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i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of eco-friendly plant protecting agents using a food additive, sodium saccharin for fall webworms, Hyphantria cunea Drury

  • Nguyen Minh Anh Hoang;Yoo-Hee Kim;Hong Hyun Park;Young Ho Ko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2호
    • /
    • pp.73-78
    • /
    • 2023
  • Currently, Hyphantira cunea Drury, the fall webworms (FWW), is one of the most severe insect pest for various landscaping trees and mulberry tre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FWW might be managed by Sodium saccharin (SAC) which is a food additive and not toxic to humans and environment. We found that FWW larva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C showed dose-dependent delayed development and low survival rates. The lethal-concentration 50% of FWW larvae to SAC was 0.03 M. We also confirmed that SAC can be used to control FWW larvae attacking mulberry trees in the field. Compared to not-treated or tap-water-spraying control groups, SAC-spraying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rtality rates of FWW larvae (56.2%). Thus, SAC can be used for control FWW larvae in mulberry trees.

식품 중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사용실태 파악 및 한국인의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섭취 수준 평가 (Use of Sodium Saccharin and Sucralose in Foodstuffs and the Estimated Daily Intakes of Both Products in Korea)

  • 서희재;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42-651
    • /
    • 2013
  • 식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삭카린나트륨(sodium saccharin)과 수크랄로스(sucralose)의 섭취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삭카린나트륨 함유식품 339 품목, 수크랄로스 함유식품 590 품목을 서울, 경기, 충청, 경상지역에서 구입한 후 HPLC-UVD와 HPLC-ELSD로 각각 분석하여 그 함량을 모니터링 하고, 국민건강 영양조사 식이섭취량 자료를 이용하여 삭카린나트륨과 수크랄로스의 국민평균 섭취량, 연령별 섭취량, 상위 $95^{th}$ percentile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삭카린나트륨은 절임류와 음료류에서 주로 검출되어 이 두 품목의 검출율이 총 검출율의 85%를 차지하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품목은 159.40 ppm이 검출된 절임류 이었다. 수크랄로스는 23.9%의 검출율을 나타내었으며, 껌류, 유제품, 음료의 검출율이 전체 검출율의 66.0%를 차지하였다. 수크랄로스의 평균 함량이 가장 높은 식품 유형은 과자류로서 320.5 ppm이 검출되었다. 삭카린나트륨의 국민평균 섭취량은 $59.02{\mu}g/kg{\cdot}bw/day$로 나타나 ADI 대비 1.18% 수준이었고, 기여식품은 김치(39.8%), 절임류(27.8%), 과실채소음료(15.7%), 탄산음료(11.7%)로서, 이 네 품목의 섭취량이 전체 삭카린나트륨 섭취량의 95.0%를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6세 이하의 어린이가 체중 당 삭카린나트륨 섭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1-2세는 ADI 대비 1.90%, 3-6세는 ADI 대비 1.79%이었고, 상위 $95^{th}$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은 264.37 ${\mu}g/kg{\cdot}bw/day$, ADI 대비 5.29%로 나타나 매우 안전한 수준이었다. 식품을 통한 수크랄로스의 국민 평균 섭취량은 83.22 ${\mu}g/kg{\cdot}bw/day$ (ADI의 0.55%)로 나타났고, 기여하는 식품은 유제품, 음료류, 아이스크림, 탁주 등이었다. 연령별로는 6세 이하 어린이들의 체중 당 수크랄로스 섭취량이 가장 높아, 1-2세는 ADI의 2.18%, 3-6세는 ADI의 1.76%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리나라 국민이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의 국민평균 섭취량, 연령별섭취량, 상위섭취자($95^{th}$ percentile 섭취자)의 섭취량 모두 JECFA가 설정한 ADI의 16% 이하로 매우 안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ADDITIVES IN NICKEL AND COPPER ELECTROPLATING FOR MICROSTRUCTURE FABRICATION

  • Kim, Go-Eun;Lee, Jae-Ho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4-218
    • /
    • 1999
  • The effect of additives in nickel and copper electroplating were investigated for MEMS applications. Saccharin and gelatin were used as additives in nickel and copper electroplating bath respectively. The morphology and surface hardness of electroplated coating were investigated with additive concentration. Microstructures were fabricated with optimum conditions.

