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point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31초

규장암지역에서 발파공사중 K 및 n의 변화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n variation of the coefficients K and n with proceeding of blasting works at the felsite zone)

  • 안명석;박종남
    • 화약ㆍ발파
    • /
    • 제16권4호
    • /
    • pp.29-39
    • /
    • 1998
  • 본 보고서는 대구광역시 대덕문화전당 신축공사장의 터파기 발현 현장에서 2개월간 시행한 발파 및 진동측정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상 지질은 상부에서는 호온펠스호한 세일.이암이 분포하며, 관입된 규장암질이 하부기반암을 이루고 있다. 2개월간의 발파작업 기간동안 수조 위에서 측정된 진동측정 데이터를 기간별로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K 및 n을 구하였다. 이에 시험발파의 발파진동치를 분석하였을 때 K 및 n은 삼승근의 경우 2464와 1.621, 자승근의 경우 7154과 1.791이었고, 주적발파진동치를 분석하였을 때 K 및 n은 삼승근의 경우 1668와 1.492, 자승근의 경우 1219과 1.366이었다. 이러한 시험발파 및 본 발파진행에 따른 K 및 n의 자이는 진동파가 매질을 통해 전파되면서 풍화 및 절리가 비교적 많고 강도가 비교적 약한 상부 풍화암 내지 연암충에서 풍화 및 절리가 비교적 적으며 강도가 강한 하부암반으로 발파가 진행되면서 진동전파에 따른 감쇠현상의 차이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공사진행 도중 더욱 정밀한 안전설계 및 안전발파를 위해서는 발파작업진척도에 따라 K값의 단계별 감소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자승근 환산거리와 삼승근 환선거리에서의 K 및 n의 감소율과 SD 교차점을 분석해 보았을 때 본 현장의 경우는 삼승근 적용이 자승근 적용보다 더욱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 PDF

포도 '거봉'의 2기작 재배에서 근권환경 특성 (Root zone environments in two cropping system within a year for Kyoho grapes)

  • 오성도;김용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1997
  • 거봉과 같은 대립계 4배체 포도의 근역제한 재배에서 품질향상과 수량을 증대시키려면 포도수체 지상부의 기온과 상대습도 뿐만 아니라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을 적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거봉의 2기작을 위한 근역 제한 재배에서 지중가온과 토양수분을 조절하면서 근권부의 지온과 토양수분 홉인합의 변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시도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온 시기에 주간의 최고 기온과 야간 기온의 평균치는 각각 25.1~32.7$^{\circ}C$, 18$^{\circ}C$ 이고, 상대습도는 주간 최저치와 야간 최고치가 각각 50~55%, 84~87%로 나타났다. 2. 지중 15cm 깊이에서 지중 가온구와 지중 무가온구 지온의 평균치는 각각 25.6$^{\circ}C$, 17.4$^{\circ}C$로서 지온의 적정 범위에 해당되어 본 실험에서 적용된 온수보일러에 의한 지중 가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15cm 깊이에서 토양수분 흡인압의 목표치를 pF 2.2로 설정하였을 때 관수 개시와 함께 15cm 깊이에서의 흡인압은 pF 1.5 정도까지 하강하였으나, 이후에는 흡인압이 상승하면서 pF 2.0~2.2를 유지하여 토양수분 흡인압의 조절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근역 제한 재배에서 관수 개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지중 15cm 깊이에서 측정된 토양수분 홉인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거봉의 근역 제한 재배에서 신초의 도장을 방지하려면 근권부의 효과적인 배수 대책이 요구된다.

  • PDF

치은의 biotype이 결합조직이식 후 치근피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gingival biotype on the amount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 주지영;이주연;김성조;최점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11-118
    • /
    • 2009
  • Purpose: The integrity of interproximal hard/soft tissue has been widely accepted as the key determinant for success or degree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However, we reason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n individual,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proximal papilla to gingiva margin, may be the key determinant that influence the extent of root coverage regardless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gingival recession. Henc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an aim to verify that individual gingival scalloping pattern inherent from biotype influence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for root coverage. Methods: Test group consisted of 43 single-rooted teeth from 21 patients (5 male and 16 female patients, mean age: 36.6 years) with varying degrees of gingival recession requiring connective tissue graft; 20 teeth of Miller class I and 23 teeth of Miller class III gingival recession,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contralateral teeth which did not demonstrate apparent gingival recession, and thus not requiring root coverage. For a biotype determinati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papillae of a test tooth was drawn. The distance from this line to gingival margin at mid-buccal point and this distance (P-M distance) was designated as "gingival biotype" for a given individual. The distance was measured at baseline and 3 to 6 months examinations postoperatively both in test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between Miller class I and III were subject to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tudent.s t-test while thos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within a given patient were by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P-M distance at 3 to 6 months postoperative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ller class I and Miller class III.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 in a given patient, either, both in Miller class I and III. Conclusions: The amount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was not dependent on Miller's classification, but rather was dependent on P-M distance, strongly implying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 given patient may play a critical impact on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connective tissue graft.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을 이용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Growth Model of Listeria monocytogenes Using Mathematical Quantitative Assessment Model)

  • 문성양;우건조;신일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4-198
    • /
    • 2005
  • 게맛살의 HACCP system에 있어서 critical control point중의 하나인 L. monocytogenes가 오염된 제품에서 균의 성장변화를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게맛살 성분조성을 고려한 modified imitation crab(MIC) broth에서 온도와 초기균수에 따른 L. monocytogenes의 성장 실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균의 성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균의 증식 지표인 최대증식속도상수(k), 유도기(LT), 세대시간(GT)은 온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초기균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최대증식속도상수(k)와 온도 및 초기균수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인 polynomial model과 square root model을 이용하여 L. monocytogenes 성장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인 $polynomial\;mode(k=0.71{\cdot}exp(-0.5(\;((T-36.05)/11.84)^{2}+((A_{0}+8.12)/21.59)^{2})))$과 square root model($\sqrt{k}$ =0.02(T-(-3.42)) [1-exp(0.36(T-44.51))])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치와 예측치의 상관관계는 각각 0.92. 0.95로 polynomial model보다 square root model 예측치가 실험치와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위한 도로 노면선 표시의 자동 도화 및 구조화 (Automatic Drawing and Structural Editing of Road Lane Markings for High-Definition Road Maps)

