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te of passag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안동포 생산에 따른 길쌈노동교환직 (A Study on the labor organization for the Andong-Po(hemp cloth))

  • 임형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80-101
    • /
    • 2001
  • This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 organization for labor exchange in producing hemp cloth at Geumso-ri, Imha-myoun, Andong city. The organization is called "Sam-dool-ge",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organization for labor exchange in producing rice because it is managed by women mostly. ln harvesting hemp, same amount of labor and expenses are invested. Especially, labor is supplied in equal condition. In spinning hemp cloth, the work is shared on the basis of same tech level. In threading the warp and fastening hemp cloth. the work conducted collaborately under the best engineer's direction. "Sam-dool-ge", a gil-sam labor exchange, also presents cultural creativity which produces and inherits the folkloric tradition, and also has the quality as a rite of passage. Nowadays, producing hem cloth is for pursuiting of profits than for making clothes as it used to be. This tradition will be lasted at least for a while because some young generations are beginning to participate in and old generation is teaching them good.

전남지역 출생 의례복식의 현지조사 고찰 (A Study on the Ritual Clothing in Birth around Chonnam Area)

  • 추은희;김용서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4
    • /
    • 2003
  • In Anthropology, ceremonies which human should pass in lives are difined as ‘Rites of Passage’. Each Rite has its own Clothing style, which is little different from general Clothing in shape, composition, color, meaning, etc. This Study shows composition and characters on Birth Ceremony Clothing through Documents and Survey around Chonnam Area. Survey Area is subdivided into 3 parts : Koksung(A Basin of Sumjin River-Eastern Area of Chonnam), Na-ju( A Basin of Yeongsan River-Western Area of Chonnam), and Kangjin(Southern Area of Chonnam).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s on Baenaet Jogori, 100th-day Clothing and First-birthday Clothing in Chonnam Area. In case of Baenaet Jogori, its shape in Survey is similiar to that of documents. In case of 100th-day Clothing, New Jogori and Baji have been made usually. First-Birthday(called “Dol”) Clothing show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 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Jokki, Magoja, Doltti while Fe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Chima, Jumoni, and Doltti. In making of infant Clothing, 5-colors(Blue. Red, Yellow, White, Black) which consists of basic color in the Theor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Shape of Letters such as 壽ㆍ福ㆍ亞ㆍ卍 are used usually. This kind of colors and Shape of letters symbolize longevity and fortune. As a result of study, I find what Ritual Clothing in Birth has many symbolic meaning which reflects life-style culture. This study lay meaning on that deals infant clothings as a kind of Ritual Clothing.

  • PDF

한국 전통음식 통합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과의례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Rites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 신승미;손정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4-354
    • /
    • 2008
  • The traditional ritual foods of Korea have developed with for many years, and differ by locality, family customs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n efforts to establish the database on that addresses the difficult issue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a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In the database, typical 10 rites are represented, covering birth to death, these are birth, the hundredth day after birth, the first birthday, the commemoration of finishing books(graduation), the coming of age ceremony, marriage, the birthday feast for an old man, the 60th wedding anniversary, the funeral,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each rite, the appropriate traditional Korean foods a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main dishes, side dishes, tteok lyou, hangwa lyou, eumchung lyou and the others. Some of these have varied considerab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some have since disappeared. This database provides a basis for generational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as one of the components traditional Korean culture.

간호사의 태움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Nurses Experiencing Taeoom)

  • 정선화;이인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8-24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research was to describe the contents what had happened to nurses experiencing taeoom.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phenomenological ways to understand lived experiences in nurses' 'Taeoom' and investigated the 'Taeoom' through the deductive content analysis. For the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nurses who worked over 12months in 1 hospital, lived in 5 areas, working 7 nursing unit of 10 hospitals. The interviews conducted by semi structured questions about participants' lived experiences in 'Taeoom'. Results: Inductive contents analysis identified 5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Main themes in this study included a failed membership, difficult of practical field adaptation, feared with nursing unit life, self-centered peer relationships and rite of passage.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have been illuminated with edged sword which has a dark side and a light side to experienced in 'Taeoom'. Newly employed nurses have suffering from 'Taeoom' as well as retained nurse. Therefore, policy and practice programs for a diminution of suffering and management for nurses 'Taeoo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안동지역 동성문중의 불천위제례 공간활용의 양상 (A Spatial Using Aspect of Bulcheonwi Rites in Each Family Clan Group of Andong Area)

