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e extract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19초

장미꽃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Rose Flower Extracts on Silk Fabrics)

  • 남성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15
    • /
    • 2004
  • The colorants were extracted from the flower leaf of rose using a buffer solution. Dyeing properties and the fastness of silk fabrics dyed with rose flower extracts were investigated. K/S values of dyed fabrics wer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rose flower extracts was increased. Optimum dyeing temperature of rose flower extracts was $30^{\circ}C$. Fastness were generally good except light fastness which was extremely poor.

식용꽃 추출물이 항산화 및 세포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 유채꽃, 칡꽃, 장미꽃을 중심으로 - (Effect of Edible Flower Extracts on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 전혜경;최남순;박선영;유병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7-76
    • /
    • 2004
  •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 of the flowers as new agricultural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rape, arrowroot, and rose extracts. Biological activities investigated included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effects on 3T3-L1 fibroblast cells. When each flowe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the antioxidant index and electron donating activity of roses was the highest $(IC_{50}$ of rose extract was $17.6 \mu{g}/m\ell$). When 3T3-L1 fibroblast cells were treated with extracts made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ether, the rape extracts had a cytotoxic effect on the cells. 12.2% of cells survived when treated with a 3mg/$m\ell$ ether extract while those treated with the same concentration of hexane and ethyl acetate had survival rates of 76.2% and 78.6% respectively. In contrast to rape, the ether extract of arrowroot and rose stimulated the growth of 3T3-L1 cells. The effect of rose extracts was much bigg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Although every rose extract stimulated the growth of the 3T3-L 1 cells, the ether extract stimulated growth up to 168.6% compared to the control at the concentration of $0.3mg/m\ell$, and 148.3% at the concentration of $1mg/m\ell$. The toxicity on cells treated with $H_2 O_2$ of $450\mu{M}l$was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rose extract. The survival rate after treatment with ros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ell$ was increased to 71% compared to the 32% survival rate of control.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tracts of arrowroot and rose seem to stimulate cells, whereas the extract of rape has a cytotoxic effect. Biological activities of ether extract were the strong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extracts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 PDF

국내산 장미꽃 추출물이 Chinese Hamster Ovary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omestic Rose Flower Extracts on the Growth of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전혜경;박홍주;유병선;조용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132-135
    • /
    • 2007
  • 국내에서 새로 육성된 장미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천연 식품소재로서 기능성을 탐색하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5개 장미 품종을 대상으로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조하고 장미꽃 추출물이 CHO 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MTT법으로 조사하였다. 장미 추출물들은 추출용매의 종류와 첨가농도에 따라 CHO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거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Ether로 추출한 장미꽃 추출물을 5 ${\mu}$g/ml 농도로 첨가한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HO 세포의 증식촉진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장미꽃은 CHO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생리활성을 나타내며, 신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하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장미꽃 추출물에 의한 식중독 세균 Salmonella enteritidis JK-15에 대한 살균활성 및 그에 따른 LPS 변화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JK-15 and LPS Changes Caused by Rose Flower Extracts)

  • 송유진;조윤석;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8-323
    • /
    • 2009
  • 본 연구는 식중독 원인 세균인 Salmonella enteritidis JK-15를 장미추출물에 노출시켜 나타나는 살균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분리세균인 S. enteritidis JK-15는 장시간 노출된 음식으로부터 농화, 분리되었다. 16S rRNA PCR을 수행하여 S. enteritidis JK-15의 유전학적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BIOLOG 분석 시스템과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S. enteritidis 종(species)과 98% 유사성을 가졌으며, 이 균주를 S. enteritidis JK-15로 명명 하였다. 5~100 mg/ml 범위의 장미추출물에 노출된 S. enteritidis JK-15의 살균효과를 조사하였고, 100 mg/ml의 장미추출물에서 6시간, 그리고 50 mg/ml에서 12시간 이내에 완전히 살균되었다. 지수생장기의 S. enteritidis JK-15 균주는 노출된 장미추출물의 농도와 시간에 따라 lipopolysaccharide의 양이 변화하는 것을 SDS-PAGE와 silver staining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장미추출물에 노출시킨 세균의 외부 형태를 분석한 결과, 움푹 패이고 불규칙적인 간균 형태로 관찰되었다.

In vitro 실험모델에서 생산지에 따른 로즈힙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효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ose Hip Extracts on Osteoarthritis in Cartilage Cells)

