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cluster cult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Doritaenopsis 뿌리배양으로부터 고빈도의 Protocorm-like Body(PLB)형성 (High Frequency Protocorm-like Body(PLB) Formation through Root Cultures Doritaenopsis Hybrids(Orchidaceae))

  • 박소영;오성래;백기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241-244
    • /
    • 2003
  • Root cluster section culture, showing high efficient Protocorm-like body (PLB) formation capacity, were established in Doritaenopsis hybrids. Three types of root were obtained from excised shoots in 1/2MS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A; \circled1normal roots, \circled2multiple roots and \circled3abnormal root clusters. Those were placed o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mg/L thidiazuron for PLB regeneration. PLB regeneration rate was greater in root cluster section cultures (77.8%) compare to normal root tip cultures(30%). Number of PLBs regenerated from root cluster sections were counted over 11 per explant (5.3 per normal root tip).High frequency of PLB regeneration was achieved in root cluster section culture. This resul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ethod for clonal proliferation of Doritaenopsis hybrids.

보리수나무 뿌리혹으로부터 Frankia EuIK1 공생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Symbiotic Frankia EuIK1 Strain from Root Nodule of Elaeagnus umbellata)

  • 김성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77-182
    • /
    • 1993
  • The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were coralloid-shape due to repeated dichotomous branching of nodule meristem. The filamentous endophyte with vesicle cluster ranging from 30 ${\mu}{\textrm}{m}$ to 60 ${\mu}{\textrm}{m}$ in diameter was present only in the cortical cells. The isolated endophytes in vitro culture showed typical Frankia morphology, consisting of highly branched hyphae ranging from 0.8 ${\mu}{\textrm}{m}$ to 1.0 ${\mu}{\textrm}{m}$ in diameter, terminal and intrahyphal sporangia varing in shape and size up to 60 ${\mu}{\textrm}{m}$ in length and laminated vesicles. Its infectivity and effectivity were confirmed by induction of nitrogen-fixing root nodules on the inoculated seedlings of two Elaeagnus species. Consequently, the isolate was confirmed as a true symbiont of Elaeagnus umbellata root nodule and named Frankia EuIK1.

  • PDF

토마토 암면양액재배시스템에서발생한 Fusarium 근두썩음병(가칭) (Fusarium Crown Rot of Tomatoes on a Rockwool Culture System)

  • 이충식;박은우;이충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4-67
    • /
    • 1994
  • Crown rot was found find tomatoes growing on a rockwool culture system in a glasshouse at Dongkwangyang in 1992. The disease occurred on the stem of 'Trust' tomato plants with 3~4 cluster of flowers. Infected plants showed stem girdling and necrosis at or slightly above the rockwool line. Internal tissues of crown and stem including cortex, vascular bundle, and pith became decayed resulting in a chocolate-brown discoloration extending no more than 10~15 cm above the crown. Diseased tomato plants with the similar symptoms were found at Ansung and Taejon where tomatoes were grown on either rockwool or soil in plastic greenhouses. The size of macroconidia of Fusarium isolated from a diseased plant was 26.0~41.6$\times$2.9~4.7${\mu}{\textrm}{m}$, and microconidia were formed on short monophialide and the size was 3.6~12.5$\times$2.9~3.6 ${\mu}{\textrm}{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oculation tests indicated that the causal organism of the disease was Fusarium oxysporum.

  • PDF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Bulk Soil, Rhizosphere Soil, and Root Samples of Hot Pepper Plants Using FAME and 16S rDNA Clone Libraries

  • Kim, Jong-Shik;Kwon, Soon-Wo;Jordan, Fiona;Ryu, Jin-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36-242
    • /
    • 2003
  • A culture-independent and -dependent survey of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rhizosphere and soil samples from hot pepper plants was conducted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and FAME analyses. Out of the 78 clones sequenced, 56% belonged to Proteobacteria, 4% to high G+C Gram- positive group, 3% to Cytophyga-Flexibacter-Bacreroides, and 32% could not be grouped with any known taxonomic division. Among the 127 FAME isolates identified, 66% belonged to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Baciilus spp.) and 26% to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In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for both methods were found to be strikingly dissimilar. The current study is the first comparative study of FAME and 165 rDNA clonal analyses performed on the same set of soil, rhizosphere soil, and root samples.

