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rics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생 ICT 활용능력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 척도 (Rubrics for Assessi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to Use ICT)

  • 문외식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467-47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4,5,6학년)생들에게 ICT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재량활동 시간 또는 특별활동 시간에 컴퓨터 소양 및 활용 수업을 받은 뒤 활용능력 정도를 측정해 볼 수 있는 수행평가 척도표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 척도표는 각 영역별로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할 교육내용들을 먼저 국가수준의 기본 컴퓨터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정리한 뒤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구별하여 기술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평가척도표를 이용하면 수행평가를 훨씬 쉽게 해결할 수 있다. 개발된 수행평가 척도표를 이용하여 초등학생들에 대한 컴퓨터 활용 능력을 테스트한 결과 다소 제한적이긴 하지만 만족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

  • PDF

예비 영어교사 주도에 의한 영미시 평가표 제작 및 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Engagi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the rubric development and the evaluation of a creative English poetry)

  • 이호;전소연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339-356
    • /
    • 2011
  •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a rubric and examined evaluation of their own English poetry. The current study would investigate: 1)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perception as a rubric developer and self-evaluator, 2) the number of analytic area that the participants included in their rubrics and the scoring scheme that they designed in their rubrics, and 3) the inter-rater differences between self-assessemnt and expert-assessment across analytic areas. Twenty-four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learners' own English poetry, their field notes which contained the process of their writing, their rubrics, scores of self-assessment, and expert raters'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learner-directed assessment, that 'content' is the most important area, and that inter-rater difference is small across all analytic areas.

  • PDF

The Influence of SGRs on Self, Peer, and Instructor Evaluation in Higher Education

  • HONG, Seongyo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9권1호
    • /
    • pp.97-114
    • /
    • 2008
  • This research has three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verify whether SGRs(Student-Generated Rubrics) are effective for learner achievement in higher education or not.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the agreements between an instructor's evaluations and peer group assessments with SGRs in real classroom situation. The final purpose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students' more objective self-evaluation with the use of SGRs. It appears that rubrics are effective tools to improve learner achievement in adult education and to promote the agreement between the instructor's and peer's evaluations, even though learners do not develop SGRs. In addition, this research has demonstrated that most students are not very accurate self-assessors, and they often overestimate themselves. This study can be helpful for novice instructors, especially for those who try to assess their students more fairly, to develop the SGRs as an evaluation tool appropriate for their own situation, and to give more reliable feedback to students.

탐구적 일반화학실험 수행 평가 준거 개발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Scoring Rubrics for the Inquiry-Based General Chemistry Experiments)

  • 강순희;김양현;박종윤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7-51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학생들의 일반화학실험 수행평가를 위한 분석적인 채점 준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채점준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학생들이 실험을 수행하면서 나타나는 탐구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 보고서를 평가하는 분석적 채점 준거이다. 이 분석적 채점 준거는 일곱 가지 탐구 기능 요소로 나누어져 있으며, 한 학기용 실험 주제 9개에 대해서 모두 개발하였다. 두 번째는 학생들이 실험하는 동안에 교수와 조교가 직접적인 관찰에 의해 점검하는 형태로 평가하는 수공적 기능 채점 준거와 실험에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적 채점 준거이다. 또한 학생들의 탐구 능력을 평가하는 실험 보고서에 대한 분석적 채점 준거의 기초가 되는 일곱가지 탐구 기능 요소에 대한 일반적 채점 준거도 개발하였다. 모든 채점 준거에 대한 타당도는 과학교육 전문가 6인에 의하여 검증 받았으며, 채점 준거로 실험 보고서를 평가한 결과로부터 채점자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얻어진 학생들의 일반화학실험 수업 성취도와 일반화학 이론 수업 성취도는 상관이 있는 것(r=.663.p<.01)으로 나타났으며. 44%($r^2$=.440)의 공통 분산 영역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 평가 도구는 이론 수업 평가 도구에서 측정하지 못하는 다른 영역(56%)도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간접적으로나마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험 평가 도구가 전통적인 지식 이해만이 아닌, 실험을 수행하면서 나타난 탐구 기능, 수공적 기능, 실험 태도를 평가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 PDF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sessment System for Nursing Bachelor Degree Program Outcomes: Focused on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 김복남;김순옥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4-166
    • /
    • 2014
  • Purpose: The core of accreditation for nursing education is to improve the ability and quality of graduates through a CQI system based on outcomes. For program outcomes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education assessment, objective and curriculum. Method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on program outcomes and the assessment. First measures for improving the general problems of program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assessment system were stated. Detailed measure for practicing program outcomes,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assessment tool using Rubrics were discussed. Results: Detailed measure were established for practicing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and assessment tool, which makes use of rubrics, program outcome No 3 of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Conclus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system established in this study will allow universities to conduct program outcomes and assessment.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rubric) 개발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주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Effect of Instruction for the Learner-Involved Development of Analytical Rubrics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unit of 'Housing')

