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ran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24초

농산폐기물(農産廢棄物)에서 발효사료(醱酵飼料)의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Aspergillus niger와 Trichoderma viride에 의(依)한 Cellulase의 생산성(生産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Feeds from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Ⅲ) -On the Production of Cellulase by Aspergillus niger and Trichoderma viride-)

  • 이계호;고정삼;박성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30-138
    • /
    • 1976
  • 농산페기물을 이용(利用)한 발효사료(醱酵飼料) 생산(生産)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25점(點)의 시료(試料)에서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두개의 균주를 선정(選定)하여 동정(同定)하였다. 선정(選定)된 두 균주에 대하여 cellul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ellulase 생산성(生産性)이 우수한 균주(菌株)로 Aspergillus niger-SM6와 Trichoderma viride-SM10 두 균주를 선정(選定)하였다. 2. 두 균주 모두 배양시(培養時) pH $5.0{\sim}6.0$에서 배양(培養)5일째에 최고(最高)의 효소생산성(酵素生産性)을 나타내었다. 3. Aspergillus niger-SM6은 배양시(培養時) 첨가한 CMC가 18%, $(NH_4)_2SO_4$가 33%, CSL이 21%, 감귤피가 21%의 효소생산(酵素生産)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처리한 왕겨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21{\sim}28%$ 효소생성이 증가하였으며 효소생산에 있어서 50%까지 밀기울과 대체가능하였다. 4. Trichoderma viride-SM10은 배양시 첨가한 CMC가 14%, $NH_4NO_3$가 40%, Vit-free casamino acid가 27%, 감귤피가 18%의 효소생산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수도(水稻)에 처리(處理)된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의 잔류성(殘留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수은제(水銀劑)의 살포시기(撒布時期), 회수(回數) 및 제제(製劑)의 종류(種類)가 약제잔류량(藥劑殘留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organo-mercury residues in rice grain. -2. Studies on the influence of mercury residues according to different formulations, times and date of the organo-mercury fungicide application-)

  • 이동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95-100
    • /
    • 1967
  • 수도(水稻) 도열병방제(稻熱病防除)를 위(爲)하여 사용(使用)되는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PMA)에 대(對)해서 우리나라 주요(主要) 수도장려품종(水稻?勵品種)인 팔달(八達)을갖이고 제제(製劑)의 잔류(殘留), 살포시기(撒布時期) 및 살포회수(撒布回數)가 현미중(玄米中)에 잔류(殘留)되는 수은(水銀)의 양적관계(量的關係)를 시험(試驗)하였다. 1. 제제(製劑)의 종류(種類)가 현미(玄米)의 수은잔류(水銀殘留)에 미치는 시험(試驗)을하였던바 엽도열병방제처리(葉稻熱病防除處理)(7 월(月) 13 일(日))에서는 살포용수은유제(撒布用水銀乳劑)(0.216 ppm)는 살분용(撒粉用) 유기수은제(有機水銀劑)(0.16 ppm)보다 높았다. 2. 약제살포시기(藥劑撒布時期)와 수은잔류량관계(水銀殘留量關係)를 보면 유제(乳劑)에 있어서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0.216 ppm)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0.304 ppm)보다낮고 분제(粉劑)에 있어서는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0.16ppm)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것(0.238 ppm)보다낮다. 3. 살포회수(撒布回數)가 수은잔류(水銀殘留)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보면 유제(乳劑)에있어서는 일회살포(一回撒布)(8 월(月) 13 일(日))의 것은 0.304 ppm 이나 이회살포(二回撒布)(7 월(月) 13 일(日) 8 월(月) 13 일(日))의 것은 0.32 ppm 이며 분제(粉劑)에 있어서는 일회사포(一回撒布)(7 월(月) 13 일(日))한 것이 0.238 ppm 이고 이회살포(二回撒布)한 것(7 월(月) 13 일(日), 8 월(月) 13 일(日))은 0.276 ppm 이였다. 4. 수도부위별(水稻部位別)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을 보면 8 월(月) 13 일(日)에 유제(乳劑)를 살포(撒布)한 것은 현미(玄米)에 0.304 ppm, 왕겨에 0.323 ppm 그리고 경엽(莖葉)에는 0.676 ppm, 이 잔류(殘留)되어 있었고 분제(粉劑)를 사용(使用)하였을 때는 현미(玄米)에 0.238 ppm, 왕겨에 0.283 ppm 그리고 경엽(莖葉)에는 0.698 ppm 이 남어있었다. 일반적(一般的)으로 분제(粉劑)는 유제(乳劑)보다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이적고 일회처리(一回處理)한 것은 이회처리(二回處理)한 것보다 잔류량(殘留量)이 낮었다. 7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은 8 월(月) 13 일(日)에 처리(處理)한 것 보다 수은잔류량(水銀殘留量)이 낮다.

