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fety clothes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한국철도공사 작업복에 관한 연구 (제2보) - 동복 하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Work Clothes for Korea Railroad (Part II) - Focused on Winter Pants -)

  • 김지원;류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10-4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unctionally improved winter work clothing for the Korean railroad worker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sample clothing for the Korean railroad workers was produced. The design, materials, and patterns were modified to increase mobility and comfort for workers. Water-repellent treatment was added to the material in order to decrease the dirt and stains while working. Also, reflective strips were added to side seams and hems of the trousers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and safety of the workers. In terms of the design and pattern, a circumference of 4.5cm was added to the crotch area in order to minimize tightness on the hip and crotch areas, but no additional circumference was added to the hip area. And a 1cm width dart was inserted between the side seams and yoke in order to add activity. Also three 1.4cm width tucks were used at 2.5cm space on the knees to alleviate tightness at the knees. The prototype was evaluated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to compare with the existing working uniform. The assessment group consisted of 5 subject groups and 11 expert groups to evaluate external appearance and adaptability of the movements. Subject and panels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totype that followed an ergonomic design and patter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totype was evaluated better than the existing working uniform in appearance and adaptability. A field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totype and the existing working uniform. The field tests were performed by 6 workers in the Korean railroa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ototype advanced in terms of adaptability and comfort.

도로변 작업자와 도로교통 업무 경찰관의 안전의복 착용실태 및 그 소재와 착용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urrent Wear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Warning Clothing for Road Cleaner and Traffic Workers)

  • 박순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347-360
    • /
    • 2018
  • We surveyed 223 road workers between 2017 July-August about wearing and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basic data to develop safety clothing that enhances visibility of motion and comfort while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urrent warning clothing owned by road cleaners and about 2/3 of policemen clothes were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The purpose of wearing, color, properties, satisfaction and protectiveness differed significantly by occupation. Second, the most popular response for the type and quantity of warning clothing was 2 sets of spring/autumn, summer, and winter type for road cleaners, whereas policemen chose 2 sets of all types plus a safety vest. Therefore, a top-level (3rd class) warning clothing study is required. Third, satisfaction ranked Moderate>Good>Poor; in addition, the main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retroreflective tape increases safety at night (54.4%)' for road cleaners and 'the fluorescent color stands out (43.7%)' for policemen. Thus, it was accepted that visibility contributed to safety. Fourth, body-protectiveness was evaluated higher compared to wearing satisfaction, and it was recognized more by road cleaners than policemen.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er for road cleaners versus policemen both in Seoul than Incheon. Fifth, the main dissatisfaction in both groups was 'low sweat absorbency' showing improving the air permeability, moisture regain and permeability was the highest priority. Finally, those working 8 hours a day tended to evaluate more positively the 6 properties of the material.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Real-time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eep Learning-based Video Analysis Algorithm)

  • 전소연;박종화;윤상병;김영수;이용성;전지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3호
    • /
    • pp.25-3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산업 시설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딥러닝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작업자의 복장을 안전모, 안전조끼,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총 여섯 가지의 클래스로 나누고, 총 5,307개의 영상을 학습데이터로 이용하였다. 실험은 속도와 정확도가 준수한 YOLO v4를 이용하였으며, 총 645장의 영상에 대해 학습 반복 수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했을 때의 mAP를 비교함으로써 수행되었다. 학습 반복 수 6,000에서의 mAP가 60.13%로 제일 높았으며, 테스트셋이 가장 많은 클래스의 AP가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데이터셋과 객체 검출 모델을 최적화함으로써, 정확도와 속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의복의 정숙성.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II) -기본욕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Basic Need Variables on the Modesty and Aesthetics in the Selection of Clothing)

  • 강경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0-18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asic needs and demographic variables of adult woman on the modesty and aethetics In the selection of cloth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are factors which have effect on variables of need. School careers have effect on physical need. Age, marriage status and household type have effect on safty need. Native community and household type have effect on self-esteem. School career, native community, household type and frequency of contact with mass media have effects on need of self-actualizing and native community has effect on the aesthetic need. 2. Physical bleed, self-esteem, self-actualization, safety need, fiequency of contact with mass media, age, native community and income have direct effect on the modesty of clothing. 3. Aethetic and self-actualization need, frequency of contact with mass media and income have direct effect on the aethetics of clothing.

  • PDF

B747-400 항공기 조종실내 전자파 노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osure of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B747-400 cockpit)

  • 강영훈;김칠영;최일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21
    • /
    • 2000
  • Magnitudes of Magnetic field, Electronic field and Microwave was measured during the each stage of flight in the airline operation. The results was much higher than the safety standard and proved to be serious to the cockpit crews on their duty. We also identified that the magnitude of electronic field was much decreased by all three kinds of microwave protection equipments. We recommend that the cockpit crew have to wear the protection clothes to reduce the hazardous effects on their duty and the aircraft manufacturers have to consider the microwave-reduced cockpit in the initial stage of aircraft design.