  • 이상민;조재모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호
    • /
    • pp.53-62
    • /
    • 2018
  • Bulcheonwi is determined by various ways. The first is certified by the state. Kings granted posthumous names to figures such as meritorious retainers, figures whose mortuary tablets were put into Jongmyo Shrine, and venerated figures with erudition and virtue whose mortuary tablets were put into Munmyo (Korean primary Confucian shr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patial perception of Main head families (大宗家) and Sub head families (小宗家) have been divided for several centu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utual influ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pace by examining how methods for ritual ceremonies held in Main head famili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spaces of Sub head families or the process of ritual ceremonies changed with space. Bulcheonwi rites was performed by each family's own concepts of spaces such as Jeongchim or Cheongsa For actual ritual space, An-chae, Sarang-Chae and Byeoldang was utilized. This shows that one family's conception and utilization of each space was correspondent also different family s had their own idea of utilizing different spaces. In addition depends on the family in this study, there was differences on positon of Sa-dang upon the regions or time of construction. This can be concluded as familes had their own accommodations depends on building's space layout and traditons rather than following traditional Rites book's the rules of decorum.

임상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인식 유형 (Perceptions Types of Workplace Bullying among Clinical Nurses)

  • 이혜진;이주영;이도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89-302
    • /
    • 2021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유형을 확인과 유형별 특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 탐색적 연구이다. 총 111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38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으며, 36명의 임상간호사를 통하여 11점 척도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PC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임상간호사의 태움에 대한 인식 유형은 3개 요인의 6개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요인별 상위유형(감내형, 통과의례형, 위계질서형)과 하위유형(텃새형, 안정지향적 개인형, 대인관계 포기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업무 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직장문화개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무가 바리공주의 심리학적 상징성 :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Psychological Symbolism of the Shamanic Song of Princess Bari :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김영희
    • 심성연구
    • /
    • 제36권1호
    • /
    • pp.1-54
    • /
    • 2021
  • 바리공주는 부모인 왕과 왕비의 일곱 번째 딸로 태어나자마자 버림을 받지만, 병든 아버지를 살리기 위한 약을 얻기 위해 홀로 저승에 간다. 그리고 험난한 시련을 통하여 재생의 불사약을 가져와 죽은 부모를 살리고 신격을 획득함으로써 만신의 왕이 되는 무속신화이다. 무당의 조상인 바리공주의 삶에는 시련과 고통을 견디며 죽고, 새롭게 탄생해야 하는 무당의 필수적인 입무과정이 내포되어 있다. 바리공주가 신성을 획득하여 무조의 신이 되는 그 이야기속에서, 집단적 무의식의 원형, 원초적 상인 신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고통, 죽음, 재생의 과정을 거치고 만신의 왕이 된 바리공주는 영웅신화에서 볼 수 있는 개성화 과정의 일단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리공주는 부모의 병을 그냥 고치는 것이 아니라 죽음에서 살아나게 하였다. 죽은 부모를 살아나게 하는 생명의 약을 구할 수 있었던 것은 바리공주가 일상의 하찮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며 견딘 자기희생적인 부모에 대한 사랑과 자비이다. 바리공주는 자아의 입장보다 넓은 자기(Self)에 입각해서 세상을 바라보고 행동하였다. 저승에서의 고행 속에서 치료자의 조건을 갖춘 바리공주는 영혼의 인도자이며, 치유자원형인 것이다. 이렇게 바리공주의 고통을 넘어선 신성한 치유의 힘은 한국인의 심성 속에 내재한 자기원형, 즉 치유자의 어떤 신적인 상을 깨우쳐 주는 상징적 힘인 것이다.

