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sted soybea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청국장을 첨가한 카스테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with Chungkukjang)

  • 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4-249
    • /
    • 2006
  • 밀가루의 10%, 20%, 30%를 청국장으로 대체한 카스테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텍스처 특성,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청국장 첨가는 카스테라의 비용적과 팽화율을 감소시켰는데 청국장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비용적과 팽화율은 더 낮아져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의 비용적과 팽화율이 가장 낮았다. 또한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밀가루만 사용한 대조군 카스테라에 비해 수분함량은 낮아지고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는데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가장 낮은 수분함량과 가장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카스테라의 내부 색도는 청국장 첨가시 명도가 낮아졌으며 청국장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더욱 낮아졌다. 카스테라의 견고성은 20%,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가 다른 카스테라에 비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의 표면 및 내부의 색은 대조군 카스테라에 비해 진했다. 20%,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다른 카스테라에 비해 단 향미는 약하고 고소한 향미는 강했으며 더 무겁고 덜 부드럽게 느껴졌다. 카스테라의 전반적인 수용도는 청국장 첨가에 의해 감소되지 않아 전반적인 수용도를 고려할 때 밀가루의 30%를 청국장으로 대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전처리 건조 방법에 따른 간편가정식용 신선초죽의 항산화 효과와 품질 특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Various Drying Methods)

  • 김혜영;최수진;라하나;이종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1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far-infrared radiation or freeze-drying methods.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P) showed significantly lighter, weaker green, and stronger yellow color values than powder subjected to freezedrying (FAP) (p<0.001). F-IAP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an that of the FAP.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AP was 50.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P, at 43.51% (p<0.05). Color values of gru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powder (p<0.05). Gruels containing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G)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well a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uels containing freeze-dried Angelica keiskei powder (FAG). Gruels containing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showed 2.0 to 2.5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containing powder alon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black soybean or sweet pumpki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IAG containing more than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had higher sweetness and roasted grain flavor, as well as lower bitterness and astringency compared to FAG.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5.0 representing possibilities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gruels as a home meal replacement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owder.

시판 율무차의 소비자 기호 유도 인자 (Sensory Drivers of Liking for Adlay (Coix lacryma-jobi) Tea)

  • 곽미진;정서진;김양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12-52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dlay tea favorably consumed by Korean consumers and analyzed the drivers behind for liking or disliking adlay tea. Six adlay tea products showing the highest market share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Sensory properties of the six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generic descriptive analysis. Among these, four products were further selected for consumer taste acceptance test. Sensory lexicons of adlay tea were developed by trained panelists,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each adlay tea product were measured based on the perceived intensities of these attributes elicited from the samples. In the consumer taste acceptance test, frequent tea and coffee drinkers participated. Consumers rated the acceptance of each tea product on a 9-point hedonic scale and evaluated the reasons for liking or disliking each product based on the check-all-that-apply method. Analysis of Varianc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spondence analysi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is. Twenty sensory attributes were developed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six adlay tea products.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attributes such as viscosity, black soybean flavor, goso flavor, peanut flavor, seaweed flavor, green, and presence of chunks were key factors differentiating the adlay tea products. In the consumer taste test, roasted flavor, goso flavor, peanut flavor, and presence of chunks were positive drivers for liking the adlay tea products, whereas seaweed and green flavors were negative attributes that drove consumers away.

방사선 조사한 대두에서 검출되는 Hydrocarbon류 (Hydrocarbons Detected in Irradiated Soybeans)

  • 황금택;박준영;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7-522
    • /
    • 1998
  • 대두에서 hydrocarbon류를 검출하여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검지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황색 및 녹색 대두를 0.5, 1, 3, 및 6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hexane으로 지방을 추출하고 Florisil column으로 분리한 hydrocarbon류를 G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ydrocarbon 17:2, 16:3, 17:1, 16:2 등은 비조사 대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0.5 kGy 이상 조사한 시료에서는 검출되었으며, 또한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검출량도 증가하였다. 비조사 대두를 볶거나 삶을 경우에도 이러한 hydrocarbon류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1 kGy 이상 조사한 대두에서는 검출되었다. Hydrocarbon류 검출에 의한 1 kGy 이상 조사한 대두의 방사선 조사 여부 판별 가능성은 blind test에 의하여도 확인되었다.