  • PDF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orrelation and Effects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Attitude & Satisfaction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김하영;박명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61
    • /
    • 2013
  •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 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PDF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의생활 안전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Clothing Safe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류경;심현섭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27-143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근거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ADDIE 모형에 따라 '의복 및 섬유제품의 생산, 착용, 세탁, 보관 과정에서 노출될 수 있는 유해물질', '친환경 섬유', '천연세정제'와 같이 3가지 학습요소에 대하여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경기도 안양시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7개 학급, 총 2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20일부터 9월 7일까지 1주에 2시간씩 3주에 걸쳐 총 6차시로 수업을 실행하였다. 건강신념을 측정한 사전·사후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win(version18.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인지된 위협(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의 조합), 인지된 이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인지된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가정과 의생활 안전교육 수업은 중학생들이 유해물질로부터의 안전한 의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교육으로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가정과 특색에 맞는 안전교육은 물론 의생활안전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어린이의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s Smart Photonic Safety Clothing)

  • 박순자;고대진;장성은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129-14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제표준에서 규정한 형광직물과 재귀반사 소재에, 아동들이 선호하는 동물의 문양을 재귀반사 필름과 검정색 직물로 디자인하여 부착한, 2벌의 안전의복과 안전조끼를 제작하였다. 둘째, 야간에 주변광원이 없어도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안전의복에 스마트 포토닉 디바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어두운 때 버튼 원터치만으로 상황에 따라 3가지 발광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제작한 스마트 안전의복을 마네킹에 착용시켜 주야간의 시인성을 비교한 결과, 시인성의 차이가 야간에 확연히 나타났는데, 기존의 안전의복 착용 시에는 주변광원 없이는 착용자가 표출되지 않은 반면, 스마트 안전의복 착용 시는 약 70m의 원거리에서도 표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야간이나 기상악화 시에 주행하는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생체를 인지할 수 있어 교통사고나 도로상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광섬유의 발광기능 안정성 유지와 발광시간의 연장을 위하여 에너지 소진 시 태양전지로 수확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안정되게 광섬유 발광이 가능하여 시인성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스마트 포토닉 안전의복은 야간 작업자용으로도 활용 가능함이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광섬유 안전의복은 태양전지에 의한 에너지 하베스팅 적용으로 안정적인 충전에 의해 실생활뿐만 아니라 어두운 산업현장에서도 착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위생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 제공이 어린이급식소 위생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tinuous Provision of On-line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ygiene Management Performance of Children's Cafeterias)

  • 이경아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7-1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continuously providing on-line hygiene education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hygiene conditions in children's cafeterias. As a result of the 2020 sanitation and safety checklist analysis, 6 items (personal hygiene, separate use, clean ventilation, temperature control of refrigerators, country of origin, food distribution) were derived and on-line hygiene education programs for each of 6 items were produced. ① Customized educational materials and self-inspection checklists were provided to 208 children's cafeterias. After that, educational videos were provided through Kakao Talk twice a week for 6 months, and they were made available for viewing at any time through YouTube upload, ③ Kakao Talk Through this, a quiz related to the educational video was conducted to give feedback for interaction with the c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hygiene and safety checklist score of all registered facility catering centers by visit order, in 2020 it was 82.8 points/100 points, but in 2021, it was 84.2 points (1st round), 89.3 points (2nd round), 91.4 points (3 points) The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p<0.001) as the on-line hygiene education program continued. As a result, significant (p<0.001)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items of 'Knife, chopping board' and 'Sanitation clothes, sanitary hat, sanitary shoes, apron, and sanitary gloves', confirming a clear improvement effec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on-line hygiene education program will play a positive role in showing a lasting effect on improving hygiene management in children's cafeterias.

Multi-Locus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Analysis (MLVA)를 이용한 들깻잎 중 Staphylococcus aureus의 오염원분석 (Analysis of Contamination Sources of Staphylococcus aureus Related to Perilla Leaves Using Multi-Locus Variable Number of Tandem Repeat Analysis (MLVA))

  • 김세리;심원보;한누리;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8-284
    • /
    • 2014
  • 본 연구는 들깻잎과 들깻잎 생산 환경을 대상으로 S. aureus를 분리하고 MLVA를 이용해 분리된 S. aureus의 오염경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들깻잎에서 S. aureus의 검출빈도는 7.9% (9/114)였고 검출수준은 $0{\sim}2.92{\log}_{10}CFU/g$였으며 2곳의 농가에서 S. aureus가 $2.00{\log}_{10}CFU/g$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S. aureus가 분리된 5농가를 대상으로 들깻잎과 직접 접촉하는 시료에서 S. aureus를 분리하였으며 5 농가 중 3농가의 작업환경 (농가의 포장대, 포장비닐, 작업자 손, 복장 등)에서 S. aureus가 검출되었다. 들깻잎과 생산 환경에서 분리된 S. aureus를 대상으로 MLVA를 수행했을 때 포장대, 작업자의 손, 포장비닐 및 관개용수에서 분리된 균주와 들깻잎에서 분리된 S. aureus가 동일한 패턴을 보여 들깻잎의 오염은 이들 시료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MLVA를 이용한 유전자 typing은 농산물이나 식품 중 S. aureus의 오염원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구명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