  • PDF

곡류 및 곡류 가공식품의 총비소 및 무기비소 오염 비교 (Comparison of Total and Inorganic Arsenic Contamination in Grain and Processed Grain Foods)

  • 백은진;김명길;김현주;성진희;이유진;곽신혜;이은빈;김혜진;이원주;이명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85-393
    • /
    • 2022
  • 본 연구는 유통 중인 곡류 87건 및 그 가공식품 66건을 대상으로 발암물질인 무기비소의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높은 분리능과 감도를 가진 HPLC-ICP/MS를 이용하여 무기비소 As(III), As(V) 및 유기비소 MMA, DMA, AsB, AsC를 분석했으며, ICP/MS로 총비소를 정량하였다. 모든 곡류에서 무기비소가 검출되었으며, 곡류의 총비소는 약 70-85%의 무기비소와 약 10-20%의 DMA로 구성되었다. 곡류 분석 결과, 담수재배 종인 쌀과 흑미에서 높았고, 밭재배 잡곡은 오염도가 낮았다. 쌀의 평균 무기비소 농도는 쌀눈 0.160 mg/kg, 현미 0.135 mg/kg, 백미 0.083 mg/kg으로 외피에 비소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곡류 가공식품은 원재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무기비소 농도가 달랐으며, 현미와 쌀눈 가공 제품에서 검출량이 많았다. 모든 시료는 기준규격을 초과하지 않았지만, 섭취 빈도가 높으므로 식품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양송이 수량(收量)에 미치는 합성퇴비배지(合成堆肥培地)의 영양원(營養源), 발효(醱酵) 및 유해생물(有害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nutrient sources, fermentation and harmful organisms of the synthetic compost affecting yield of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73
    • /
    • 1979
  • 양송이 합성퇴비(合成堆肥) 배지(培地)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탄소원(炭素原), 질소원(窒素源) 등(等) 영양원(營養源)과 물리적(物理的) 안정(安定)을 위(爲)한 보조재료(補助材料)의 선정(選定),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 때의 퇴비재료(堆肥材料)의 배합(配合), 야외퇴적(野外堆積) 및 후발효(後醱酵), 볏짚 퇴비배지(堆肥倍地)에서의 유해생물(有害生物) 발생(發生) 및 방제(防除)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합성퇴비배지(合成堆肥倍地)의 탄소원(炭素原)으로서 볏짚은 보리짚과 밀짚보다 발효(醱酵)가 신속(迅速)하고 퇴비(堆肥)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으며 배지(培地)의 질(質)이 양호(良好)하여 양송이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이 현저(顯著)히 높았다. 2. 한국(韓國)에서 생산(生産)되는 일본형(日本型) 벼와 통일품종(統一品種等) 두 계통(系統)의 볏짚은 초형(草型) 및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이 달라서 퇴비(堆肥)의 발효상태(醱酵狀態)에 차이(差異)가 많았다. 통일(統一)볏짚은 발효(醱酵)가 빠르게 진행(進行)되므로 퇴적기간(堆積期間)을 단축(短縮)하고 수분공급량(水分供給量)을 감소(減少)시키며 물리성(物理成) 안정재(安定材)를 첨가(添加)하여야 한다. 3. 보릿짚 퇴비(堆肥)는 볏짚퇴비(堆肥)보다 생산성(生産性)이 낮으나 보릿짚과 볏짚을 50 : 50으로 혼용(混用)하면 볏짚과 대등(對等)한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4. 퇴비배지(堆肥倍地)의 전질소(全窒素), 전유기물(全有機物) 질소(窒素) 및 Amino산태(酸態), Amide태(態) Amino당태(糖態) 질소(窒素)와 자실체(字實體) 수량간(收量間)에는 각각(各各)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으나 Ammonia태(態) 질소(窒素)는 균사생장 및 자실체(字實體) 형성(形成)에 심(甚)히 유해(有害)하였다. 5.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 때 무기태(無機態) 질소원(窒素源)으로서 요소(尿素)가 가장 좋았고 유안(硫安)과 석회질소(石灰質素)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요소(尿素)는 3회(回) 분시(分施)할 때 손실(損失)이 감소(減少)되고 퇴비(堆肥)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6. 유기태영양원(有機態營養源) 중(中) 들깻묵, 참깻묵, 밀기울, 계양(鷄養) 등(等)의 첨가(添加)는 퇴비(堆肥)의 발효(醱酵)를 양호(良好)하게 하고 자실체수량(字實體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7. 들깻묵, 밀기울 등(等) 유기태영양원(有機態營養源)은 장유박(醬油粕), 이분조미료폐비(泥粉調味料廢肥) 등(等) 공장폐엽물(工場廢葉物)로서 대체(代替)하여 재배(栽培)할 수 있었다. 8. 볏짚퇴비(堆肥) 제조시(製造時) 석고(石膏)와 Zeolite를 첨가(添加)하면 과습(過濕) 및 결착(結着) 등(等)으로 인(因)한 물리성(物理性)의 악화(惡化)가 방지(防止)되며, 자실체수량(字實體收量)이 증가(增加)하는데 그 효과(效果)는 일본형(日本型) 볏짚보다 통일(統一)에서 현저(顯著)하였다. 9.