  • PDF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가열조리에 의한 지방산조성의 변화 (Effects of Cooking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with CLA Fortified Diet)

  • 박은정;김종태;최영준;최병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710-1714
    • /
    • 2010
  • CLA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하고 성장한 고등어에 함유된 EPA, DHA 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지방산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요리하였을 때의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가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양식 고등어의 적절한 조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리 후 포화산 및 모노엔산은 생육의 Control 27.5%, CA25 28.8%와 차이가 없었다. 폴리엔산 역시 RO-8GM, RO-8CM이 31.2%, 30.7%, BO-8GM, BO-8CM은 27.1%, 31.5%, CA-8GM, CA-8CM은 25.4%, 28.4%를 나타내어 생육의 Control 29.4%, CA25의 31.9%와 비교하였을 때 된장조림 및 통조림의 경우 CLA 무첨가구에서 함량이 감소하였지만, CLA 첨가구에서는 통조림구에서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리된 고등어 중 n-6/n-3의 비는 구이의 경우 Control 및 CA25구 각각에서 0.29, 0.24, 된장조림의 경우 각각 0.28, 0.27 그리고 통조림의 경우 각각 0.28, 0.31로 나타났다.

일부 학령기 아동의 구리 섭취량 및 구리 영양 상태에 관한 연구: 충남 벽지농촌과 도시간의 비교 (Dietary Copper Intakes and Nutritional Status of Copper in Serum among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Comparison between Remote Rural and Urban Areas)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4호
    • /
    • pp.381-391
    • /
    • 2006
  • This study is performed to compare the dietary intakes and food sources of copper (Cu) using the database of Cu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in remote rural areas (RA, n=58, $9.9{\pm}1.7$ yrs) and those in urban area (UA, n=60, $9.4{\pm}1.8$ yr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u concentration and serum antioxidant status in the R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Dietary intakes of calorie, calcium and iron in the RA were in the 3/5-4/5 of the Korean RDA while the UA were similar to or more than the Korean RDA, 7th ed. except iron. 2) More than 273 kinds of food consumed by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e content of Cu and database of Cu content were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 dietary intake of Cu per day in the RA was $0.99{\pm}0.07mg/d$ ($170.0{\pm}13.2%$ of the USA RDA) while it was $1.22{\pm}0.07mg/d$ ($203.4{\pm}13.1%$ of the RDA) in the UA. The percentage of dietary intakes of Cu less than 213 of the RDA was 8.6% in the RA in comparison to 0% in the UA. 3) The RA and the UA consumed more than 80% of total dietary intakes of Cu from plant foods. Thus, the RA and the UA consumed Cu from cooked rice, vegetables and fruits as a major source. However the RA had less Cu from meat and their products than did the UA (p<0.05) .4) Crab stew including crab and juice was the highest food source of Cu for the total subjects, followed by seasoned bud of aralia, cooked; beef rib meat, roasted; soybean paste soup w/mallow; and soybean paste soup w/mallow & beef. Major food source of Cu was similar for the RA and the UA such as cooked rice, vegetables and fruits. 5) Mean concentration of serum Cu in the RA was $18.1{\pm}0.7{\mu}M/L$ that was in the normal value, and all subjects in this group were in more than normal value. In the RA serum Cu concentration related positively with serum ceruloplasmin concentration, serum vitamin C concentration and EC SOD activity, respectively. However, serum Cu concentration did not relate with serum TBARS concentration in the RA.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RA had good status of Cu nutrition based upon dietary intake and serum concentration, however some of the RA had lower intake of Cu than the RDA. The overall children in the UA had good Cu nutrition. Therefore, the subgroup of the RA should be supported to improve their Cu nutrition, and this support could give them better antioxidant status based upon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u concentration and serum antioxidant status in the RA.

