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8초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에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Irpex lacteus에 의(依)한 Cellulase의 생산(生産) 및 그 효소특성(酵素特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eeds from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Ⅱ] -On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ellulase by Irpex lacteus-)

  • 이계호;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3호
    • /
    • pp.117-122
    • /
    • 1975
  •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을 이용(利用)할 목적(目的)으로 Irpex lacteus가 생성(生成)하는 cellulase에 대(對)하여 실험(實驗)하여 다음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쌀겨를 가(加)한 준배양기(戮培養基)의 조효소(粗酪素) 활성(活性)이 타배양기(他培養基)보다 우수하였다. 2. 진탕배양시 최적배양일수는 5일(日)이 가장 좋았다. 3. 생성(生成)되는 환원당(還元糖) 정량(定量)에 의(依)한 조효소(粗酪素)의 특성(特性)은 Irpex lacteus가 생산(生産)한 cellulase의 요소반응(酵素反應) 최적조건(最適條件)은 CMC분해(分解)로 생성(生成)한 환원당량(還元糖量)으로 본 결과 다음과 같다. 1) 최적(最適) pH는 $3.5{\sim}4.0$이다. 2) pH안전도(安全度)는 pH $3.0{\sim}6.0$이다. 3) 최적온도(最適溫度)는 $40^{\circ}C$이며 열안전성(熱安全性)은 $40^{\circ}C$이하(以下)이다. 4) 조효소(粗酵素) 작용시간(作用時間)은 2시간(時間)이다. 5) 최적(最適) 조효소농도(粗酵素濃度)는 50%V/V(전용액중)이며 기질농도(基質濃度)는 1%이다.

  • PDF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Organic Fertilizers on Fruit Quality in a Pear Orchard)

  • 이웅;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05-310
    • /
    • 2009
  •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고, 페놀화합물 함량도 과피와 과육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과피의 페놀화합물 함량은 처리구에 상관없이 과육보다 6배 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화학비료를 대체한 유기질 비료의 시용으로 배 과실내 석세포 감소와 품질 특성의 향상과 총 페놀함량 증가 및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이 증가하였다.

Effect of Green Tea Probiotics on th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Pigs

  • Ko, S.Y.;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1339-134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een tea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pigs, an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ng green tea probiotics for antibiotics in diets of finishing pigs. This green tea probiotics is made by mixing green tea powder and excipients (defatted rice bran and wheat bran) and fermenting the mixture with beneficial bacteria. A total of 90 crossbreed "Landrace$\times$Yorkshire" finishing pig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72.5{\pm}2.5kg$ were assigned to 5 dietary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 had 3 replications with 6 pigs per replication. The five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antibiotic (0.003% chlortetracycline added) and 0.1, 0.5 and 1.0% of green tea probiotic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al body weight, daily weight gain, daily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in the green tea probiotics and antibiotic treatments (p>0.05). Crud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0.1 and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groups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at content of the meat among the treatments. The TBA value of meat was significantly lowered with 0.5 and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s compared to that of controls and statistically similar to the antibiotic treatment after 3 weeks of storage (p<0.05). The growth of spleen cells stimulated with Con A (0.1 and $1.0{\mu}g/m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p<0.05). The growth of spleen cells stimulated with LPS (1.0, 3.0 and $10{\mu}g/m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0.5% green tea probiotics group compared to the antibiotic group (p<0.05). In Con A ($1.0{\mu}g/ml$) medium, IL-6 production of spleen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1.0%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In LPS ($10.0{\mu}g/ml$) medium, TNF-${\alpha}$ production of spleen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green tea probiotics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p<0.05). Finally it can be summarized that addition of green tea probiotic has a positive effect similar to antibiotic and 0.5% is the suitable dietary supplementation dose for finishing pig production.

