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fenc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7초

산업용 필드버스 기반의 안전 펜스 시스템 개발 및 성능 평가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afety Fence System Based on Industrial Fieldbus)

  • 이승용;임선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3-49
    • /
    • 2019
  • Recently,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fieldbus has been highlighted since the emergence of Industry 4.0. In particular, the Ethernet-based fieldbus protocol is actively used in automation systems. This paper proposes a safety fence system based on EtherCAT, a type of Ethernet-based fieldbus, to measure external loads. In order to measure the external loads, a force sensor was connected to an EtherCAT slave that transmits the sensor data to an EtherCAT master in real-time. The master ultimately controls the angle of the safety fence when it detects danger based on the given data. In the future, more effiecient safety fence system will be developed by using a HMI system to communicate with the EtherCAT master to manage safety and by employing multiple sensor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fence system.

곤돌라 안전난간 제거 등으로 인한 추락재해 감소방안 (Reducing the Falling Accident due to the Removal of Safety Fence from Gondola)

  • 변형식;임종국;양원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14
    • /
    • 2019
  • Gondola is widely used as a construction facility to perform external finishing work without using scaffolding at a construction site. However, since 2000, there have been 17 deaths from now so these risks associated with work can not be ignor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greatly to prevent related disasters if introducing necessary measures to prevent repeated related disasters and installing additional safety devices. 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 fac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gondola,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use it to use it while the examination of each product is completed, and to use the over load Dangerous arbitrary measures such as arbitrary operation of the prevention device, removal of the safety fence for convenience of work, installation of the wire rope installed in the air, falling out of the wire rope and falling to the ground Do not perform such sealing measures so that any operation of the overload prevention device can not be done so as not to take such arbitrary measures, or wire the power supply wire to the safety fence so as not to delete the safety fence. Then, when the safety fence is removed, so that it does not become a gondola operation, or when replacing the wire rope in the air, to prevent the wire rope from coming off, Additional measures such as installing falling down prevention device may be necessary.

A Development of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Fenc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PARK, Mi-Seon;KIM, Ji-Yeong;KANG, Min-Soo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
    • /
    • 2020
  • Children's home accidents are less common than in the past. However, safety accidents continue to occur due to carelessness of the parents. To solve the problem, there are fall prevention screens that can withstand the weight of children, and safety railings that can be adjusted directly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these have disadvantages such as stability, convenience, and damage to the landscap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utomatic safety accident prevention fence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on a window using Arduino,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of previous safety accident prevention products. This system measures the height of a person standing in front of the fe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erson and the fence with two infrared sensors and moves automatically using a motor.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e U-Healthcare society, users can check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concentr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mobile. Each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DHT 11 sensor, fine dust concentration sensor, and Bluetooth connected toArduino. These can help the user's health care.

철제펜스로 지지된 동력배선의 단락.지락에 의한 전기화재 발생 개연성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Electrical Fires due to the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of Power Cable Supported by an Iron Fence)

  • 김정훈;박병기;송종혁;정기창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1-45
    • /
    • 2007
  • Short circuit and ground fault account for the primary causes of electrical fires. In this research, real-scal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electrical fires due to these causes. The experiment conditions were identical with an actual fire accident, in which the power cable was supported by an iron fenc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the short circuit caused by wire cutting, the conductivity of the iron fence depending on its coating conditions, and the ground fault of one wire or two wires in an effort to reconstruct the fire accident. The test results show that, owing to the instant operation of circuit breaker in the moment of short circuit or ground fault, the generated ignition energy is far less than necessary to start an ignitio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electrical fire is highly unlikely if the electric system is protected by a circuit breaker with normal functions.

레일저부고정형 안전펜스의 횡 방향 거동 분석을 통한 설치간격 산정 (Estimation of installation spacing by analyzing the lateral behavior of the safety fence fixed to rail bottom)

  • 박성현;성덕룡;이창호;정혁상;유승경
    •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49-257
    • /
    • 2018
  • 교통사상사고 원인 중 선로근접 및 무단통행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운행선 근접공사 시 열차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작업자의 안전확보 및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철도선로용 안전펜스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철도선로에 적용되는 레일저부형 안전펜스는 열차주행 시 안전펜스의 간섭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열차운행 시 지장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열차들과 안전펜스 설치 시 이격간격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열차종류별 열차 풍압에 대한 횡방향 하중조건을 산정하여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설치간격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적정 이격거리는 차량한계로부터 200mm 이상을 확보하고, 열차풍압을 고려한 철도선로용 안전펜스의 적정 설치간격을 산정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구장 안전펜스 성능평가를 위한 충돌시험기 개발 (Development of Collision Tes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afety Fence in Baseball Stadiums)

  • 한의돈;장웅기;고순탁;곽호택;서영호;김병희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57-962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afety fences of domestic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s. Safety fences of professional stadiums have been fabricated and installed without adhering to any safety regulations, safety fences demonstrate critically low safety performances and many outfielders are severely injured every season.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fabricated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afety fences and investigated its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A HIC (head injury criterion)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iding data. We found that the optimal expulsion pressure and eliminated the accelerometer by replacing it with a velocity sensor using an estim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mentum data obtained from velocity sensor and the impulse data from the accelerometer.

