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id joint connection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철근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대형판 접합부의 설계 및 해석 (Design and Analysis on The Connections of RC Precast Large Panel)

  • 박강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5-9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대형판의 접합부 설계방법 및 해석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접합부의 설계방법은 수평접합부와 수직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에 대한 안정성 및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설계법을 제시하였고, 접합부의 해석은 강체스프링 모델에 의한 탄소성해석을 수행 하였다.

  • PDF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Frames with Semi-Rigid Connections Using Reformed T-stubs)

  • 이명재;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통권47호
    • /
    • pp.339-35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량 T-stub를 이용한 1층 1스팬 골조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 중층규모의 건축물에 대하여 개량 T-stub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개량 T-stub 및 기존 T-stub를 이용한 반강접 골조의 반복가력실험을 하였으며 개량 T-stub의 플랜지 두께와 볼트중심거리를 변수로 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및 해석결과로부터 개량 T-stub의 거동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 반강접합부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Component method model for predicting the moment resistance, stiffness and rotation capacity of minor axis composite seat and web site plate joints

  • Kozlowski, Aleksander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0권3호
    • /
    • pp.469-486
    • /
    • 2016
  • Codes EN 1993 and EN 1994 require to take into account actual joint characteristics in the global analysis. In order to implement the semi-rigid connection effects in frame design, knowledge of joint rotation characteristics ($M-{\phi}$ relationship), or at least three basic joint properties, namely the moment resistance $M_R$, the rotational stiffness $S_j$ and rotation capacity, is required. To avoid expensive experimental tests many methods for predicting joint parameters were developed. The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analytical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for predicting the moment resistance $M_R$, initial stiffness $S_{j.ini}$ and rotation capacity of the minor axis, composite, semi-rigid joint. This model is based on so-called component method included in EN 1993 and EN 1994.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test results shows that a quite good agreement was achieved. A computer program POWZ containing proposed procedure were created. Based on the numerical simulation made with the use of this program and applying regression analysis, simplified equations for main joint properties were also developed.

유한회전과 접합부 특성을 고려한 공간프레임의 대변형 탄소성 해석 (Large Deformational Elasto-Plastic Analysis of Space Frames Considering Finite Rotations and Joint Connection Properties)

  • ;한상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597-60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특성이 고려된 공간프레임의 대변형 탄소성해석법에 관한 내용을 기술한다. 이 해석법은 유한변형을 고려한 대변형 탄성해석법에 기초한 것으로 부재의 재료적 탄소성, 접합부 반강접 특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절점의 유한변형은 오일러의 개념으로 부터 유도되었으며, 부재좌표계에서 계산된 부재변형은 보-기둥식에 대입하여 부재력을 계산하였다. 부재변형은 부재축변형과 휨에 의한 축변형효과를 함께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부재축력의 휨강성, 비틀림강성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여 항복함수를 계산하였다. 재료는 완전 탄소성으로 가정하였고, 항복은 부재 양단부에서 집중하여 발생하는 소성힌지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부재 접합부 반강접 특성은 지수모델이나 선형모델을 적용하였고, 접합부 특성이 고려된 탄소성 후좌굴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호장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내용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공간프레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목조 구조물 접합부의 강성에 대한 근사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Analysis Model for Approximate Evaluation of Stiffness for Semi-Rigid Connection of Wooden Structures)

  • 조소훈;이헌우;박문재;김태진;김종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93-100
    • /
    • 2015
  • 현대 목조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접합철물인 연결재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목조 구조물에서 다수의 연결재를 사용한 접합부는 반강접 접합부를 만든다. 목조 구조물에 접합부가 핀접합으로 설계될 경우에 접합부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과소 평가되고 이것은 접합부의 저항능력 부족을 초래한다. 목조 구조물의 접합부를 완전 강접합으로 고려할 경우에 접합에 필요한 접합철물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 할 수 있다. 이것은 미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시공성과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접합부의 합리적인 강성에 대한 추정은 목조 구조물의 합리적인 접합부의 설계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논문은 목조 구조물의 구조설계를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하여 2면 전단접합에 대하여 구조설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접합부의 근사적인 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해석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해석 모델링 기법은 휨 모멘트, 인장에 대한 실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접합부의 거동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겹치기 이음부의 설계변수 변화에 따른 고유진동수의 예측 (Prediction of Natural Frequency via Change in Design Variable on Connection Area of Lap Joint)