표고버섯(JNM3022) 톱밥재배에 적합한 배지조성과 배지크기 (The optimum media size and composition for sawdust culture of Lentinula edodes (Strain: JNM3022))

  • 최덕수;정경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31-137
    • /
    • 2008
  • 표고버섯(J NM3022) 의 톱밥재배시 적절한 배지크기 및 배지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05년부터 2년동안 시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고버섯 톱밥재배를 위하여 배지길이와 직경이 다른 12가지 크기의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기간, 배양완성률을 시험한 결과 가장 적절한 배지크기는 길이 25 cm ${\times}$ 직경 14cm, 무게 2.5 kg 배지였다. 소나무톱밥의 포화수분함량은 495 $m{\ell}/100g$으로 침 나무동밥 251 $m{\ell}/100g$보다 약 2배 많았다. 참나무톱밥 100% 등 10조합의 배지조성 중 균사생장속도와 균사일도가 가장 좋았던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80%+밀기울 20%와 참나무톱밥 80%+미강 20% 처리였으며, 가장 적합한 배지수분함량은 55%였다. 배양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배지중앙에 유공관을 설치하였을 때 무처리에 비하여 길이 20 cm 배지는 11일, 30 cm 배지는 32일을 단축할 수 있었다. 배지표면 갈변화에 가장 좋았던 처리는 $10^{\circ}C$ 정도의 변온과 봉지천공으로 갈변 소요기간은 35일로 동일조건의 무천공처리에 비하여 54일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 PDF

생물제제(BCA) 후보균주인 Streptomyces sp. A020645 의 대량 균체생산 및 항더뎅이병 활성증진을 위한 고체배지 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edium Ingredient Composition for Enhancing Biomass Productionand Anti-potato Common Scab Activity of Streptomyces sp. A020645 as a BCA Candidate)

  • 이향범;노효영;박동진;이소금;고영환;고정삼;김창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66-71
    • /
    • 2005
  • 본 연구는 감자 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를 대상으로 최적의 고체 배양 및 항더뎅이병 활성증진 배지조성 조건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배지의 조성을 보면 밀기울, 쌀겨, 오트밀, 대두박을 기본 성분으로, 그리고 $KH_2PO_4$, 포도당, 당밀을 첨가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포자생성은 오트밀배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glucose 0.1~0.01%, 당밀 1.1~0.01% 첨가배지에서 포자생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그 외에도 $KH_2PO_4$ 2%를 첨가한 경우와 포도당과 당밀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도 양호한 균체생성을 확인하였다. Streptomyces sp. A020645 균주의 배지소성별 항더뎅이병원균에 대한 활성을 조사한 결과 오트밀 및 쌀겨 배지를 주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glucose 0.1~0.01%, 당밀 0.1% 첨가 조건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생물제제 제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질 퇴비 시용이 황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Compost on Growth and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 김명석;최진경;김희권;정병준;방극필;김정근;박민수;안영섭;김영국;박충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8-172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organic compost on the growth and root yield of Scutellaria baicalensis G. with organic cultivation from 2008 to 2009. Four organic compost were used ; Rice bran compost (RC : 1.1-3.6-1.4), Wheat bran compost (WC: 1.1-3.4-1.4), Hangawi compost (HC : 3.7-4.0-1.0), Cheonnyeonjigi compost (CC : 12.4-3.4-5.4) and Fermented chicken droppings compost (FC : 2.9-6.1-3.2).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K_2O$ of soil increased in all plots with the addition of organic compost, specifically in HC, CC and FC application. Treatment of HC, CC and FC application increased emergence rate and improved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compared to those of RC application. Subterranean part yields by different organic compost was high 149~156 kg per 10a as by growth increment of dried root yield. length of main root and diameter of main root. respectively, 17.4~18.4 cm, 12.65~12.94 mm from HC, CC and FC appl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characters of shoot, root parts of plants, dry root yield in Scutellaria baicalensis G. grown under organic compost application.

느티만가닥버섯 '햇살' 품종 봉지재배 적합배지 조성 연구 (Suitable substrate formulation for bag cultivation of the cultivar 'Haesal' in Hypsizygus marmoreus)