종교적 상징이 복식으로 표출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고등종교의 의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chanism of Religious Symbol, Manifested in Costume -Focusing on the Rites of High Religion-)

  • 서봉하;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35-946
    • /
    • 2008
  • 종교는 인간을 궁극적인 삶의 조건과 관련시키는 일련의 상징적인 형식과 행위이다. 종교사상은 상징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또 상징을 통해 행위를 유발한다. 본 연구는 종교가 복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를 하였다. 세계 고등 종교 중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종교의 여러 구성요소가 의례로 표현되고, 복식으로 표출되는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식화하여 제시하는 것에 목표가 있다. 믿음체계, 경험, 공동체, 의례 등 종교의 구성요들은 긴밀한 상호 연관성을 갖는다. 특히 의례는 종교적 의미를 표현하는 상징적 행위이자 실천이며, 구원의 방편이다. 모방의례,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의례, 희생의례, 통과의례 등의 종교적 의례들은 제사와 같은 종교 예식은 물론, 종교음악이나 복식, 건축, 미술 등의 조형예술로 표현되어 왔다. 종교는 삶의 의미를 밝혀 주고, 불안이나 갈등과 같은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 신앙체제로서 복식을 포함한 문화 전반에 큰 영향력을 끼쳐 오고 있다.

몽자류 소설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연구 (The Study on Ways to Revitalize Cultural Content of Novels of Mongcha Group)

  • 강지혜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125-154
    • /
    • 2011
  • 오늘날의 디지털 문화는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실현되어 왔으며 지금도 변화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전의 디지털 문화가 인터넷 모바일 등의 테크놀로지를 통해 실현되었다면 현재는 이와 같은 다양한 매체들을 이용하여 새롭게 재탄생 시키는 콘텐츠화까지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적 측면과 문화가 접합되는 순간 문화콘텐츠라는 새로운 장르가 탄생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는 오늘날처럼 빠르게 진보하는 디지털 세계에서 고전이 사람들에게 다가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고전을 문화콘텐츠하기 위해서는 기본적 서사 구조가 중요하다. 고전에는 당대의 역사와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의식 및 인간이 살아가며 겪게 되는 통과의례적인 내용이 담겨있다. 이러한 점은 고전이 단순이 전 시대의 문화유산이 아닌 현대인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고는 우리의 고전인 <구운몽>, <옥루몽>과 같은 몽자류소설을 문화콘텐츠화할 가능성이 있는 대상으로 보고 이를 어떻게 문화콘텐츠화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문화콘텐츠화하기 위해서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먼저 몽자류소설의 구조 및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놉시스(synopsis)를 만들어 보았다. 또한 몽자류소설이 콘텐츠화 된 작품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각각의 작품들이 얼마나 활성화되었고 얼마만큼의 파급효과를 얻어냈는지를 알아보았다. 만약 각각의 작품들이 2, 3차의 파급효과를 거두지 못했다면 그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문학에 나타난 죽음과 삶을 통한 웰다잉(well-dying)과 웰에이징(well-aging) 연구 (A study of well-dying and well-aging through death and life appeared in Korean literature)

  • 권온;김문준;박아르마;임효남;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34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문학을 고찰한 문학 연구들을 활용하여 문학 작품에서 재현되는 삶과 죽음을 파악하고 웰에이징과 웰다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 및 대상은 문학 연구 10건에서 다루는 13세기부터 20세기 사이에 기록된 문학 작품이다. 조사 방법은 총론과 각론 구획, 문학 장르 구획, 시대 구획, 키워드 고찰 등이다. 조사 결과 대다수의 문학 연구는 작가론을 포함한 각론에 해당하였고 소설(서사) 갈래와 시(서정) 갈래에 집중되었으며 20세기 문학 작품들을 주로 다루었다. 또한 문학 작품에 내재하는 죽음, 삶 양상과 웰다잉, 웰에이징의 관련성을 전체 집합과 부분 집합의 개념으로서 파악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특정 시기 문학 작품들을 연구하였다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학에서 출발한 전망을 확보하는 희망으로서의 삶에서 웰에이징의 본질을 고찰하였고, 한국 문학에서 유래한 통과의례로서의 죽음과 의미 있는 죽음에서 웰다잉의 본질을 인식하였다. 21세기 대한민국 사회의 웰다잉, 웰에이징 구현과 융복합 연구 응용 등에 일정 부분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