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rate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4초

간척지에서 수도 및 기타작물의 내염성에 관한 연구 12. 육묘와 수묘의 염분간척지에서의 내염성에 관하여 (Study on the Salt Tolerance of Rice and Other Crops in Reclaimed Soil Areas 12. On the Salt Tolerance of the Rice Seeldings Grown under the Land and Water Conditions in the Reclaimed Salty Areas)

  • 임형빈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4호
    • /
    • pp.23-31
    • /
    • 1970
  • The rice variety, Kwanok, was reared in the water and land beds and transplanted to the reclaimed soil area, having an average salt concentration of 0.39%. Two levels of the moderate and late season cultures with 4 treatments were used. The K and Si contents of the stem part of land bed seedlings were somewhat smaller, but total carbohydrate remarkably larger, the C/N ratio was accordingly greater than water bed seedlings. The rooting ability of land bed seedlings was vigorous markedly in culture solutions, to which added various concentrations of NaCl, The rooting ability of each seedling water not much declined in theculturing solution of up to 9.4mmhos/cm, (0.6%) of salt concentration, but it was drastically declined in the salt concentration over that. It seemed that the critical salt concentration for the rooting rice plant. The land bed seedlings in each salty condition marked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water bed seeldings in transpiration rate and it showed a stronger drought resistance and contained a large amount of chlorophyll at transplanting stage, and also showed higher stability of chlorophyll at rooting stage in the salt treatment. The number of panicles, panicle weight,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and ratio of matured grains of the rice plant grown by the land bed seedlings were much greater and 1,000 grain weight was less than from water bed seedlings. The cultural practices with the land bed seedlings increased the rough rice yields by 15% and 1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yields of the moderate and late season cultures by water bed seedlings.

  • PDF

티크의 기내 줄기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ED (light-emitting diode) 효과 (Effect of light-emitting diode (LED) on in vitro shoot growth and rooting in teak (Tectona grandis L.))

  • 이나념;김지아;김용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291-296
    • /
    • 2019
  • 본 연구는 티크의 기내 생장 및 발근에 미치는 light-emitting diode (LED)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티크의 정아 절편체의 줄기 신장은 LED 혼합광(BR, 50% 청색광 + 50% 적색광) 하에서 DKW 배지 배양 시 3.2 cm로 가장 좋았고, 줄기유도는 광원 및 배지(MS 및 DKW)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BA 농도 처리 시 최대 줄기 유도는 BR 광원 및 1.0 mg/L 처리구에서 2.4개, 최대 줄기 신장은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4.94 cm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발근에 영향하는 IBA 농도 효과는 정아 절편체를 BR 및 0.5 mg/L 처리구에서 배양 시 최대 발근율(93.8%)과 최대 뿌리 길이 신장(1.3 cm)을 보였고, 뿌리 수는 0.2 mg/L (3.1개/절편)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근 식물체는 상토로 이식 후 순화 과정을 거쳐 정상적은 생장을 보였다.

In vitro Micropropagation and Root Induction of Pear Genetic Resources

  • Jae-young Song;Jinjoo Bae;Woohyung Lee;Jung-ro Lee;Munsup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22
  • Pear (Pyrus spp.) is a typical fruit and grown in the temperate climate regions throughout the world. Development of appropriate methods for in vitro propagation and root induction are important to increase the production rate and plant quality rapid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edia conditions for in vitro propagation and rooting of three pear cultivars, 'Barttlett', 'BaeYun No.3' and 'Oharabeni'. In vitro propagation was induced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MS) with 2.0 mg/L N6-benzyladenine (BA) and 0.2 mg/L indole-3-butyric acid (IBA) medium. For root induction of these cultivars, the shoot explants of the propagated plants were cultured on two different media containing 1/2 MS medium containing 0.2 mg/L IBA with 15 g/L Sucrose (Rooting Medium 1, RM1) and 1/4 Linsmaier and Skoog medium (LS) medium containing 1 mg/L IBA and 1 mg/L NAA hormone with 7.5 g/L glucose (Rooting Medium, RM2) and after 2 weeks, the plants on the RM2 medium are transferred on RM1 medium (RM2 condition). After nearly seven weeks, percentage of rooting formation were 22.2% in RM1 and 30% in RM2 conditions for Barttlett and 70% in RM1 and 60% in RM2 conditions for Oharabeni cultivars. No differences in these cultivars were observed between RM1 and RM2 conditions. However, BaeYun No.3 cultivar was observed 0% in RM1 and 72.7% in RM2 conditions. This study will help to propagation and root induction of in vitro plants for various pear cultivars.

