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ity effect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37초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 유생의 염분, 수온 및 먹이조건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Salinity, Temperature and Diet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Metapenaeopsis dalei (Rathbun) (Decapoda: Penaeidae))

  • 최정화;홍성윤;이종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8-383
    • /
    • 2001
  • 실험에 사용한 성숙한 난소를 가진 산모양깔깔새우 (Metapenaeopsis dalei)는 1999년 8월 11일 충남 외연도 근해에서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산란한 유생을 4개의 염분구간과 3개의 수온구간 및 5개의 다른 먹이 조건에서 사육하여 이들의 생존율과 성장률을 비교하였다. 염분조건에서는 채집지의 염분과 유사한 30과 35에서 생존율이 높았고, 수온 조건에서는 산란 수온$24^{\circ}C$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먹이 조건 실험에서는 식물성먹이에서 생존율과 성장이 동물성을 투여한 실험구보다 높았다.

  • PDF

사육조건에 따른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 with Culture Conditions)

  • 노섬;윤영석;최영웅;정민민;김종수;노경언;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8-183
    • /
    • 2007
  • Saddleback clownfish, Amphiprion polymnus의 자치어의 생존율 향상을 목적으로 Artemia nauplii 섭식량, 사육수조의 색깔과 염분을 달리한 조건에서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 조사하였다. 사육수조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 조사에서 성장은 검정색 수조와 투명수조에서 사육한 자어가 흰색과 파란색수조에서 보다 성장이 빨랐다. 생존율은 흰색과 투명수조에서 파란색과 검정색 수조에서 보다 높았다. 부화 후 5일째부터 17일째 자어(Total length $5.1{\sim}10.0mm$)에 Artemia nauplii를 50개체/$0.5L{\sim}700$개체/0.5L 범위로 공급한 결과 일일섭식량은 36.8개체(부화 후 5일째)${\sim}$429.3개체(부화 후 17일째)였다. 그리고 염분 내성조사에서 32 psu부터 7일 간격으로 5 psu씩 하강시킨 경우 실험 16일째 22 psu에서 급격히 폐사개체가 늘어나 실험 22일째 전 개체가 폐사하였고 3일 간격으로 2 psu씩 하강시킨 경우 실험 27일째 16 psu에서 전 개체가 폐사하였다.

서식어장별 수온.염분이 섬진강 강굴, Crassostrea ariakensi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on the Growth of Crassostrea ariakensis in Seomjin River)

  • 안윤근;윤호섭;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4권1호
    • /
    • pp.60-66
    • /
    • 2006
  • 강굴의 자원조성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서식어장별 수온과 염분이 강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식어장별 수온 범위는 $3.5\sim26.2^{\circ}C$의 범위로 각 정점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염분의 경우 $2.6\sim29.5\;psu$의 범위로서 배알도에서 가장 높은 염분농도를 나타내었으며, 상류지역인 돈탁에서 가장 낮은 염분농도를 나타내었다. 비만도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상류지역인 돈탁에서 가장 높았다. 비만도는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가장 낮았다. 그 결과 강굴의 산란기는 $6\sim7$월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각 정점별 각고의 크기를 살펴보면 $149.7{\pm}19.8\;mm$ (배알도), $148.6{\pm}21.3\;mm$ (섬진대교) 그리고 $143.1{\pm}17.6$(돈탁)로 나타났다. 각고에 따른 각장(SL), 각폭(SW), 전중(TW) 그리고 육중(MW)의 상관계수 범위 $(r^2)$$0.024\sim0.0471$로 나타났다.

염도와 수온의 변화가 Vibrio vulnificu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Vibrio vulnificus)

  • 김영만;권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7-376
    • /
    • 1997
  • Vibrio vulnificus is a gram-negative, halophilic, oxidase-positive, lactose-positive, motile, rod shaped bacterium that has been associated with primary septicemia and wound infection. Elucidating the growth and survival of V. vulnificus in ecological conditions is of great importance to develop sanitary measure against this microorganism. Thus we simulated the ecological conditions and evaluated the effect. About $10^5\;CFU/ml$ of V. vulnificus was inoculated to fresh water, brackish water $(1\%\;NaCl)$, sea water $(3\%\;NaCl)$, and bottom deposit solution. The same concentration of V. vulnificus was also inoculated to distilled water, $1\%\;NaCl$ solution and $3\%\;NaCl$ solution as controls. These were stored at 4, 15 and $25^{\circ}C$, respectively and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survival of V. vulnificus. In fresh water V. vulnificus could not survive regardless of storage temperature. In case of brackish water and sea water survival time of V. vulnificus was the longest at $25^{\circ}C$, and the number of V. vulnificus was decreased most rapidly at $4^{\circ}C$. V. vulnificus survived longer in brackish water than in any other conditions. In bottom deposit solution containing brackish water, the survival time of V. vulnificus was longer and the rate of decline was slower than that in brackish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salinity could affect survival of V. vulnificus. V. vulnificus, damaged in normal fresh water, did not grow on TCBS agar of selective plating medium but grew on BHI agar plate; However, V. vulnificus was recovered by addition of salt and nutrient materials.