  • 최인하;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63-369
    • /
    • 2021
  •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되어 최신 도로정보가 신속하게 반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정밀도로지도 공정 중 객체 도화 및 구조화 편집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며 주요 구축 대상인 도로 노면선 표시의 레이어를 생성하는데 가장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기학습된 포인트넷(PointNet) 모델을 통해 색상 유형(백색, 청색, 황색)이 예측된 도로 노면선 표시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입력 데이터로 활용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로 노면선 표시 레이어의 도화 및 구조화 편집을 자동화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을 통해 구축한 3차원 벡터 데이터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밀도로지도 품질검사 기준에 따라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벡터 데이터의 위치정확도 검사에서 수평 오차와 수직 오차에 대한 평균제곱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0.1m 이내로 나타나 적합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화 편집 정확도 검사에서 선표시 유형과 선규제 유형의 구조화 정확도가 모두 88.235%로 나타나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으로 정밀도로지도를 위한 도로 노면선 표시의 벡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제재의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E. faecalis에 대한 항균성 평가 (Evaluation of time-dependent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on Enterococcus faecalis in the root canal)

  • 김혜정;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7
  •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NaDCC)은 염소 화합물의 일종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NaOCl)과 비교 시 동일한 농도의 용액에서 같은 염소 이온을 가지고 있으며 비슷한 정도의 항균력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염화이소시아뉼산나트륨 근관 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항균성을 평가하고 이를 현재 근관세척제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및 클로르헥시딘 (CHX)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의 최소증식억제 농도 (MIC)를 실험한 결과 NaOCl과 NaDCC에서는 0.125%를 보였고 CHX에서는 0.063%로 나타났다. 근관 내 사용에 대한 실험은 최근에 발거된 128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경부와 치근단 부위를 절단하여 10 mm 길이를 가지는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의 내경은 #3 Gates-Glidden drill을 이용하여 동일하게 하였다. 각각의 치아 시편의 근관 내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3일간 배양한 후 40개씩 3개의 군으로 분류하고 대조군으로 8개의 시편을 이용하였다. 실험군 1, 2, 3은 각각 NaDCC, NaOCl, CHX으로 근관세척하였고 대조군은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하였다. 각 군은 다시 12시간, 24시간, 72시간, 7일의 시간에 따라 4개의 하위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 멸균된 paper point를 이용하여 근관 내용물을 채취하고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그 후 #4, 5GG drill을 이용하여 근관 내면을 삭제하고 이 때 생겨나는 상아질을 멸균된 증류수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었다. 이것을 희석하여 BHI agar plate로 옮겨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bacterial CFU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bacterial CFU가 관찰되지 않았고 E. faecalis에 대한 세 가지 제재 모두 비슷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멸균된 식염수를 이용한 대조군에서는 모두 bacterial CFU가 존재하였다. NaDCC를 근관세척제로 사용할 경우 1주 이내의 시간 동안에는 적절한 항균효과를 유지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조직 용해도를 비롯한 치근단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등의 평가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rametrized Boundary of a Period-2 Component in the Degree-3 Bifurcation Set

  • 김영익
    • 한국전산응용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응용수학회 2003년도 KSCAM 학술발표회 프로그램 및 초록집
    • /
    • pp.5.3-5
    • /
    • 2003
  • The boundary of a typical period-2 component in the degree-3 bifurcation set is formulated by a parametrization of its image which is the unit circle under the multiplier map, Some properties on the geometry of the boundary a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root point, the cusp, the component center and the length as well as the area bounded by the boundary curve. An algorithm drawing the boundary curve with Mathematica codes is proposed and its implementation exhibits a good agreement with the analysis presented here.

  • PDF

CUBIC FORMULA AND CUBIC CURVES

  • Woo, Sung Si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209-224
    • /
    • 2013
  • The problem of finding rational or integral points of an elliptic curve basically boils down to solving a cubic equation. We look closely at the cubic formula of Cardano to find a criterion for a cubic polynomial to have a rational or integral roots. Also we show that existence of a rational root of a cubic polynomial implies existence of a solution for certain Diophantine equation. As an application we find some integral solutions of some special type for $y^2=x^3+b$.

ON SOME BEHAVIOR OF INTEGRAL POINTS ON A HYPERBOLA

  • Kim, Yeonok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4호
    • /
    • pp.1243-1259
    • /
    • 2013
  • In this paper, we study the root system of rank 2 hyperbolic Kac-Moody algebras. We give some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existence of imaginary roots of square length $-2k(k{\in}\mathbb{Z}_{>0}$. We also give several relations between the integral points on the hyperbola $\mathfrak{h}$ to show that the value of the symmetric bilinear form of any two integral points depends only on the number of integral points between them. We also give some generalizations of Binet formula and Catalan's identity.

ON A GENERAL CLASS OF OPTIMAL FOURTH-ORDER MULTIPLE-ROOT FINDERS

  • Kim, Young Ik
    • 충청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57-669
    • /
    • 2013
  • A general class of two-point optimal fourth-order methods is proposed for locating multiple roots of a nonlinear equation. We investigate convergence analysis and computational properties for the family. Special and simple cases are considered for real-life applications. Numerical experiments strongly verify the convergence behavior and the developed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