  • 김민근;심순애;김아영;권진혁;장영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0-165
    • /
    • 2021
  • 느티만가닥버섯 '햇살' 품종에 대한 봉지재배 안정생산 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포플러(미루나무) 톱밥을 주배지로 하고 밀기울, 미강, 건비지, 면실박, 팜커널등 5종의 영양원배지 재료를 혼합하여 배지를 조성하여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혼합 전 재료들에 대한 열수추출 배지들에 대한 버섯균사 생장은 팜커널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균사밀도의 경우 포플러배지를 제외하고 모두 우수하였다. 조성배지들에 대한 버섯발생 안정성, 재배기간, 수량성을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포플러톱밥, 밀기울, 미강, 건비지, 팜커널이 55:15:20:5:65(v/v) 수준으로 조합된 T6배지에서 생육기간이 단축되고 수량이 높아 봉지재배에 적합한 배지로 선발하였다. 선발배지에 대한 균사배양 완료기간은 38.0일로 대조로 이용된 T1배지에 비하여 1.7일 더 소요되었다. 그러나 균긁기 이후 수확시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18.0일로 대조배지(T1)를 이용한 재배기간보다 1.0일 단축됨에 따라 총 재배기간은 68.0일이 소요되었다. 선발배지에 대한 수량은 144.7 g으로 대조배지(T1) 수량 112.5 g보다 약 28.6%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느티만가닥버섯 '햇살' 품종의 봉지재배 적합배지로 포플러톱밥, 밀기울, 미강, 건비지, 팜커널이 55:15:20:5:5(v/v) 비율로 혼합된 배지조성을 선발하였다. 선발배지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으로 수분함량은 60.8%, pH 6.0, 전질소 함량은 0.83% 수준이었다.

버들송이버섯 봉지재배 안정생산 기술 (Development of a safe culture technique for Agrocybe cylindracea)

  • 허병수;서상영;최규환;최영민;권석주;장갑열;유영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6
    • /
    • 2019
  • 버들송이버섯을 봉지재배할 경우 비닐봉지(PE)에 포플러톱밥:미강:밀기울:건비지를 70:10:10:10 (v/v) 비율로 제조하여 1 kg씩 입봉하고 종균을 배지의 2%씩 접종 후 배양실 온도를 $25^{\circ}C$로 하여 배양하고 배양이 완료되면 최초 접종부위의 배지표면 높이까지 상부 비닐을 절개하여 재배를 하였다. 절개된 배지를 생육실에 입상하고 습도 99%, $CO_2$ 1,000 ppm, 1000 lx 조건에서 3일간 발이 유도 후 습도 95%, 온도 생육온도 $21^{\circ}C$ 조건으로 생육환경을 조절하면 봉지의 뚜껑을 제거한 처리구에 비해 대의 휘어짐은 적어지고 봉지 당 유효경수는 140% 증가한 28.8개, 봉지 당 수량은 29.5% 증가한 148.5 g을 수확 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개질된 왕겨 및 톱밥(미송, 참나무, 포플러)의 중금속 흡착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onto Chemically Modified Rice Husk and Sawdust from Aqueous Solutions)

  • 이현용;전충;임경재;홍기찬;임정은;최봉수;김남원;양재의;옥용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8-164
    • /
    • 2009
  • 왕겨와 톱밥 3종(미송, 참나무, 포플러)을 sodium hydroxide(NaOH)와 tartaric acid($C_4H_6O_6$)를 처리한 후 중금속 흡착특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소재에서 중금속 선택성은 Pb > Cu > Cd > Zn 순으로 나타났다. 참나무 톱밥(NaOH로 개질)은 Pb(19.36 mg $g^{-1}$)과 Cu(13.47 mg $g^{-1}$)에 대해 그리고 왕겨(tartaric acid로 개질)는 Cd(5.37 mg $g^{-1}$)과 Zn(2.24 mg $g^{-1}$)에 대해 뛰어난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SEM 분석결과 4가지 소재에서 모두 NaOH 개질 후에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됨이 확인되었고 흡착표면이 매끄럽게 안정화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FT-IR 분석결과 왕겨는 1080 $cm^{-1}$에서 carbonyl group, hydroxyl group 등의 관능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tartaric acid로 개질한 경우 1184 $cm^{-1}$와 1735 $cm^{-1}$에서 carboxylate group, carboxyl group, methylene group 등의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3종의 톱밥(미송, 참나무, 포플러)에 대한 FT-IR 분석결과 왕겨와 유사한 peak가 관찰되었는데 1030 $cm^{-1}$에서 carbonyl group과 hydroxyl group, 1200 $cm^{-1}$과 1700 $cm^{-1}$ 사이에서 carboxylate group, carboxyl group, methylene group 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한편 NaOH로 개질한 경우 peak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흡착량이 증가한 것은 표면개질로 새로운 관능기가 생성되지는 않았으나 표면의 불순물이 제거.안정화됨으로써 흡착 표면적이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산 농산부산물 발효사료를 급여한 재래산양의 사료섭취량 및 소화율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in Korean Native Goats Fed Fermented Domestic Agricultural By-Products)