  • PDF

염분농도에 따른 치어기 은대구(Anoplopoma fimbria)의 혈액학적 성상, 혈장성분 및 항산화반응의 변화 (Alterations of Hematological Parameters, Plasma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Responses in the Sablefish Anoplopoma fimbria Depending on Salinity)

  • 김준환;박희주;황인기;김도형;오철웅;이정식;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30-837
    • /
    • 2016
  • Juvenile Anoplopoma fimbria (mean length $15.6{\pm}1.4cm$, mean weight $68.7{\pm}4.3g$) were exposed to 4 month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salinity [100 (35.0), 90 (31.5), 80 (28.0), 70 (24.5), 60 (21.0), 50 (17.5), and 40 (14.0) % (psu)] for 4 months. Hematological parameters such as red blood cell (RBC) counts, hematocrit (Ht), and hemoglobin (Hb) concentrations were substantially decreased under salinities of 50% psu or lower. Of the measured inorganic plasma constituents, magnesium was notably decreased, whereas there was no effect on calcium. Among organic plasma components, glucose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otal protein was decreased. Among enzyme plasma components, glutamic oxalate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ate transaminase (GP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der salinities of 50% psu or lower. Antioxidant responses such a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nd glutathione (GSH)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salinities of 50% psu or l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alinity affects the blood parameters, plasma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responses of A. fimbria.

Improvement of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on in Mychonastes sp. 247 by Optimizing Light Intensity and Culture Salinity Conditions

  • Seong-Joo Hong;Kyung June Yim;Young-Jin Ryu;Choul-Gyun Lee;Hyun-Jin Jang;Ji Young Jung;Z-Hu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2호
    • /
    • pp.260-267
    • /
    • 2023
  • In this study, we sought to improve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on in Mychonastes sp. 247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vity in Mychonastes sp. The basic medium selection and N:P ratio were adjusted to maximize cell growth in one-stage culture, and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two-stage culture. The maximum lutein production was observed at a light intensity of 60 μE/m2/s and salinity of 0.49%, and the maximum zeaxanthin production was observed at a light intensity of 532 μE/m2/s and salinity of 0.78%.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on in the optimized medium increased by up to 2 and 2.6 folds,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in the basic medium.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lutein and zeaxanthin production are different and that optimization of light intensity and culture salinity conditions may help increase carotenoid production. This study presents a useful and potential strategy for optimizing microalgal culture condition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lutein and zeaxanthin, which has applications in the functional food field.

염분과 온도의 동시 영향에 따른 해양 미세조류 Nannochloropsis granulata와 Chlorella vulgaris의 중성지질 및 녹말 축적에 관한 연구 (Simultaneous Effect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n the Neutral Lipid and Starch Accumulation by Oceanic Microalgae Nannochloropsis granulata and Chlorella vulgaris)