참깨 품질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Quality Improvement in Sesame)

  • 이봉호;이정일;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s01호
    • /
    • pp.86-97
    • /
    • 1988
  • Sesame(Sesamum indicum L.) is probably the most ancient oilseed crop known in the world. The seed of sesame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food. The whole seed may be eaten raw, either roasted or parched, or fed to birds and stock. Sesame oil is used as a salad or cooking oil, in shortening, margarine and in the manufacture of soap. Minor uses are as a fixative in the perfume industry and formerly as a carrier for fatsoluble substances in pharmaceuticals such as penicillin. One of the minor constituents of sesame oil, sesamin, is used for its synergistic effect in pyrethrin insecticides, in addition of a small quantity of this substance markedly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fly sprays. The meal remaining after oil extraction can be used as and animal feed-stuff or as manure. In general sesame meal is considered to be equal to cottonseed or soybean meal as a protein supplement for livestock and poultry. It is especially high in certain amino-acids such as methionine, which is low in soybean meal, and thus can be combined with it or similar meal to form a more balanced ration. An attempt to summarize the literature review on quality improvement of sesame was made to discuss the accomplishments of the past and perspectives in the future. The reviews on quality improvement of sesame were mainly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practices and genetic informations in current status. The emphasis focussed on environmental variation of quality in cultural practices, such as harvest time, variety by location, climatic condition, fertilizer application, and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the genetic variation of quality, it was discussed on variety background, mutation breeding, correlations, and inheritance of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It also was discussed on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and plant traits, storage condition or period, and seed coat color. Moreover, current research status were reviewed on some minor elements such as sesamin, oxalic acid, and trypsin inhibitor. As a results of the review, the lack of an effort to quality improvement in each utilization area was indicated as a problem area. More active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were also insufficient to incorporate the available genes for quality in breeding method 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breeding materials. Therefore, researches in the future would be recommended to emphasize on these problem areas.

  • PDF

돼지지방, 올리브유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 (Quality and Sensory Score of Ground Pork Meats on the Addition of Pork Fat, Olive Oil and Soybean Oil)

  • 윤동화;박경숙;이경수;박현숙;문윤희;양종범;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64-969
    • /
    • 2007
  • 본 연구는 돼지지방, 올리브유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돼지지방을 첨가한 분쇄돈육(GP-P), 올리브유를 첨가한 분쇄돈육(GP-O) 및 대두유를 첨가한 분쇄돈육(GP-S) 등 세 종류의 분쇄육을 제조하고 일반성분, 표면색깔, 지방산 조성, 보수력, pH, VBN 함량, TBARS값 및 순위법에 의한 기호성을 측정하였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GP-P, GP-O 및 GP-S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L^{*}$(명도), $a^{*}$(적색도) 및 $b^{*}$(황색도)값은 GP-P가 GP-O 및 GP-S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가장 많이 함유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로서 GP-P(24.384%)가 GP-O(15.611%) 및 GP-S(14.42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GP-P(43.773%)및 GP-O(65.040%)는 ole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GP-S는 linoleic acid(40.762%)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보수력은 GP-P가 GP-O 및 GP-S보다 높았으며, pH는 GP-S가 GP-P및 GP-O보다 높았고, VBN 함량 및 TBARS값은 GP-P가 GP-O및 GP-S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가열하지 않은 분쇄돈육의 색깔은 GP-O 및 GP-S가 GP-P보다 우수하였으나(p<0.05), 향기는 시료들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가열 분쇄육의 경우, 향기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GP-S가 가장 우수하였고(p<0.05), 다즙성은 GP-O 및 GP-S가 GP-P보다 우수하였다(p<0.05).