육묘과정 중 배양액 추비시용과 정식방법에 따른 '설향' 딸기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and Planting Method on Growth and Yield of 'Seolhyang' Strawberry in Seedling Stage)

  • 박갑순;강태주;김영칠;안승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7-205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and planting method on growth and yield of 'Seolhyang' strawberry during seedling rais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ertilizer applied, the height of daughter plants was the highest at an EC of $0.8dS{\cdot}m^{-1}$. Leaf number and crown diameter were greatest at an EC of $0.6-0.8dS{\cdot}m^{-1}$. In the first measurement, root number was highest in non-fertilizer application, while root weight was heaviest in non-fertilizer application and EC $0.4dS{\cdot}m^{-1}$.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fertilizer applied as culture media, the lower the growth rate. Thirty days after planting on the main field, plant height and number of new leaf were highest at an EC of $0.8dS{\cdot}m^{-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af length and width and chlorophyll content according to fertilizer application. Marketable yield of 25 g or higher was greatest in EC $0.6dS{\cdot}m^{-1}$. In contrast,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total marketable yield at an EC of $0.4-0.8dS{\cdot}m^{-1}$. Aconsistent pattern was exhibited in the growth of 1-5 harvesting flower clusters according to planting method. The length of leaf and flower cluster was short and chlorophyll content was low, when bed soil was removed 100% in harvesting of the first flower cluster. In all treatment, leaf length was shortened until harvesting of the second and third flower cluster, but rapidly lengthened in harvesting of the third and fourth flower clusters. Moreover, the length of flower cluster had a increasing tendency from harvesting of the third flower cluster. However, chlorophyll content was reduced continuously until harvesting of the fifth flower cluster, and was lowest in harvesting of the fourth flower cluster without removal of bed soil. Total yield was greatest in treatment of crown removal in bed soil between November and May. Late marketable yield between March and May was highest in treatment of 100% bed soil removal, followed by treatment of crown removal. Marketable yield of 25 g or higher was greatest in treatment of crown removal between December and February, while greatest in treatment of 100% bed soil removal between March and May.

저온기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최적 근권온도 조절 방법 (Appropriate Root-zone Temperature Control in Perlite Bag Culture of Tomato during Winter Season)

  • 김성은;심상연;이상돈;김영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83-789
    • /
    • 2010
  • 저온기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근권의 가온이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저온기 근권온도 조절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온기 동안에 근권의 가온시각과 가온기간 처리를 각각 저온기 일출시간(7시 30분)을 기준으로 일출 전후 1시간씩 2시간 가온처리, 일출 전후 2시간씩 4시간씩 4시간 가온처리, 일몰 후부터 15시간 가온처리 및 무가온 처리를 두어 실험하였다. 근권온도 처리 간에는 무가온 처리(NON)에서 근권온도가 실험기간 동안 주간과 야간 모두 가장 낮았고, 야간의 온도 하강이 주간의 온도에까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일출 전후 2시간씩 4시간 가온처리에서 근권온도가 일출 전후 1시간씩 2시간 가온처리보다 1시간 먼저 상승하고, 하강도 늦었으며 전체 실험기간 동안의 평균 온도도 약간 높게 유지되었다. 처리구 중에서 가장 가온시간이 길었던 일몰 후부터 15시간 가온처리에서는 전 실험기간동안 $19-23^{\circ}C$ 정도에서 가장 높은 근권온도로 유지되었다. 지상부 생육조사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미미하여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뿌리생육은 근권온도가 높게 지속될수록 뿌리 량이 많았고, 뿌리의 분포는 전실험구에서 균일하였다. 식물생육지표에 의해 실험기간 동안 작물의 화방별 수확과 생장양상의 변화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일몰 후부터 15시간 가온처리와 일출 전후 2시간씩 4시간 가온처리가 동일하게 토마토의 생육 및 수확량에서 가장 좋았기 때문에 가온을 위한 비용을 고려한다면 일출 전후 2시간씩 4시간 가온처리가 가장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재배작약의 분류에 관한 해부학적연구 (Anatomical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Cultivated Peony in Korea)