  • 고경준;이치헌;문혜나;이연지;양진주;조기철;김대경;여인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6-245
    • /
    • 2016
  • 미세조류는 육상 식물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며 다량의 지질과 탄수화물을 축적할 뿐 아니라 카로테노이드,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을 체내에 축적하므로 바이오 에너지 및 기타 산업의 유망한 재료로 인식 되어왔다. 미세조류의 온도, 염분, 빛 등 비생물적 스트레스와 다양한 배양 조건에 따른 생화학 물질의 축적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러한 조건들의 동시적인 효과에 따른 성장과 생화학물질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두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Nannochloropsis granulata의 염분(10, 30, 50 psu) 및 온도(20, 25, $30^{\circ}C$)의 동시 배양 조건에 따른 바이오 매스의 변화와 바이오 에너지에 사용되는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변화를 회분배양의 실험적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circ}C$, 30 psu 조건에서 C. vulgaris 및 N. granulata 모두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광합성 색소인 chlorophyll a 및 carotenoid의 축적 양상이 온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중성지질과 녹말의 축적은 염분과 온도의 조합에 따라 두 종의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미세조류의 염분에 의한 성장과 중성지질 및 녹말의 축적 양상은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 따라 그 변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numerical study on the dispersion of the Yangtze River 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 Park, Tea-Wook;Oh, Im-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2호
    • /
    • pp.119-135
    • /
    • 2004
  •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using POM (the Princeton Ocean Model) is establish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persion processes of the Yangtze River 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s. The circulation experiments for the seas are conducted first, and then on the bases of the results the dispersion experiments for the river water are executed. For the experiments, we focus on the tide effects and wind effects on the processes. Four cases of systematic experiments are conducted. They comprise the followings: a reference case with no tide and no wind, of tide only, of wind only, and of both tide and wind. Throughout this study, monthly mean values are used for the Kuroshio Current input in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model domain, for the transport through the Korea Strait, for the river discharge, for the sea surface wind, and for the heat exchange rate across the air-sea interface. From the experiment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e circulation of the seas in winter is dependent on the very strong monsoon wind as several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wintertime dispersion of the Yangtze River water follows the circulation pattern flowing southward along the east coast of China due to the strong monsoon wind. Some observed salinity distributions support these calculation results. In summertime, generally, low-salinity water from the river tends to spread southward and eastward as a result of energetic vertical mixing processes due to the strong tidal current, and to spread more eastward due to the southerly wind. The tide effect for the circulation and dispersion of the river water near the river mouth is a dominant factor, but the southerly wind is still also a considerable factor. Due to both effects, two major flow directions appear near the river mouth. One of them is a northern branch flow in the northeast area of the river mouth moving eastward mainly due to the weakened southerly wind. The other is a southern branch flow directed toward the southeastern area off the river mouth mostly caused by tide and wind effects. In this case, however, the tide effect is more dominant than the wind effect. The distribution of the low salinity water follows the circulation pattern fairly well.

새만금간척지의 토양염농도와 지하수위의 하계 상승이 이식한 과수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alinity and Soil-wetting by Summer-Rising of Water Table on the Growth of Fruit Trees Transplanted at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 손용만;전건영;송재도;이재황;김두환;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5
    • /
    • 2010
  •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과수원조성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무화과, 블루베리 등 6개 수종을 식재하였다. 2009년 5월 31일 이식한 과수묘목은 초기에 활착이 양호한 편이었으나 점차 고사주의 발생이 심화되면서 월동전 10월 말에는 생존율이 사과 4~28%, 배 6~25%, 복숭아 0%, 포도 83~88%, 무화과 25~39%, 불루베리 0~3%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신초장도 정지되거나 고사하였다. 이처럼 고사주가 많이 발생한 원인은 토양염농도가 전 생유기간 중 토양 EC가 3.0 dS $m^{-1}$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염해 발생가능성이 적은 반면에 여름강우기 높은 토양수분조건과 호우시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여 생긴 침수해로 추정된다. 새만금토양은 투수계수가 121 cm $day^{-1}$로 정체수가 생길 가능성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정체수에 의한 침수해가 발생하는 것은 여름장마기에 지하수위의 상승과 토양의 수분포화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10~24 mm 정도로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적은 강우량에도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는 간척지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식묘목이 전멸한 복숭아는 습해에 약한 생리적 특성, 거의 전멸에 가까운 높은 고사율을 보인 블루베리는 산성토양을 좋아하는 생리적 특성 때문에 알칼리성의 간척지 특성(pH 8.0-8.4)에 적응하지 못하여 생긴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에서의 과수원조성은 제염과 더불어 배수문 제가 선결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추정된다.

수온과 염분이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조재권;홍창기;박종연;손맹현;박충국;박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25
    • /
    • 2015
  • 본 연구는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능성어의 수정란을 가지고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정란은 유백색의 구형으로 분리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 발생 과정 동안의 수온은 $21.5{\sim}23.5^{\circ}C$(평균 $22.0{\pm}0.05^{\circ}C$), 염분은 32.0~33.0 psu (평균 $32.5{\pm}0.05psu$) 범위였다. 각 수온조건별로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15^{\circ}C$에서 29시간, $20^{\circ}C$에서 27시간, $25^{\circ}C$에서 24시간, $30^{\circ}C$에서 17시간, $35^{\circ}C$에서 15시간이 소요되었다. 염분별 부화율은 15 psu에서 80.0%, 20 psu에서 81.8%, 25 psu에서 86.4%, 30 psu에서 89.1%, 35 psu에서 79.1%로 25~30 psu에서 가장 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형율은 저염분 구간인 15 psu (20.0%)와 20 psu (18.2%)보다 35 psu에서 기형율이 20.9%로 가장 높았다.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t:hour)과 수온($T:^{\circ}C$)과의 관계는 직선함수식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발생에 있어 난 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5.4^{\circ}C$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