신뢰성지수를 고려한 낙석방지울타리 설계기준 고찰 (A Study on Design Criteria of Rockfall Protection Fence Considering Reliability Index)

  • 석재욱;이종건;김용수;문준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4호
    • /
    • pp.275-281
    • /
    • 2014
  • 국내 국도에 분포하는 160개 비탈면에서의 발생한 낙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도지수를 산정하고 낙석방지울타리의 요구성능을 고찰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낙석에너지를 결정하는 변수의 통계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 비탈면 경사는 정규분포형태이며, 낙석중량과 발생높이는 대수정규분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낙석에너지는 대수정규분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낙석중량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판단된다. 낙석방지울타리의 신뢰성지수는 0.678이며 파괴확률은 24.9%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낙석에너지 규모를 고려하여 제시된 낙석방지울타리의 요구성능은 최대 500kJ 수준이며 신뢰성지수의 범위는 1.028~1.956으로 분석되었다. 제시된 신뢰도지수를 통해 비탈면의 낙석에너지가 고려된 요구성능을 적용할 경우 낙석방지울타리의 파괴확률은 14.8~2.5%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낙석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비탈면 높이, 낙석중량별 도약높이 및 충격에너지 검토 (A Study on Bounce Height and Impact Energy Considering Slope Height, Rockfall Weight Using Rockfall Program Considering Slope Height, Rockfall Weight)

  • 유병옥;한원준;이상덕;심재원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47-54
    • /
    • 2011
  • 절토비탈면에서 발생되는 낙석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낙석방지 울타리는 기본적으로 12.5m 높이에서 400kg인 암괴가 낙하될 때 발생되는 50kJ의 충격에너지를 가정하여 설계되고 있다. 그러나 암괴의 크기가 커지거나 높이가 높은 곳에서 낙하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로는 안정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낙석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암괴중량에 따른 비탈면 높이, 울타리와의 이격거리, 경사각 등의 변화를 주어 낙석에 대한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보았다. 해석결과 기존의 2.5m 높이의 낙석방지울타리는 설계하중 조건인 400kg 암괴가 낙석 될 때, 비탈면 높이가 20m 이내의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낙석에 대해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20m 이상인 경우 낙석의 튀는 높이가 낙석방지울타리를 넘는 경우가 빈번하고 낙석의 충격에너지도 설계충격에너지 이상인 경우가 발생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시 표준도에 준하여 설계하는 방식보다 지반조건에 따른 낙석의 안정성 검토를 실시한 후에 낙석 도약높이 및 충격에너지를 평가하여 낙석방지울타리를 설계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행동장애를 가진 Thoroughbred 수망아지에서 반동물복지와 연관된 펜스함정 1례 (A Case of Fence Entrapment Associated with Anti-Welfare in a Thoroughbred Colt with Misbehavior at a Paddock)

  • 양재혁;박용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8권1호
    • /
    • pp.25-28
    • /
    • 2016
  • 말의 복지는 생리적 및 심리적 필요의 만족에 좌우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목장에서 펜스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행동장애(Cribbing)를 가진 Thoroughbred 수망아지 한 마리가 패독에서 폐사한 채 발견되었다. 패독의 펜스는 4개의 파이프로 만들어졌고, 망아지는 위에서 2번째 파이프를 무는 행동장애를 하였다. 그러나 그 망아지는 얼굴을 빼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아래턱이 1번째 파이프에 걸렸고 앞니가 2번째 파이프에 끼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망아지는 얼굴을 빼기 위해서 사투하는 동안에 당황하였고, 쓰러졌으며 결국 교사하였다. 안전펜스는 말목장에 필수적이고 그 기능은 말을 보호하는 것이지만 위해를 가하였다. 말의 안전한 관리를 위하여 말 얼굴길이와 파이프의 간격을 고려하여야한다. 말이 패독에 있을 때 입마개를 씌울 필요가 있는지 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말산업에서 펜스타입과 안전성평가에 중요한 벤치마크를 제공하였다.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panded Metal Rockfall Protection Fence

  • 황영철;김범주;노흥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35-45
    • /
    • 2005
  • 낙석방지울타리는 국내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낙석방지공법의 하나로 일반적으로 H형강, 와이어메쉬 및 와이어로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들에 의해 발휘되는 낙석방지울타리의 총 흡수가능에너지가 낙석에너지보다 커야한다는 것을 기본적인 설계개념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메쉬와 와이어로프 대신, 새로운 재료인 팽창메탈을 사용한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을 평가하고 기존의 낙석방지울타리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팽창메탈 낙석방지울타리와 기존 방식의 낙석방지울타리에 대하여 실내 및 현장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팽창메탈 낙석방지울타리의 흡수가능에너지는 기존 낙석방지울타리와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팽창메탈은 성능 및 경제적인 면에서 기존 재료에 비해 우수한 재료임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