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 model

검색결과 7,169건 처리시간 0.037초

공학 분야 역할모델의 현황과 전문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Current States and Effects of Role Model on the Expertise Development in Engineers)

  • 박수원;조은별;이병윤;신종호;이신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3-1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s of role model and effects on the expertise development in engineers (i.e., undergraduate student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engineering).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ole model was categorized into two domain, general role model and value sharing role model. A total of 257 participants (162 undergraduate students, 95 experts) answered survey questions about their role model (the number of their role model,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them, and the number of sharing value with them), major confidence, knowledge acquisition, and research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engineers had 1 or 2 general role models and that the contents of role model we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value-sharing role model significantly predicted major confidence and research performance in undergraduate students whereas the number of general role model was closely associated with major satisfaction in exper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for engineering major students to have general role model and value-sharing role model in order to enhance expertise development. Establishing infrastructure for having and meeting with role models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ersonal expertise in engineers.

권한상속제한 역할계층을 이용한 역할기반 위임 모델 (A Role-Based Delegation Model Using Role Hierarchy with Restricted Permission Inheritance)

  • 박종순;이영록;이형효;노봉남;조상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29-138
    • /
    • 2003
  • 역할기반 접근통제모델은 기업의 다양한 조직체계를 반영할 수 있는 보안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역할기반 접근통제는 역할계층에 따라 하위역할에 배정된 모든 권한이 상위역할로 무조건 상속되는 특성으로 인해 상위역할에 배정된 사용자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권한 남용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업환경에서는 실제로 하위역찬에 배정된 모든 권한이 상위역할까지 상속될 필요가 없는 제한적 업무가 많으므로 기업환경에 적합한 역할기반 접근통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역할을 업무특성과 권한상속 정도에 따라 여러 개의 부역할로 나누어 보안관리자가 권한상속을 쉽게 통제할 수 있도록 권한상속제한기능을 제공하는 역할계층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간 위임과 역할간 위임이 이루어지는 역할기반 위임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모델과 기존의 모델을 비교 평가하여 타당성을 보인다.

역할-거동 모델링에 기반한 화학공정 이상 진단을 위한 이상-인과 그래프 모델의 합성 (Synthesis of the Fault-Causality Graph Model for Fault Diagnosis in Chemical Processes Based On Role-Behavior Modeling)

  • 이동언;어수영;윤인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450-457
    • /
    • 2004
  • In this research, the automatic synthesis of knowledge models is proposed. which are the basis of the methods using qualitative models adapted widely in fault diagnosis and hazard evaluation of chemical processes. To provide an easy and fast way to construct accurate causal model of the target process, the Role-Behavior modeling method is developed to represent the knowledge of modularized process units. In this modeling method, Fault-Behavior model and Structure-Role model present the relationship of the internal behaviors and faults in the process uni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ss units respectively. Through the multiple modeling techniques, the knowledge is separated into what is independent of process and dependent on process to provide the extensibility and portability in model building, and possibility in the automatic synthesis. By taking advantage of the Role-Behavior Model, an algorithm is proposed to synthesize the plant-wide causal model, Fault-Causality Graph (FCG) from specific Fault-Behavior models of the each unit process, which are derived from generic Fault-Behavior models and Structure-Role model.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ing method and algorithm, a system for building FCG model is developed on G2, an expert system development tool. Case study such as CSTR with recycle using the developed system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and algorithm were remarkably effective in synthesizing the causal knowledge models for diagnosis of chemical processes.

격자기반 역할그래프 보안 관리 모델 (Role Graph Security Management Model based on Lattice)

  • 최은복;박주기;김재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09-121
    • /
    • 2006
  • 컴퓨터 시스템이 다양화된 분산시스템 환경으로 발전하면서 시스템에 존재하는 정보를 부적절한 사용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접근통제 정책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강제적 접근통제모델의 등급과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의 제약조건과 역할계층을 체계적으로 변경함으로서 격자기반 역할그래프 보안 관리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에서는 기존의 역할그래프 모델의 역할계층에서 상위역할의 권한남용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권한간의 충돌발생시 제약조건을 통해 주체의 등급을 재조정함으로서 정보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역할계층에 의한 권한상속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보안레벨에 의해서 통제되도록 함으로서 강화된 보안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모델을 운영하기 위해 역할그래프 보안 관리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가용 시간을 이용한 역할 기반 위임 모델 (Role-Based Delegation Model Using Available Time)

  • 김경자;장태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1호
    • /
    • pp.65-72
    • /
    • 2007
  • 기존의 RBAC(Role Based Access Control) 모델들은 사용자간의 역할 위임이나 역할 분리를 운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에 RBAC을 바탕으로 역할이나 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위임하는 모델인 RBDM(Roie Based Delegation Model)이 연구되고 있다. 반면에, 역할을 위임 받은자의 악의적인 남용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역할의 위임으로 인하여 위임 받은자의 악의적인 도용을 막기 위한 모델로서 위임 역할에 대한 폐지 절차를 시간상으로 제한을 두고, 위임하는 역할에 대하여 원사용자의 권한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위임으로 인한 역할간 계층구조의 보안상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즉, 역할을 위임하고자 할때에는 위임에 대한 유효 기간을 같이 부여하는 기법으로 위임된 역할의 사용 권한을 시간상으로 폐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임된 역할에 대해서는 원사용자의 역할에 대한 권한을 계속 보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임으로 인하여 역할에 대한 사용이 정당하지 않은 경우에는 언제든지 회수가 가능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제안 기법인 T-RBDM (Time-out based RBDM)은 기존의 위임 모델인 RBDM0, RBDM1, PBDM과 비교 분석함으로 기존의 위임 모델에 비해 보안 측면에서 더 강인함을 보인다.

