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bank filtr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2초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for Indirect Intakes

  • Choi, Ji-Yong;Hwang, Dae-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31-237
    • /
    • 2010
  • With increased chem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ctivities in upstream areas, the amounts of pollutants released have increased, and as such, so has the need for posi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source areas. Although more than 90% of the water supply sources in Korea depend on direct intake from surface water, the interest in indirect intake, such as riverbank filtration water, has recently risen, with some local governments currently undertaking indirect intake. Even in cases of indirect intake, water supply source protection zones need to be assigned for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pollutants. To establish 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for indirect intake, the scope of the protection zones needed to reflect the hydrological features of the water-bearing deposits of each site.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were estimated and presented as the 1st (within a 100 m radius from an intake well) and 2nd (within a 2 km radius from an intake well) zones. The 1st zone was more sensitive; hence,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should be prohibited, and the area should be regarded as off-limits. For the 2nd zone, appropriate management should prohibit and restrict activities already present in the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변 퇴적층과 지하수의 철.망간 분포 특성

  • 이효민;함세영;정재열;이정환;김형수;류상훈;김태원;김문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6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24-327
    • /
    • 2006
  • The high Fe and Mn contents in riverbank filtered groundwater often provoke problems on the water quality, We analyzed the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oil samples taken from the different depths of the fluvial deposits at various locations in the riverbank filtration area, Daesan-Myeon. The groundwater chemistry data were also collected from the equivalent depths with the soil samples at the boreholes in July and December,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nrichment characteristics of Fe and Mn in the groundwater and the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fluvial deposits were carefully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 and Mn contents in the groundwater vary with seasonally and show different enrichment behaviors.

  • PDF

강변여과에서의 은나노입자의 영향 : 실험실규모 컬럼 실험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on the performance of riverbank filtration: Column study)

  • 이동현;노진형;김현철;최재원;최일환;맹승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7-88
    • /
    • 2015
  • Soil column experiments were evaluated effects of silver nanoparticles (i.e., 0, 2.5, 5, and 10 mg/L) on the microbial viability which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PhACs) and biological oxida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during river bank filtration. The addition of silver nanoparticles resulted in almost no change in the aqueous matrix. However, the intact cell concentration decreased with addition of silver nanoparticles from 2.5 to 10 mg/L, which accounted for 76% to 82% reduction compared to that of control (silver nanoparticles free surface water). The decrease in adenosine triphosphate was more pronounced; thus, the number and active cells in aqueous phase were concurrently decreased with added silver nanoparticles. Based on the fl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and liquid chromatograph - organic carbon detection analyses, it shows that the removal of protein-like substanc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humic-like substances, and polysaccharide was substantially reduced. But the extent of those substances removed during soil passage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The attenuation of ionic PhACs ranged from 55% to 80%,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The attenuation of neutral PhACs ranged between 72% and 77%, which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bserved for the ionic PhACs. The microbial viability was affected by silver nanoparticles, which also resulted in inhibition of nitrifiers.

창원시 북면 낙동강 주변 하성퇴적층의 지하수유동 모델링 연구 (A Study on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the Fluvial Aquifer Adjacent to the Nakdong River, Book-Myeon Area, Changwon City)

  • 함세영;정재열;김형수;한정상;류수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499-508
    • /
    • 2004
  • 창원시는 전국에서 최초로 2001년에 북면과 대산면에 강변여과수 취수장을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원시 북면 낙동강 본류 하안의 강변여과수 취수장 주변에 대해서 수리지질 특성을 평가하고 낙동강과 강변대수층간의 지하수유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강변여과수 취수에 따른 낙동강물과 지하수 유입량을 평가하였다. 지하수모델링에서는 시추자료, 입도분석자료, 양수시험분석자료, 지하수위 측정자료, 낙동강 수위 측정자료,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정상류 모델링으로 강변여과수 취수 이전의 자연상태의 지하수위를 잘 모사할 수 있었다. 부정류 상태 모델링에서는 7개 취수정의 최대 양수량인 총 14,000$m^3$/day로 취수시의 지하수위 하강을 모사하였으며, 이때 낙동강으로부터의 유입량, 배후지쪽의 지하수 유입량 그리고 강변대수층의 동측과 서측으로부터 유입량은 전체 유입량의 각각 8,390$m^3$/day(60%), 590$m^3$/day(4%), 5,020$m^3$/day(36%)이다. 입자 추적 모사 결과, 낙동강쪽으로부터 취수정 쪽으로의 유입속도는 약 1.85m/day이고, 배후지로부터 취수정 쪽으로의 유입속도는 약 0.75m/day이다. 본 연구는 지표수/지하수 연계관리 모델링에 공헌하며, 강변여과수 취수량, 수질, 자연적인 함양량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산소수 주입-양수 기법을 통한 강변여과수 내 철/망간 저감 평가 (In Situ Iron-manganese Removal by an Oxygenated Water Injection-and-extraction Technique in a Riverbank Filtration System)

