in vitro-in vivo respons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n vitro chemosensitivity result and in vivo response was highly significant (P=0.003), and the total predictive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for MTS assay were 87.5%, 94.1%, 71.4%, 88.9%, and 83.3%, respectively. The in vitro sensitivity for CDDP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 vivo response (P=0.018, r=0.522). Conclusion: MTS assay is a preferable in vitro chemosensitivity assay that could be use to predict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select the appropriate chemotherapy regimens for unresectable NSCLC patients, which could greatly improve therapeutic efficacy and reduce unnecessary adverse effects.

Improved Purification Process for Cholera Toxin and its Application to the Quantification of Residual Toxin in Cholera Vaccines

  • Jang, Hyun;Kim, Hyo-Seung;Kim, Jeong-Ah;Seo, Jin-Ho;Carbis, Rodney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108-112
    • /
    • 2009
  • A simplifie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cholera toxin was developed. The 569B strain of Vibrio cholerae, a recognized hyper-producer of cholera toxin, was propagated in a bioreactor under conditions that promote the production of the toxin. The toxin was separated from the bacterial cells using 0.2-${\mu}m$ crossflow microfiltration, the clarified toxin was passed through the membrane into the permeate, and the bacterial cells were retained in the retentate. The 0.2-${\mu}m$ permeate was then concentrated 3-fold and diafiltered against 10 mM phosphate buffer, pH 7.6, using 30-kDa crossflow ultrafiltration. The concentrated toxin was loaded onto a cation exchange column, the toxin was bound to the column, and most of the impurities were passed unimpeded through the column. The toxin was eluted with a salt gradient of phosphate buffer, pH 7.0, containing 1.0 M NaCl. The peak containing the toxin was assayed for cholera toxin and protein and the purity was determined to be 92%. The toxin peak had a low endotoxin level of $3.1\;EU/{\mu}g$ of toxin. The purified toxin was used to prepare antiserum against whole toxin, which was used in a $G_{M1}$ ganglioside-binding ELISA to determine residual levels of toxin in an oral inactivated whole-cell cholera vaccine. The $G_{M1}$ ganglioside-binding ELISA was shown to be very sensitive and capable of detecting as little as 1 ng/ml of cholera toxin.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 by 16S rRNA Gene Sequenc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and PCR-DGGE

  • Lee, Yoonju;Cho, Youngjae;Kim, Eiseul;Kim, Hyun-Joong;Kim, Hae-Y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112-1121
    • /
    • 2018
  • Jeotgal is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eafoo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salt. In this study, w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alchi (Trichiurus lepturus, hairtail) and myeolchi (Engraulis japonicas, anchovy) jeotgal on MRS agar and MRS agar containing 5% NaCl (MRS agar+5% NaCl), and identified them by using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 as culture-dependent methods. We also performed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as a culture-independent method to identify bacterial communities. Five samples of galchi-jeotgal and seven samples of myeolchi-jeotgal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A total of 327 and 395 colonies were isolated from the galchi- and myeolchi-jeotgal samples, respectively. 16S rRNA gene sequencing and MALDI-TOF MS revealed that the genus Pediococcus was predominant on MRS agar, and Tetragenococcus halophilus on MRS agar+5% NaCl. PCR-DGGE revealed that T. halophilus, Tetragenococcus muriaticus, and Lactobacillus sakei were predominant in both types of jeotgal. T. halophilus was detected in all samples. Even though the same species were identified by both culture-dependent and -independent methods, many species identified by the culture-dependent methods were not in the bacterial list identified by the culture-independent methods.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galchi-jeotgal was more diverse than in myeolchi-jeotgal. The diverse LAB in galchi- and myeolchi-jeotgals can be further studied as candidates for starter cultures to produce fermented foods.

잔여 파동장 분리 기법을 이용한 주파수영역 파형역산 (Frequency-domain Waveform Inversion using Residual-selection Strategy)

  • 손우현;편석준;곽상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4권3호
    • /
    • pp.214-21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에서 분리된 잔여 파동장을 이용하여 주파수영역 파형역산을 수행하였다. 시간영역 잔여 파동장들을 절대값의 크기에 따라 정렬하여 분류하고, 이를 여러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잔여 파동장들은 각 그룹별로 목적함수의 경사 방향을 정규화한 후 평균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잔여 파동장에서 작은 크기를 가지는 파동장들을 상대적으로 강조하는 효과가 있고, 이는 파형역산 시 심부구조의 이미지 향상에 도움을 준다. 파형역산은 시간영역에서 분리된 잔여 파동장을 이용하여 주파수영역에서 수행되며, 목적함수의 경사방향은 구조보정에서 많이 쓰이는 역전파 기법을 적용하여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EG/EAGE 암염 모델과 Marmousi 모델을 이용하여 파형역산을 수행하였다. 역산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일반적인 주파수영역 파형역산에 비해 심부구조에 대하여 향상된 결과를 제시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