  • 김진인;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9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3학년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주생활 관련 단원의 수행평가를 위해 학습자 참여 분석적 루브릭 개발 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루브릭 개발 수업은 개별 수행과제로 연구보고서법을 활용하여 '내가 살고 싶은 집'의 루브릭을 개발하는 것으로, 루브릭을 개발하는 과정은 정의, 개발, 평가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루브릭 개발 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학교 3학년 한 학급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독립변인은 루브릭 제시방식으로 종속변인은 학습동기로 하여 총 2차시에 걸쳐 실험이 이루어졌고 사잔 사후 동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내가 살고 싶은 집'의 루브릭은 '주거공간의 기본 조건에 대한 개념의 정확성', '적용방법의 적합성', '보고서 제출 마감일 준수'의 3가지 평가항목에 따라 채점기준이 A, B, C 또는 A, B, C, D 척도로 채점기준을 기술하였다. 채점자 간 신뢰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루브릭의 개발수업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의집중과 관련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자신감과 만족감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개방형 질문의 내용분석 결과에서도 루브릭 개발 수업이 학생의 자신감과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등 과학과 포트폴리오의 채점기준 개발과 신뢰도 검증 (Developing Scoring Rubric and the Reliability of Elementary Science Portfolio Assessment)

  • 김찬종;최미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6-189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과 포트폴리오를 채점할 수 있는 다양한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개발된 각 채점기준의 신뢰도를 검증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채점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포트폴리오는 4학년 2학기 '단원 2. 지층과 화석', '단원 4. 열과 물체의 변화' 를 중심으로 청주교대 과학교육 연구실에서 2000년 여름에 개발한 체제를 같은 해 가을, 경기도 중도시의 한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에 적용하여 얻은 것이다. 총괄-일반, 총괄-특수, 분석-일반, 분석-특수의 4가지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각 채점기준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작성한 포트폴리오 증거물을 채점하여 각 채점 기준별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를 구하였다. 1차 채점에서는 총 12명의 채점자들이 각 채점기준별로 3명씩 그룹을 나누어 그룹당 12권의 포트폴리오 증거물을 채점하였다. 단, 분석-특수 채점기준의 경우 6권의 포트폴리오 증거물만을 채점하였다. 채점자내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채점시기별 신뢰도에서는 l차 채점에 참가한 채점자 중 각 채점기준별로 2명씩 총 8명이 2차 채점에 참가하여 l차 채점과 동일한 방식으로 채점을 실시하였다. 채점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총괄-일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가 높고 채점자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괄-특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일반 채점기준은 채정자간 신뢰도가 높고 채점자내 신뢰도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특수 채점기준은 채점자간 신뢰도와 채점자내 신뢰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채점기준들(총괄-일반, 분석-일반)의 경우, 하나의 채점 기준으로 모든 포트폴리오 목표를 채점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고 실용적이나, 채점자들은 채점시 모호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반면에, 특수적인 채점기준들(총괄-특수, 분석-특수)의 경우, 채점은 더 명확하게 할 수 있으나, 목표별로 채점기준을 개발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채점기준의 실용도 측면에서는 분석-특수 채점기준이 다른 기준보다 2배 이상의 시간이 결려 실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습성과 평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 김진영;강성주;강보선;김대익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41-47
    • /
    • 2011
  •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 writing and speaking with multiple and complex audiences are required to engineers in society of modern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assessment system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PO7), which is one of the 12 program outcomes stipulated by ABEEK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To ensure logical connectivity of the assessment system, we carefully selected the performance criteria by defining the core concept of "written communication" and "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lected performance criteria,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ssessment tools and rubrics was explained in detail.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for the Program Outcomes on the communication skill competence would be more systematic by using the proposed assessment system.

초등수학과 수행평가도구 개발 -1, 2학년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2호
    • /
    • pp.357-388
    • /
    • 2000
  •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tics in the primary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it review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mathematics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Then the framework for portfolio developed in this study is introduced. This portfolio is called 'mathematical thinking and applying'. It aims at balanced assessment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It is composed of journal writhing, problem by the student, constructed task, work samples, written test, self assessment, teacher's comment and parents' comment. The criteria of performance tasks is categorized in impact, reasoning, accuracy and communication. The procedures of development of these tasks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primary school, the design of performance tasks with considering teaching unit goals, designing rubrics, discussing these tasks with teachers in primary school, modifying them when is needed, observing the process of children's task performing, interviewing with teachers and final modifying. After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are implemented, the answers by the students is analyzed using rubrics. Then anchor papers are selected. Also, the errors of children a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teach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of children for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Finally in order to generalize this study, I suggest that we need to cooperate with the field of education and to establish expert assessment groups.

  • PDF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Program Outcomes)

  • 김복기;박진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46-57
    • /
    • 2008
  • 공학교육인증의 핵심은 "성과중심(outcomes based)" 교육을 바탕으로 지속적 자율 개선 구조를 통하여 졸업생의 능력 및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공학교육 인증기준 중 학습성과의 경우 교육평가, 교육목표, 교육과정과의 관계 속에서 올바르게 이해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먼저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의 일반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기술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와 루브릭을 활용한 평가도구의 구체적 실행 방법을 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립된 평가도구를 통하여 대학현장에서 학습성과 평가가 실제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