  • 이명재;차장환;장호준;안현석;한찬;김용성
    • 지질공학
    • /
    • 제25권3호
    • /
    • pp.339-347
    • /
    • 2015
  • 최근 수자원확보 방안으로 강변여과수를 활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취수원의 철/망간 함량이 높아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에 경기도 평택시와 안성시에 위치한 안성천 강변여과수 개발 Test Bed에서 주입 산소수의 산소농도와 주입량을 변화시키면서 철/망간 지중제거의 효과 및 효율을 평가하였다. 철/망간의 제거시험은 3단계로 이루어지며 주입단계, 정지단계, 양수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결과 Fe2+ 농도는 양수기간 동안 0.3 mg/L 이하를 유지하였으며 망간은 0.8 mg/L 이하로 농도가 저감되었다. 또한, 주입-양수시험을 반복할수록 철의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0.3 mg/L 이하)을 만족하는 양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산소수 주입량의 최대 5배 이상 양수가 가능하였다. 망간의 경우 철과 동일한 기준까지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양수에 따라 농도가 저감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강변여과 취수정의 간섭효과와 하천수 비율에 대한 해석적 평가 (Analytical Evaluation of Interference and Ratio of River Water at Riverbank Filtration Pumping Wells)

  • 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8호
    • /
    • pp.685-691
    • /
    • 2014
  • 강변여과는 하천 인근에 다수의 관정을 설치하여 하천수의 수질 개선을 추구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다수의 관정이 인접해 있는 경우 관정간의 상호간섭 현상으로 인하여 취수량에 영향을 미친다. 강변 여과 관정의 경우에는 관정이 관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간섭효과의 요인에는 지하수위 강하량 외에도 유량변화에 따른 관망 수두손실이 포함된다. 간섭효과는 취수정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와 배후 지하수의 비율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여과시스템의 대수층과 관망흐름을 통합해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복수 관정의 간섭효과와 하천수 비율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에 가까운 가상의 강변여과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관정 가동 패턴에 따라 취수량은 5% 이상 차이가나고 배후지하수 유입비율도 30~40% 범위로 10% 이상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변여과 대수층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역해석 (Back Analysis for Parameter Estimation in Riverbank Filtration)

  • 박서화;이상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76-148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매개변수를 추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역해석을 이용하여 강변여과 지역의 투수량계수를 추정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 BFGS(Broyden-Fletcher-Goldfarb-Shanno)를, 정해석 프로그램으로 지하수위와 오염물 거동을 2차원적으로 모의할 수 있는 MOC(Method of Characteristics)을 이용하여 포트란으로 구성된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강변여과를 하고 있는 경남 창원시 대산면의 8개월간 관측 지하수위를 이용하여 그 지역의 투수량계수를 추정하였다.

  • PDF

Guelph 투수계를 이용한 김해시 딴섬 강변여과수 지역의 지표 수리전도도 분포 조사 (Field Measurement of Surface Hydraulic Conductivity Distribution Using Guelph Permeameter : A Case Study in the Riverbank Filtration Site of Kimhae (Ddanseom))

  • 정재훈;김형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2호
    • /
    • pp.36-43
    • /
    • 2008
  • Guelph 투수계를 이용한 현장 토양 불포화 수리전도도의 산정기법을 제시하고 이 기법을 활용하여 강변여과수 취수계획 지역인 김해시 낙동강 딴섬 일대의 지표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지표 포화 및 불포화 수리전도도의 값은 대규모 강변여과 개발에 대한 지하수 모델링 평가시 중요한 경계조건인 지표 함양량과 하천 경계조건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딴섬의 지표 수리전도도는 상류에 조립질 입자가, 하류에 상대적으로 세립질 입자가 퇴적되었음을 보여주었고, 이러한 현상은 강의 부유물이 퇴적되는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대적으로 딴섬의 남측지역(상류)이 북측 지역(하류)에 비해 강변여과 방식 취수에 유리한 조건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안수자원시설의 음용수 단위생산비용 산출 - 청정지하저수지 경제성에 대한 고찰 - (Unit Water Production Cost Development for Alternative Water Resource Projects - Centered on the Economics of Aquifer Storage and Recovery (ASR) -)

  • 최재호;심영규;박남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611-619
    • /
    • 2017
  • 본 연구는 대체수자원시설 - 해수담수화, 식수용저수지, 용수전용댐, 지하댐, 그리고 두 개의 간접취수 방법인 강변여과와 청정지하저수지 - 을 고려한 다양한 용수공급시스템별 음용수 단위생산단가를 산정하기 위한 종합적인 방법과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대체수자원시설 건설부터 도수관로를 거쳐 후처리시설을 통한 음용수 생산 지점까지의 모든 건설비용과 운영관리비를 반영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개별 총사업비와 운영관리비 추정모델을 개발하였다. 단위생산단가에 영향을 주는 후처리시설과 도수관리의 길이, 그리고 음용수 생산용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청정지하저수지가 가장 비용이 작은 대체수자원시설로 분석되었으며 개별 대체수자원시설과 다양한 용수공급시스템별 경제성 정보는 수자원시설 계획 및 예산 분배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한다.

배후지 지하수위를 고려한 인공신경망 기반의 수평정별 취수량 결정 기법 (Determination of the Groundwater Yield of horizontal wells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ncorporating riverside groundwater level data)

  • 김규범;오동환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583-592
    • /
    • 2018
  • 최근들어 방사형 집수정 방식의 대용량 강변여과수 개발에 따른 배후지의 지하수위 강하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의 방사형 집수정을 대상으로 Modflow를 활용하여 수평정의 취수량에 따른 배후지의 수위 강하를 예측하였으며,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후지 수위 강하가 최소가 되는 수평정별 취수량을 결정하는 다층퍼셉트론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 방향으로 굴착된 수평정 HW-6의 취수량을 높이는 것이 OW-7 및 OB-11 관측정의 지하수위를 높게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모델 입력 자료의 수 및 훈련과 검증 자료의 분류는 인공신경망 모델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향후 현장의 실제 운영 자료와 수치모델의 비교를 통하여 인공신경망 모델을 보완한다면 배후지의 지하수 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