  • 안종호;유황종;김현진;조익환;이주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1-120
    • /
    • 2000
  • 본 시험에서는 왕겨, 쌀겨, 비지, 잔반을 원료로 하여 각각 26, 26, 34, 14%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농후사료와 급여비율을 달리하여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다. 시험사료는 4종으로 각 사료별 발효사료:농후사료 배합비율은 A 80 : 20, B 70 : 30, C 50 : 40 및 D 50 : 50%로 하여 처리구별로 급여하였다. 발효사료를 이용한 재래산양의 사료 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재래산양의 증체 시험을 45일간 실시하여 재래산양 사료로서의 농산부산물 발효사료 가치를 조사하였다. 1. 본 실험사료의 화학적 성분으로는 조단백질 함량이 A, B, C 및 D구에서 각각 13.73, 13.78, 14.45, 15,14%이었으며 조지방과 조섬유 함량은 A구에서 각각 8.66 및 27.82%로 전 처리구중 가장 높았다. 2. 처리수준별 건물사료 섭취량은 362.06∼329.12g/d로서 A구(발효사료 : 배합사료, 80 : 20)와 C구(발효사료 : 배합사료, 60 :40)에서 각각 362.06 및 358.49g/d로서 B구(329.12g/d)와 D구(349.72g/d)에 비하여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영양소별 섭취량으로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P>0.05), 조섬유 섭취량은 A구가 101.47g/d로 B, C 및 D구보다 현저히 높아 유의차를 보였고(P<0.05), 조회분 섭취량도 A구가 28.51g/d로 B, C 및 D구보다 현저히 높았다(P<0.05). 3. 처리구간 건물소화율은 68.81∼53.58%수준으로 발효사료가 60%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C구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사료 함유율이 80%인 A구에서 가장 낮았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도 A구에서 59.85%로 B, C 및 B구보다 현저히 낮아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조지방의 소화율은 처리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섬유 소화율은 A구와 C구에서 각각 56.82%와 58.54%를 나타내어 발효사료 함유량이 높아도 조섬유 소화율이 저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질소 섭취량은 8.47∼7.22g/d로서 C구에서 8.47g/d로 가장 높았으나 질소 축적율은 D구에서 3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구는 배합사료 급여 비율이 50%로 처리구중 조단백질 함량이 제일 높았고 분 질소 배설량이 적어 질소 축적율이 향상되었다고 P<0.05) 사료된다. 뇨 질소 배설량은 3.43∼5.91g/d로 전 처리구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증체 시험 결과를 보면 사료 섭취량은 752.22∼788.20g으로 처리구간 비슷하였으나, 일당 증체량은 발효사료1배합사료 비율이 50 : 50%인 D구에서 88.89g/d으로 가장 높았고, A, B, C구는 체중이 감소하거나 증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개체별로 일부 설사에 의한 체중감소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설사를 하지 않은 정상적인 것들만 비교하여 볼 때, 증체량은 배합사료 급여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뚜렷이 보여 주었다(C : 71.11, D : 88.89g/d). 6. 왕겨, 쌀겨, 비지, 남은 음식물 등을 이용한 발효사료를 배합사료와 함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재래산양에게 급여하였을 때,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은 발효사료 60%, 배합사료 40%를 급여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나 농산 부산물을 발효시킴으로써 기호성 및 소화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발효사료는 배합사료만큼은 체내 이용성이 뛰어나지 못하여 배합사료 50%로 배합사료 혼합 비율을 높인 구보다는 증체량이 떨어졌고 질소 축적율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재래산양에서 배합사료와 함께 급여하는 발효사료의 적정 급여 비율을 50∼60% 정도로 할 때 사료의 이용 효율이 양호할 것으로 사료되나 여름철과 같은 고온 시기에는 변질리 가능성이 있어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