  • PDF

토양수분(土壤水分)이 Populus alba × P. glandulosa 및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Soil Moisture Content Affecting Rooting of Cutting and Height Growth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and Parents)

  • 손두식;신종복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74-78
    • /
    • 1984
  • P. alba ${\times}$ P. glandulosa 및 P. glandulosa의 삽목발근(揷木發根)과 생장(生長)에 가장 적합한 Soil water potential (${\Psi}_s$)은 -0.05 bars이었고,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적합할 때는 생장(生長)이 양호(良好)하였으나 ${\Psi}_s$=-0.5bars 이하(以下)에서는 모두 불량(不良)한 생장(生長)을 하였고 수종간(樹種間)에 큰 차(差)가 없었다. 특(特)히 P. alba ${\times}$ P. glandulosa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할 때는 생장(生長)에 대한 잡종강세(雜種强勢)의 현상(現象)이 나타났으나 토양수분(土壤水分)이 부족할 때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aspen은 삽목발근(揷木發根)이 전연(全然) 안되는데 반하여 P. glandulosa는 삽목발근율(揷木發根率)이 낮기는 하지만 23%나 되는 것은 P. alba의 삽목발근인자(揷木發根因子)가 유인(流人)된 것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P. glandulosa는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으로 사시나무와 은백양의 잡종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생장(生長)도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중간 정도이며 토양수분(土壤水分)에 대한 생장(生長)의 민감도는 은백양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P. glandulosa가 은백양과 사시나무의 자연잡종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 PDF

Rapid Micropropagation by Axillary Buds Cultures of Smilax china

  • Song, Hyun-Jin;Sim, Seon-Jeong;Jeong, Mi-Jin;Heo, Chang-Mi;Kim, Hak-Gon;Jeong, Gwon-Yong;Heo, Su-Yeoung;Choi, Yong-Weon;Park, Geun-Hye;Yang, Jae-Kyung;Moon, Hyun-Shik;Choi, Myung-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39-44
    • /
    • 2010
  • An efficient method for the rapid propagation of Smilax china from axillary buds was established. Plants with thick leafage were selected from Korea native S. china population. Axillary buds of S. china collected from selected plant and were cultured in various culture media (2MS, MS, 1/2MS, WPM, B5 and SH medium). Shoot was induced from axillary bud on MS basal medium after 4 weeks of culture. 1/2MS medium showed a higher growth rate than those of the others, while the lowest shoot growth was obtained in 2MS medium. Among the sucrose concentrations, 5% sucrose was the optimum level for shoots growth from axillay buds. Among cytokinins, $0.5mgL^{-1}$ 6-benzylaminopurine (BAP) treatmen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n shoot multiplication, yielding average shoot multiplication forming about 2.4. Rooting was induced directly near the base of the shoot on 1/2MS medium containing with three-auxins ${\alpha}-napthalene$ acetic acid (NAA), indole acetic acid (IAA) and ${\beta}-indolebutyric$ acid (IBA) (0.5 and $1.0mgL^{-1}$). The $1.0mgL^{-1}$ IBA treatments induced earliest rooting with maximum of root number and root growth. These roo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pots for 4 weeks hardening process, and were transferred to soil with above 90% survival rate.

육계(Cortex of Cinnamomum cassia J.Presl) 추출물로부터 부정근 형성 유도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ducing Substances from Cortex of cinnamomum cassia J.Presl)

  • 여주호;백정규;박지성;김건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21
    • /
    • 2024
  • 본 연구에서 육계 추출물로부터 cinnamyl alcohol을 분리·정제하였다. 연구 결과, H3 분획100 ㎍/mL에서 부정근 형성율이 286.6%였으며, 표준품 cinnamyl alcohol 1 mM (134.2 ㎍/mL)의 형성율이 290%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육계 methanol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cinnamyl alcohol이 녹두의 부정근 형성을 유도하는 주된 화합물일 것으로 판단된다. 육계에서 동정한 cinnamyl alcohol은 현재 식품첨가제 및 향료로써 사용되고 있으므로 안전성이 이미 보장되어 있으며, 한약재로써 사용된 육계 잔류물을 활용하여 부정근 형성 유도물질을 추출한다면비용적인 측면에서 또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육계는 유기농 농자재로써 충분히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규 천연 식물생장조절제의 개발용 소재로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꼬리진달래의 造景樹木化를 위한 基礎硏究(III) -繁殖 實驗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Wild Rhododendron Micranthum for Landscape Use)

  • 이병용;이기의;유근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37-141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pagation methods of the Rhododendron micranthum as a landscape plan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eed germination was $20^{\circ}C$, and the seed germination needs light. 2. GA and thiourea did not affect the seed germination under light, but GA gad substitutive effect. 3. 87% and over of germination rates were obtained in room temperature and $5^{\circ}C$ dry storages. 4. The rooting rate was high on sandy loam, vermiculite, and vermiculite 50%+sand 50%, at softwood and hardwood cutting(hardwood ; 45~48%, softwood ; 45~48%). 5. The significant effects on rooting were found with the treatment of NAA 500~2000ppm.