  • 남다은;이민재;강남길;박금덕;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63-1670
    • /
    • 2012
  • Primary culture된 연골세포 in vitro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칠레와 덴마크 두 지역으로부터 생산된 로즈힙 추출물의 관절염 관련 효과를 비교 확인하였다. 먼저 MTT 시험법을 통해 세포 사용 적정농도를 600 ${\mu}g/mL$ 이하로 결정하였고 이를 근간으로 연골세포사멸억제, 염증관련인자(TNF-${\alpha}$, NO, Cox-2) 및 연골세포조직의 이화작용과 동화작용에 관여하는 인자의 유전적 발현을 측정하였다. $H_2O_2$ 처리에 따른 산화적 독성으로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한 실험에서 로즈힙 추출물은 정상세포 수준으로 사멸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칠레산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TNF-${\alpha}$의 생성 억제는 로즈힙 추출물 처리 시 27.4~31.9% 정도의 저해효과가 나타났지만 농도 의존적이지는 않았으며 두 지역 간의 유의성도 나타나지 않았다. NO의 생성 억제의 경우 농도의존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고농도에서는 덴마크산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Cox-2의 발현억제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칠레산에서 다소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연골세포조직의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에 관여하는 인자들 중 동화작용 인자인 collagen type I의 경우 고농도에서 정상세포 수준으로 발현을 촉진시킨 것으로 나타났지만 collagen type II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aggrecan의 경우는 정상세포군에 비해서는 미비하였지만 $H_2O_2$ 처리군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측정하였던 동화작용 인자들 중에서는 지역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화작용에 관여하는 인자로서 MMP3, 7, 13의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H_2O_2$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MMP13에서 가장 큰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두 지역 간의 비교에서는 MMP3의 경우 고농도에서 덴마크산이 다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인지된 반면, MMP7, 13의 경우는 지역적인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실험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로즈힙 추출물은 primary culture된 in vitro 실험모델에서 관절염 형성 억제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지역적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험의 한계점으로는 기존에 사용되던 관절염 치료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로즈힙 추출물의 효과를 정량화하여 비교하지 못한점이 있음으로 향후 이 점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장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bility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 hybrida)

  • 이혜란;이지민;최남순;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3-378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버려지고 있는 장미(Rosa hybrida L. cv. Mary Devor)를 이용하여 기능성을 조사한 뒤 그 이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미의 일반성분, 식이섬유 및 총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하고 총산화 효과와 추출수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에탄올의 농도(0, 75, 85, 95%)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첨가농도(0.02, 0.05%)와 저장기간에 따라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산화유도기간을 살펴본 결과, 장미 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이나 ${\alpha}$-tocopherol, BHT 첨가군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을 0.05%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가장 긴 유도기간을 나타냈다. 산가 및 TBA가는 장미 추출물 및 BHT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tocopherol 첨가군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즉, 장미 추출물은 BHT와 유사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험균주(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장미 추출물은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은 E. coli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 추출물을 천연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장미를 이용한다는 면에서 경제적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다. 장미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확인되어 그 이용성이 기대됨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ed Rose Petals

  • Kim, Hyun-K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3호
    • /
    • pp.139-148
    • /
    • 2020
  • Red rose petals are usually disposed but they are an abundant source of phenolics and traditionally used as food supplement and as herbal medicine. Of the Various phenolics, they are known to have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ed rose ethanolic extracts (GRP) o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RAW 264.7 cel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treatment of GRP (500㎍/mL) significantly reduced NO production by suppressing iNOS protein expression in LPS-stimulated cells. Anti-inflammatory effects by red rose petals were observed in the following. Red rose petals inhibited the translocation of NF-κB from the cytosol to the nucleus via the suppress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and also inhibited LPS-stimulated NF-κB transcriptional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d rose petals exert anti-inflammatory actions and help to elucid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potential therapeutic values of red rose petals. Therefore, red rose petals could be regard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inflammatory agents.

혈청지질의 광산화 반응에 미치는 인삼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Photooxidation in Serum Lipid)

  • 백태홍;천현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234-238
    • /
    • 1989
  • In the presence of a photosensitizer, rose bengal, phooxidatlon in serum total lipids has been studied and the effects of ginseng water extract and saponins on it have reviewed. In the presence of rose bengal, serum total lipids undergo photooxidation and produce lipid hydroperoxides. On the other hand, ginseng water extract and dial saponins largely inhibit photooxidation and decrease the amount of lipid hydroperoxides in serum total lipids.

  • PDF

9종의 허브류로부터 ACE 저해활성,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에 대한 검색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 권은경;김영언;이창호;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1-698
    • /
    • 2006
  • 본 연구는 혈액순환 개선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민간에서 빈번하게 사용하는 허브류인 마조람, 라벤더, 딜, 로즈마리, 히솝, 장미, 레몬밤, 파인애플 세이지 및 에키네시아 등 총 9종 을 실험 시료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부위별 및 용매별로 추출하여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 hydroxy-methylglutalyl coenzyme A reduct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장미꽃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 추출의 경우 43.3%였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 45%였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의 경우 장미꽃이 133.8% 로 가장 높았고 70% 에탄올 추출의 경우에는 파인애플 세이지 잎이 91.2%로 가장 높았다.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에는 장미꽃이 열수 추출물 48.9%, 70% 에탄올 추출물 80.5%로 모두 높았다. 혈전용해활성도 장미꽃에서 열수 추출이나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꽃 추출물의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

해당화(Rosa rugosa Thunb.)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Rugosa rose (Rosa rugosa Thunb.))

  • 김지우;엄민;이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해당화의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 107.29, 24.28 mg/g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꽃, 잎, 씨, 열매, 과육 추출물 순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꽃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IC_{50}=0.87$, $0.27mg/m{\ell}$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꽃과 잎 추출물에서는 gallic acid가 각각 4.51, 0.97 mg/g로 다른 부위별 열수추출물에서보다 높았다.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분획한 결과(A-F), 꽃 추출물의 C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3305.43, 878.42 mg/g)에 의한 것이며, p-value < 0.001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상관관계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해당화 열수추출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산업 등에서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