  • PDF

청소년기 동물모델에서 구속 스트레스로 유발된 불안, 우울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Alleviating Effects of Sweet Drinks on Restraint Stress-Induced Anxiety and Depressive Behavior in Adolescent Rats)

  • 김윤주;송민경;박종민;김연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2권4호
    • /
    • pp.279-287
    • /
    • 2020
  • Purpose: Some of the adolescent drinks more sugar-sweetened beverages. However, there is little evidence on the effect of eating behavior on emotional state and neurochemical changes under stress, especially on the levels of typical inhibitory neurotransmitters and gamma-aminobutyric acid.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sucrose or saccharin drink reduces stress-related behavior responses and GABAergic deficits in adolescent rats. Methods: We randomly assigned 7-weeks-old Sprague-Dawley male rats 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Control), restraint stress only group (Stress), and restraint stress with unrestricted access to saccharin solution (Saccharin) and sucrose solution (Sucrose) as a positive control. We evaluated both anxious and depressive moods using an open field test and forced swim test, respectively. Using western blot analyses, the expression of a GABA-synthesizing enzyme, glutamate decarboxylase-67 (GAD67) and GABAergic markers, including calbindin and parvalbumin was assessed in the prefrontal cortex and the amygdala. Results: We found that both the drinks alleviated anxiety and depressive moods, induced significant attenuation in GAD67 level, and reduced calbindin level under stress in the prefrontal cortex and the amygdala.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sucrose or saccharin drink on stress-related responses. We propose the consumption of sweet drinks as a plausible strategy to alleviate stress-related alterations in adolescents.

천연감미료(天然甘味料) Stevioside의 감미(甘味)에 관한 수응력(受應力) 시험(試驗) (Acceptability on the Sweetness of Stevioside as a Natural Sweetner)

  • 김형수;이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6-62
    • /
    • 1979
  • 우리나라 1978년산(産) stevia 건옆중의 stevioside를 정량하였고, 정제(精製) stevioside의 단맛에 관한 경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이것과 설탕, 포도탕, 과당, 전화당, saccharin-Na, sorbitol 등과의 혼합감미, 이것과 짠맛과의 조화에 대해서 관능적으로 수응력을 시험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tevia 건옆중의 total stevioside 함량은 $7.30{\sim}17.8%$이다. 2. 정제(精製) stevioside의 감미도(甘味度)는 $150{\sim}100$배 정도이다. 3. 감미 물질을 혼합해서 stevioside의 감미를 개선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설탕>포도당>과당, 전화당>saccharin-Na 4. Stevioside에 2종의 감미 물질을 혼합하더라도 각각의 혼합효과 이상으로 개선되지 못하였다. 5. Stevioside의 단맛은 짠맛(소금)과 조화될 수 있다.

  • PDF

식용 감미료 사카린과 에이스셜팜 칼륨의 식물 성장 저해 연구 (Study of Plant Growth Inhibition with Edible Sweetener Saccharin and Acesulfame Potassium)

  • 김동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661-667
    • /
    • 2023
  • 시판 중인 식용 감미료 5종류는 자당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이기에 다이어트 제품으로 사용된다. 동물과 인체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동물세포의 특징 실험으로 배출 중심 연구를 하여 안정성을 입증해왔고 적은 양의 축적은 무시해왔다. 반면에 식물은 외부 물질을 흡수하여 분해하거나 축적하는 물질대사 작용을 하기에 식물체를 사용하여 분해 가능성과 축적 가능성의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 발아된 보리와 콩나물을 사용하여 시판 중인 사카린과에이스셜팜 칼륨(에이스 K)의 식물 체내에서 물질대사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아된 보리와 콩나물 성장에서 사카린과 에이스 K 는 식물 성장에 대한 저해 효과를 잎, 줄기, 뿌리에서 저 농도에서부터 모든 기관에서 공통으로 나타났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멸하는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서 식물 체내에 축적된다고 볼 수 있다. 축적된 양이 증가함에 따라 독성효과가 증가하여 식물이 물질대사를 하지 못하는 상태에 이르러 잎 끝부분부터 검정으로 변색하여지고 사멸상태에 이른다. 축적된 인공감미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증류수에서 배양하여 회생 가능성을 시도하였지만 분해되지 않는 물질로 작용하고, 독성을 피하지 못하고 사멸된다. 이것은 사카린과 에이스 K는 세포 내에서 배출하지 못한다. 독성효과가 계속 되어서 성장을 억제하고 결국에는 세포를 사멸하게 한다고 사료된다.