  • PDF

섬오갈피나무의 발아 및 유묘의 생육특성 (Growth of Seedling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koreanum NAKAI)

  • 고한종;송창길;조남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52
    • /
    • 2003
  • 제주특산 식물인 섬오갈피나무(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다량증식을 위하여 번식방법 및 유묘 생육 상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는 15 에서 60일간 후숙시킨 다음 Kinetin 50ppm에서 24시간 침지후 5 에서 60일간 저온처리 하여 휴면타파한 것이 발아율 64%였다. 2. 녹지삽에서 호르몬 농도처리시 발근율은 IBA 100ppm에서 61.7%, NAA 50ppm에서 56.7%, IAA 100ppm에서 60.0%였다. 3. 녹지삽목에서 상토재료별 루톤 분의 처리 시 발근율은 송이+원예상토에서 76.7%, 비화산회토양에서 66.7%로 효과적 이었다. 4. 3월 30일 삽목하여 8월 10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75%, 차광망 설치구에서 96%로 좋았으며 지상부 생육상황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좋았다. 5. 9월 30일 삽목하여 다음해 5월 2일 정식묘에서 활착율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91%로 좋았으며, 생육 및 수량성은 55% 차광망 설치구에서 양호하였다. 6. 전정부위에 따른 줄기 재생력은 지상 30cm 높이에서 전정한 것이 생육이 좋았다.

물배지의 종류 및 첨가물의 농도가 후피향나무 삽목묘의 발근 및 이식 후 활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s of Water Media and Concentration of Additives on Rooting and Survival of Ternstroemia japonica after Transplanting Cuttings)

  • 강현우;김민수;김동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41-152
    • /
    • 2011
  • 물을 배지로 하는 삽목은 토양을 배지로 하는 삽목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관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으나, 물배지에서 발근이 되는 수종이 아주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물배지 삽목은 아직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물배지에서는 삽수의 생존율은 높으나 발근이 잘 되지 않고 캘러스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가 형성된 삽목묘가 토양에 정식된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다면 물배지 삽목도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물배지 내에서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후피향나무의 삽수를 여러 종류의 물 배지에 침적시킨 후 캘러스의 형성과 발근상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물배지 삽목묘를 토양에 이식한 후, 활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만 형성된 삽목묘도 정식 후 발근되어 활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물배지 내에서 캘러스 형성 상태가 양호한 삽목묘일수록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배지 내에서 발근된 삽목묘는 정식 후 96. 6%의 높은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4. 후피향나무의 물배지 삽목 시기는 7월말이나 8월말이 6월말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IBA 50ppm24시간 침적 처리한 처리구가 IBA전 처리를 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정식 후 활착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6. IBA 50ppm 24시간 침적 처리하고 아토닉 오천배액, 포리옥신 오천배액, 포리옥신 일만배액에서 물배지 삽목한 삽목묘는 80~85%의 발근 활착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물배지 삽목은 삽수의 발근율은 낮지만 삽목시기와 식물호르몬처리, 물배지의 선정을 적절하게 하면 높은 발근 활착율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배지 삽목은 소량 다품종 생산을 필요로 하는 조경수의 주요한 번식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배 '원황'의 재분화와 발근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과 탄소원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 on the shoot regeneration and rooting of 'Wonhwang' pear (Pyrus pyrifolia L.))

  • 김세희;박서준;조강희;이한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4호
    • /
    • pp.486-4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배 '원황'의 효율적인 재분화 조건을 규명하기 위해 NAA 0.01, 0.05, 0.1, 0.5 mg/L과 BA 3, 5, 10 mg/L을 조합하여 처리한 결과, NAA 0.05 mg/L, BA 3 mg/L의 조성에 plant agar 8 g/L와 sucrose 30 g/L의 MS 배지에서 재분화율이 13.3%로 나왔다. 기존의 '신고'와 '황금배'의 발근에 사용하였던 배지 조성과 '배연3호'의 발근 배지조성에서는 '원황' 품종의 발근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원황'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NAA 0.5, 1.0 mg/L, IBA 0.3, 0.5, 1.0 mg/L을 조합하여 처리한 결과 IBA 1.0 mg/L와 NAA 1.0 mg/L의 조합에 1/4 LS vitamin이 포함된 배지에서 발근률이 24%로 나타났으며 효율적인 '원황'의 발근을 위해서는 탄소원으로 glucose 7.5 g/L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