서울지역 남녀 대학생의 한식 선호도 조사 (II) - 부식을 중심으로 -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ed on Side Dishes -)

  • 홍희옥;김정윤;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7호
    • /
    • pp.707-713
    • /
    • 2006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음식 중 부식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학생 21.8세, 여학생 20.2세였고, BMI는 남학생 $22.6kg/m^2$ 여학생 $19.8kg/m^2$으로 남녀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2. 조사대상자의 가족구성 형태, 가족 수 및 어머니의 학력과 직업은 남녀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주거형태 및 아버지의 직업과 교육수준은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3. 국류의 선호도틀 보면 남학생은 설렁탕과 쇠고기국을 여학생은 된장국을 가장 좋아하였으며, 북어국, 설렁탕, 김치국, 쇠고기국의 선호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4. 찌개류의 경우 남녀모두 김치찌개와 순두부찌개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청국장과 동태찌개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p<0.05). 5. 조림류의 선호도는 남녀모두 장조림을 가장 좋아하였고 콩조림과 고추조림을 가장 싫어하였으며, 콩조림과 고추 조림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p < 0.05). 6. 볶음류의 선호도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 제육볶음을 여학생의 경우 김치볶음을 가장 좋아하였으며, 멸치볶음은 남녀 모두 싫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제육볶음의 선호도는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7. 구이류의 경우 남녀모두 갈비구이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더덕구이의 선호도는 가장 낮았다. 장어구이와 더덕구이는 남녀 간의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좋아하였다 (p<0.05). 8. 무침류의 경우 남녀 모두 가장 좋아하는 것은 오이무침으로, 가장 싫어하는 것은 미나리무침으로 조사되었으며 도라지무침과 미나리무침은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p<0.05). 9. 김치류는 남녀모두 배추김치, 총각김치, 깍두기, 열무김치의 선호도가 7점 이상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갓김치와 백김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p<0.05). 이상의 결과 남녀 간에 좋아하는 음식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특히 국이나 찌개류 및 구이류의 경우 생선을 이용한 음식보다는 육류를 이용한 음식의 선호도가 남녀 모두 높았으며 콩을 사용한 음식은 남녀 모두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주 이용하는 음식의 경우에는 선호도가 놓았으나 이용도가 낮은 음식 즉, 갓김치나 백김치와 같은 음식은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건강증진 식품의 하나인 장어구이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인 음식선호도에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체급식를 위한 식단 작성 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 프로그램 작성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식생활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해조류의 가공 및 이용에 관한 연구 -미역쨈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Jam-)

  • 차용준;이응호;박두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2-49
    • /
    • 1988
  • 미역의 가공적성을 높일려는 목적으로 미역 다당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알긴산의 물성을 이용한 미역쨈을 제조한 결과, 미역중량에 대해 $0.5\%\;K_2HPO_4$ 용액 4배량을 첨가할 경우 시중 딸기쨈과 유사한 점도를 가졌으며 유동특성은 항복력을 가지면서 의가소성형인 혼합형으로 간주되었다. 그리고 생미역으로 만든 쨈이 마른미역의 경우보다 점도가 좋았으며 미역 고유의 색조를 유지하는데도 양호하였다. 또 관능검사결과 부원료로서 사카린 $0.375\%$, 솔비톨 $2.0\%$, 구연산 $0.25\%$, 구운콩가루 $0.5\%$를 첨가하는 것이 양호하였다. 지방산조성에서는 고도불포화지방산인 $C_{18:3},\;C_{20:4},\;C_{20:5},\;C_{22:6}$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으며 정미성분에 관여하는 유리아미노산 중 lysine, alanine, glutamic acid의 함량과 유기산중에서 구연산, 옥살산, $\alpha-ketoglutaric\;acid$, 젖산, 숙신산의 함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