Extended Role-Based Access Control with Context-Based Role Filtering

  • Liu, Gang;Zhang, Runnan;Wan, Bo;Ji, Shaomin;Tian, Yu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3호
    • /
    • pp.1263-1279
    • /
    • 2020
  • Activating appropriate roles for a session in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RBAC) model has become challenging because of the so-called role explosion. In this paper, factors and issues related to user-driven role management are analysed, and a session role activation (SRA) problem based on reasonable assumptions is proposed to describe the problem of such role management. To solve the SRA problem, we propose an extended RBAC model with context-based role filtering. When a session is created, context conditions are used to filter roles that do not need to be activated for the session.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candidate roles that need to be reviewed by the user, and aids the user in rapidly activating the appropriate role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ended RBAC model is effective in filtering the roles that are unnecessary for a session by using predefined context conditions. The extended RBAC model is also implemented in the Apache Shiro framework, and the modifications to Shiro are described in detail.

권한상속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계층 모델 (A Model of Role Hierarchies providing Restricted Permission Inheritance)

  • 이용훈;김용민;이형효;진승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7-45
    • /
    • 2003
  • 역할기반 접근통제 모델(RBAC)은 역할 계층구조에서 권한의 상속과 임무분리와 같은 제약조건을 다룸으로써 접근권한의 관리를 수월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RBAC 연구에서는 현실세계의 기업 환경에서 일어나는 역할계층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없다. 역할 계층에서, 하위의 접근 권한이 모두 상위 역할로 상속된다는 것은 최소권한(least privilege) 원칙이 위배로 인한 권한 남용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환경에서 조직체계를 유지하면서 역할을 여러 개의 부역한(sub role)로 세분화하여 전체 상속, 부분 상속, 상속되지 않는 역할로 나누어 부역할 간 계층관계를 새롭게 정의함으로써 무조건적인 권한의 상속을 제한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특히, 권한 상속제한에 있어서는 역할 계층 내에서 상속되는 상위역할을 명시함으로써 불필요한 권한 상속으로 인한 권한남용을 방지한다.

장기지향성과 자산특유성이 공급사슬관리 추진방식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박정수;김수욱;장덕신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6-361
    • /
    • 2006
  • We establish two models -'intermediate' role model and 'infra-structural' role model - to confirm what role the concepts of 'long-term orientation' and 'asset specificity' execute in the context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ffect on SCM performances. We confirm the model's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empirical investigation about 167 manufacturing companies in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we find that real data fits to 'infra-structural' role model with added paths of concepts and variables rather to 'intermediate' role model. We prove these results with empirical method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AMOS program.

  • PDF

여대생의 일가정 다중역할계획의도 예측모형 연구: 사회인지진로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의 통합 (Predictive Model of the Intent of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gration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지은;박미석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539-560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as a new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university years as a key time frame during which students establish their career paths. This study integrates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o design and evaluate a model that explains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process; in addition, it develops an optimal model to predict the intention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This study has conducted a structural survey with 500 female university students. After inspecting the data, the responses of 435 participant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SEM) with SPSS 21.0 and AMOS 21.0. Th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suitability of predictive model presents a satisfying fit. The major factors in this study's model (parental support, subjective norms,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re verified as direct and indirect predictors of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intent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strongest predictive factor for the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intent is the social environment factor (subjective norms), indicating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pressure on intent is relatively large. The predictive model formulated under this study's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supplements existing research that focused on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s well as provides a more profound theoretical foundation on which work-family multiple-role planning behaviors can be better understood.

역할 모델(Role model)을 이용한 업무 개선 -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라 - (The Performance Improvement by Using a Role Model)

  • 정우영;류재광;김경식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199-207
    • /
    • 2008
  • 목적 : 역할 모델링의 목적은 효율적(빠르고, 쉽고, 정확 하게)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의 달인(達人)을 찾아 이를 모델로 하여 실무자들이 효과적으로 각자 맡은바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실무자들 간의 업무 능력의 편차를 발견하고 역할 모델을 제시하여 실무에 최적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정착하기 위한 노력이며 이는 업무 기술 기준의 표준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재료 및 방법 :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는 6~7개의 역할 모델링 항목을 개발하였고, 실무에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 중에서 첫째, Bone scan 검사 시에 발목 고정의 중요성 인식 및 고정의 효율 향상과 둘째, Bone scan 검사에서 시작 지점과 종료 지점의 표준화를 통한 업무 개선 사례를 보고한다. 결과 : 두 가지의 사례 모두에서 개선 전에 비하여 개선 후에 업무 효율을 향상할 수 있었다. 결론 : 역할 모델링(Role modeling)의 실무 활용은 궁극적으로 성공적인 업무 수행자 또는 우수한 집단들의 행동 및 업무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탁월한 역할 모델을 발굴하고 이를 업무 기술 기준 표준화에 적극 활용하여 직원들 간의 업무능력의 편차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담당 업무를 효과적으로 잘 처리하는 직원을 모델로 하여, 업무를 열심히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가 부족한 직원의 성과 향상을 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라 하겠다. 핵의학팀은 역할 모델링 항목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실무에 활용하여 업무를 개선해 나아갈 계획이며 업무 개선 활동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