어린이 기호식품의 인공감미료 함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Food Additives as an Artificial Sweetener on Favorite Foods of Children)

  • 한윤정;김준현;박승영;오재호;장영미;김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85-191
    • /
    • 2010
  • 전국 초등학교 주변의 문구점 등 소매점을 대상으로 15개 지역에서 총 17회에서 걸쳐 604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국내 유통중인 어린이 식품의 인공감미료 사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원신지별로 국산이 308건으로 51.0%, 중국산이 211건으로 34.9%, 인도네시아산이 26건으로 4.3%, 기타국가가 59건으로 9.8%이 수거되었으며 모니터링결과 75건의 시료에서 인공감미료가 검출되어 12.4%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국가별 검출율은 국산이 38건으로 12.3%, 중국산이 25건을 h11.8%, 인도네시아산이 9건으로 34.6%로 나타났으며, 각 인공감미료별 검출률은 아스파탐이 47건으로 7.8%, 아세설팜칼륨이 18건으로 3.0%, 삭카린나트륨이 11건으로 1.8%, 사이클라메이트가 16건으로 2.6%이었다. 검출농도는 아스파탐이 21~4,988 mg/kg (평균 818 mg/kg), 아세설팜칼륨이 24~1,136 mg/kg (평균 192 mg/kg), 삭카린나트륨이 5~326 mg/kg (평균 91 mg/kg), 사이클라메이트가 8~4.680 mg/kg (평균 926 mg/kg)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식품별 검출건수는 캔디류가 3건, 건과류가 8건, 초콜릿류가 2건, 건포류가 2건, 서류가공품이 2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평균체중 36.9kg 및 건과류 및 캔디류의 일일섭취량 15.6g을 적용하여 일일추정섭취량(EDI)과 일일허용섭취량(ADI)의 비 EDI/ADI(%)를 산출하였을 때, 아스파탐 0.86%, 아세설팜칼륨 0.54%, 삭카린나트륨 0.77%, 사이클라메이트는 3.56%를 나타내었다.

삭카린 중간체의 열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of Saccharin)

  • 김관응;김영수;신창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0-185
    • /
    • 1998
  • The evaluation of thermal and pressure hazard of chemicals on the manufacturing, transporting and storaging is important in the chemical industry for safety. In this study, the thermal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e of Saccharin were investigated by using Accelerating Rate Calorimeter(ARC)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DSC).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decomposition temperatures in p-TSA were about 280~$318^{\circ}C$ by DSC and $201^{\circ}C$ by ARC. In case of o-TSA were about $336^{\circ}C$~$360.8^{\circ}C$ by DSC and $299^{\circ}C$ by ARC.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acquired by ARC was about $70^{\circ}C$ lower than that by DSC. The exothermic runaway reaction in case of p-TSA occured in 598 minute and o-TSA in 5 minute. For the safety in the chemical industry, we should consider the ARC data as well as DSC data in the handling and design of process.

  • PDF

식이를 통한 인공감미료와 산화방지제의 섭취량 (Estimation of Daily Intake of Artificial Sweetener and Antioxidants in Foods)

  • 이창희;박성관;윤혜정;박재석;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9-524
    • /
    • 2000
  • 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에 의해 분석한 결과 아스파탐의 경우 시리얼 등 대상품목 총 9종 239품목 중 껌 7품목에서 233.6 mg/kg, 캔디류 6품목에서 3308.0 mg/kg, 주류 4품목에서 41.6 mg/kg, 탄산음료 1품목에서 166.9 mg/kg, 아이스크림 1품목에서 229.2 mg/kg, 발효유 3품목에서 61.3 mg/kg이 검출되었으며 일일추정섭취량은 $0.002{\sim}0.843\;mg/person/day$의 범위이었다. 삭카린나트륨은 쥬스 등 대상품목 총 4종 115품목 중 어묵 4품목에서 41.8 mg/kg, 명란젓 1품목에서 8.3mg/kg, 오징어젓 1품목에서 15.4 mg/kg 검출되었으며 일일추정섭취량은 $0.003{\sim}0.251\;mg/person/day$의 범위로 산출되었다. 아스파탐 및 삭카린나트륨의 각각의 일일추정섭취량인 2.336mg, 0.259mg은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허용섭취량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이며 산화방지제(BHT) 역시 일일추정섭취량이 0.002 mg로서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허용섭취량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이다. 아스파탐과 삭카린나트륨의 일일추정섭취량/일일허용섭취량은 각각 0.106%, 0.094%이였으며, BHT는 0.030%로서 모두 1%미만으로 대상식품을 통한 섭취는 안전하다고 평가되며, 최대사용허용량이 설정되어 있는 삭카린나트륨과 BHT의 경우 일일허용섭취량과 이론적 최대일일섭취량을 비교시에도 각각 11.460%, 0.060%의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