  • 유승조
    • 생약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81-92
    • /
    • 1970
  • So far, the cultivated peony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an indigenous species, Paeonia albiflora $P_{ALLAS}$ var. trichocarpa $B_{UNGE}$ (PAT). In this study, these two species were morphologically examined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feature and in the pattern of callus formation by tissue culture. Also, they were compared with another indigenous species, P. japonica $M_{IYABE}$ et $T_{AKEDA}$ var. pilosa $N_{AKAI}$ (PJ), which were regarded as being scarcely related to them. The root of the cultivated peony is massive consisting with several storage roots, each of them is a hypotrophic and fusiform. The root of PAT consists of several storage roots, each of them is branching and slender. And the storage root of PJ is short, bended buried horizontally, protruding a number of corpulent lateral root. The secondary xylem of the cultivated peony is small clusters of vessels and xylem fibres are arranged in scalariform and among these cluster, single vessel is joined, but that of PAT is small clusters of vessels are arranged in separate scalariform but are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at of PJ is vessels and xylem fibers are grouped together in elongated clusters that radiate outward from the center. Protoxylem of the cultivated peony is surrounded by four large metaxylem, but that of PAT and PJ by seven. On the other hand, the callus formation patterns of these peonies were different; the cultivated peony callus is formed in an orderly fashion by the mammalate meristematic cell groups, PAT callus is in disorder by the meristematic cells arranged in linear, and PJ callus is in order by the meristematic cells arranged in linear. By the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plants in the anatomical appearance and the callus formation pattern, it is evident that the cultivated peony is not derived from PAT.

  • PDF

벼(Oryza sativa L.)의 잎 면으로부터의 IAA를 생성하는 Methylotrophic Bacteria의 분리 선별 및 특성 비교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AA Producing Methylotrophic Bacteria from Phyllosphere of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이규회;;김충우;이형석;;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4
    • /
    • 2004
  • 국내 3지역으로부터 수집한 19종의 벼 잎에 서식하는 methylo-trophlc bacteria의 군집성을 비교하였다. Methanol에 따른 특징적인 생장을 나타내는 분홍색 색소를 띤 19개의 균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들 균체들은 Bergey의 방법에 따라 각각 생리,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 하였으며, 표현형들은 37가지의 특성들을 계통분석법을 통해 명찰히 구분하여, 최종 별개의 4군(cluster)으로 분리하였다. 대조균주인 M, extor벼둔 AM1과 M. fujisawaense KACC10744는 각각 IV군과 III군에 속해있다. I군에 속해있는 균체들은 nitrate의 환원을 근거로 하여 구분하였으며, 4개의 분리균주는 NaCl 0.5M 농도까지 염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I군과 III군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methane을 이용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4군의 대부분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이용하였다. L-tryptophan의 존재 하에 모든 균체들의 indole-3-acetlc aclu (IAA) 생성 실험에서는 선별균체 중 8균체만이 IAA를 생성하였다. 게다가 배지의 질소원은 IAA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NH_4)_2SO_4$를 이용하였을 때 IAA 생성은 최대 20-30배까지 증가하였으나 $KNO_3$, $NH_4NO_3$ 그리고 $NH_4$ CI을 질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IAA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선별된 methylo trophic bacteria를 뿌리에 접종한 결과 균체가 생성한 IAA 영향으로 식물체의 뿌리와 줄기의 길이 그리고 곁뿌리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한 벼 종자의 초기 뿌리 생장은 균을 접종하지 않은 종자보다 평균 27-56% 증가하였다. 높은 농도의 IAA ($400{\mu}g\;mL^{-1}$)를 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뿌리의 생장을 억제 시켰으나, $10-200{\mu}g\;mL^{-1}$ 농도의 IAA를 처리했을 때는 뿌리 생장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IAA가 식물 뿌리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코이어 배지 이용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시 급액 EC가 근권부 무기이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 Level of Irrigation Solution on Tomato Growth and Inorganic Ions of Root Zone in Soilless Culture of Tomato Plant Using Coir Substrate)