  • 윤성호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57-62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the prediction of eigenfrequencies due to changes in stiffness and mass in the connection area of the lap joint beam in terms of linear and torsional stiffness as well as connection length. The sensitivities of mass and stiffness in the finite element model were derived by using the first-order differential and algebraic equation and were thereafter applied to obtain new natural frequencies that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exact solutions. Newly predicted natural frequencies due to only a change in stiffness were in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those in lower modes for rigid joints, while further investigation was needed for flexible joints. On the other hand, only the change in mass resulted in a large discrepancy in the flexible joint case. It may be strongly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useful tool for estimating modal parameters by change in any design variable, such as the structural dimension, material property, or connection type for a large-scale structure, even though the proposed methodology is currently limited to a jointed beam.

SS400 강재를 사용한 개량 T-stub 반강접합부의 역학적 거동 (The Structural Behavior of Semi-Rigid Connections with Reformed T-stub by Using of SS400 Steel)

  • 이명재;양명숙;조원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통권39호
    • /
    • pp.241-241
    • /
    • 1999
  • 강구조 건축물의 해석과 설계는 기둥-보 접합부가 완전강접이나 핀접합이라는 가정하에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경우의 접합부형태들이 반강접합의 거동을 보이고 있다. 필자 등은 개량 T-stub로서 SM490강재를 이용하여 반강접합부의 거동을 조사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S400강재로 된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반강접합부의 구조적 거동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서 개량 T-stub요소의 인장, 압축실험과 해석 및 개량 T-stub를 이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단조가력 및 반복가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부터 개량 T-stub를 이용한 반강접합부의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rigid and semi-rigid steel-concrete composite joints under monotonic loading - Part II: Parametric study and comparison with the Eurocode 4 proposal

  • Amadio, C.;Fragiacomo, 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권5호
    • /
    • pp.371-382
    • /
    • 2003
  • This paper analyses the response of rigid and semi-rigid steel-concrete composite joints under monotonic loading. The influence of some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the presence of column web stiffening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nent materials, is investigated by using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ling based on the Abaqus code.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ponses of different types of composite joints are also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results obtained using the component approach proposed by Eurocode 4. The results obtained with this approach generally fit well with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values in terms of strength. Conversely, some significant limits arise when evaluating initial stiffness and non-linear behaviour of the composite joint.

Analysis of rigid and semi-rigid steel-concrete composite joints under monotonic loading - Part I: Finite element modelling and validation

  • Amadio, C.;Fragiacomo, 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권5호
    • /
    • pp.349-369
    • /
    • 2003
  • The paper concerns the modelling of rigid and semi-rigid steel-concrete composite joints under monotonic loading through use of the Abaqus program, a widespread finite element code. By comparing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on cruciform tes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odelling allows a good fit of the global joint response in terms of moment-rotation law. Even the local response in terms of stresses and strains is adequately predicted. Hence, this numerical approach may represent a useful tool for att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results. It may also be used to perform parametric analyses and to calibrate simplified mechanical models for practical applications.

다기능 다관절 로봇의 설계 및 제어 (Design and Control of a Multi-Function and Multi-Joint Robot)

  • 주진화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6-169
    • /
    • 2004
  • In this paper show how to design a redundant robot which is suitable for the multiple task without any constraints on the workspace. The implementation is possible by the rigid connection of a mobile robot and a task robot. Use a five joint articulated robot as the task robot; designed the 3 joint mobile robot for this usage. For a task execution assigned to the redundant robot, not only the task robot but the mobile robot should work in the coordinated way. therefore, a kinematic connection of the two robots should be cleary represented in a frame. And, also the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he two robots needs to be analyzed. Clarified these issues considering the control of the redundant robot. Finally, demonstrate away of utilization of the redundancy as the cooperation between the mobile robot and the task robot to execute a common tas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