  • 최경이;여경환;최수현;정호정;강남준;최효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8-423
    • /
    • 2017
  • 수경재배에서는 제한된 근권에서 작물의 양수분 흡수특성을 고려하여 양액을 공급하여 재배하고 있지만 작물의 무기이온 흡수는 기상조건이나 작물의 생장에 의해 이온간 흡수비율이 달라지므로 근권내 이온의 균형이 깨지기 쉽다. 그런데 최근에는 토마토 재배에는 무기배지인 암면을 대체하여 코이어 배지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장기재배에서 양액의 공급이 근권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코이어를 이용한 토마토 장기 수경재배에 급액의 EC농도가 근권의 무기이온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칩과 더스트가 5:5로 혼합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급액의 EC를 1.0, 1.5, 2.0, $3.0dS{\cdot}m^{-1}$ 로 달리 공 급하였다. 급액 EC가 낮은 $1.0dS{\cdot}m^{-1}$, $1.5dS{\cdot}m^{-1}$ 처리구에서는 $NO_3-N$, P, Ca, Mg 이온이 초기에 급액농도 보다 배액의 농도가 낮았다. 그러나 P를 제외한 모든 이온이 EC $2.0dS{\cdot}m^{-1}$ 농도 보다 농도로 급액한 것은 배지내 농도가 매우 높아졌다. 배액에 특히 높아지는 이온은 S와 Mg 였다. 평균 과중은 3화방까지는 EC $1.0dS{\cdot}m^{-1}$, $1.5dS{\cdot}m^{-1}$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급액의 EC가 높을수록 과중이 작았다. 6화방까지 수확 과수와 수량이 $1.5dS{\cdot}m^{-1}$가 가장 많았으나 재배기간이 경과할수록 고농도 급액구의 수량이 감소하였다. 배꼽썩음과는 생육초기에는 주로 EC $3.0dS{\cdot}m^{-1}$ 처리에서만 발생하였으나 일사량이 증가하면서 모든 처리에서 발생하였다. 발생율은 EC $3.0dS{\cdot}m^{-1}$ 처리구가 높고, 더 낮은 농도 처리에서는 발생율의 차이가 없었다.

배액전극제어법을 이용한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일회급액량 구명 (Appropriate Each Irrigation Quantity in Irrigation System Controlled by Drainage Level Sensor for Perlite Bag Culture of Tomato)

  • 김성은;심상연;이상돈;김영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1호
    • /
    • pp.36-42
    • /
    • 2011
  •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 급액방법으로 배액전극제어법 적용시 일회급액량이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생육단계별 적정 일회급액량을 구명함으로써 적정 급액관리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처리로는 일회급액량을 적게 주는 처리(S-S)와 많이 주는 처리(L-L), 1화방수확기를 기점으로 적게 주다가 두 배로 급액량을 늘이는 처리(S-L)와 많이 주다가 반으로 줄이는 처리(L-S)를 두었다. 작물의 전 생육기간동안 일회급액량이 많거나 적은 처리에서는 배액율이 낮고 불안정해지며 생육이 좋지 않았다. 생육단계에 맞게 정식 후 1단 수확기 이전까지는 일회급액량을 약 145mL로 많이 주다가 이후에 70mL까지 줄여주는 L-S처리에서 뿌리분포가 좋고, 수확량이 가장 많았고, 배액율도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토마토 재배시 일회급액량을 생육단계에 따라 달리 해 주어 급액패턴을 다량소회에서 소량다회로 변화시켜 주는 것이 토마토의 생육과 수확량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L-S처리로 일회급액량에 변화를 주었을 때, 토마토의 생장양상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바뀌는 것을 식물생육지표 조사에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