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퇴비재료(堆肥材料)를 배합(配合)할 때 계양(鷄養) 10%, 깻묵 5%, 요소(尿素) $1.2{\sim}1.5%$, 석고(石膏) 1%를 첨가(添加)하고 봄재배(栽培) 때는 발열촉진(發熱促進)을 위(爲)하여 미강(米糠)을 첨가(添加)하는 것이 좋았다. 10. 볏짚배지(培地)의 야외퇴적시(野外堆積時) 적산온도(積算溫度)와 퇴비(堆肥) 부열도간(腐熱度間)에는 r=0.97의 높은 상관(相關)이 이고 적산온도(積算溫度) $900{\sim}1000^{\circ}C$일 때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이 가장 많았다. 11. 퇴적기간(堆積期間)이 길어질수록 퇴비(堆肥)의 부열도(腐熱度)가 높아지고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이 증가(增加)하고 Ammonia태(態) 질소(窒素)는 감소(減少)하였는데, 볏짚배지(培地)의 퇴적기간(堆積期間)은 봄재배(栽培) $20{\sim}25$일(日), 가을재배(栽培) 15일(日)이 적당(適當)하였고 그때의 부열도(腐熱度)는 각각 19및 24%였다. 12. 퇴비(堆肥) 후발효시(後醱酵時)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높은 퇴비(堆肥)를 진압(鎭壓) 하여 입상(入床)할 때 공기유통(空氣流通)이 감소(減少)하여 Ammonia태(態) 질소(窒素)의 잔류량(殘溜量)이 증가(增加)하고 Methane과 유기산(有機酸) 등(等) 환원성(還元性) 물질(物質)의 생성(生成)이 많았다. r=-0.76, 휘발성(揮發性) 유기산(有機酸)과는 r=-0.73의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13. 입상시(入床時) 퇴비(堆肥)의 수분함량(水分含量) $69{\sim}80%$ 범위(範圍)에서 자실체(字實體) 수량(收量)은 수분함량(水分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였는데 (r=-0.78) 이것은 공극량(孔隙量)의 감소(減少)에 기인(基因)하는 것이었다. 입상시(入床時) 균상(菌床)의 적정 공극량(孔隙量)은 $41{\sim}45%$. 14. 후발효(後發效) 정열(頂熱)은 병해충 방제(防除) 뿐 아니고 Ammonia의 제거(除去)를 위(爲)해서 필수적(必須的) 과정(科程)이며 정열후(情熱後) 4일간(日間)의 발효(發效) 과정(科程)이 필요(必要)하였다. 15. 볏짚 퇴비배지(堆肥倍地)에서 양송이 균(菌)에 유해(有害)한 영향(影響)을 미치는 사장균 10종(種)이 동정(同定)되었는데 그 중(中) Diehliomyces microsporus, Trichoderma spp.,Stysanus stemoitis 등(等)은 발생빈도(發生頻度)가 높고 피해(被害)가 심(甚)하였다. 16. Diehliomyces는 재배사(栽培舍) 온도조절(溫度調節), Basamid와 Vapam처리(處理)로서 방제(防除)가 가능(可能)하며 Trichoderma spp.는 Bavistin과 Benomyl 철포(撤布)로서 방제(防除)되었다. 17. 퇴비중(堆肥中) 서식(棲息)하여 양송이를 가해(加害)하는 4종(種)의 선충과 5종(種)의 응애(類)는 퇴비(堆肥)를 $60^{\circ}C$에서 6시간(時間) 정열(頂熱)시키므로서 방제(防除)할 수 있었다.

  • PDF

Measurement of the Intestinal Digestibility of Rumen Undegraded Protein Using Different Methods and Correlation Analysis

  • Wang, Y.;Zhang, Y.G.;Liu, Xiaolan;Kopparapu, N.K.;Xin, Hangshu;Liu, J.;Guo, Jian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0호
    • /
    • pp.1454-1464
    • /
    • 2015
  • Four methods were adopted, including the mobile nylon bag (MNB) method, modified three-step in vitro (MTS) method, original three-step in vitro (OTS) method, and acid detergent insoluble nitrogen (ADIN) estimating method, to evaluate the intestinal digestibility of rumen undegradable protein (DRUP) of 10 types of concentrates and 7 types of roughages. After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DRUP values using the MNB, MTS, OTS, and ADIN methods, the study aimed to find out appropriate methods to replace the MNB method due to its disadvantages such as high price, long time period, and use of a duodenal T-fistula. Three dairy cows with a permanent ruminal fistula and duodenal T-fistula were used in a single-factor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termined DRUP values using the MNB method for soybean meal, cottonseed meal, rapeseed meal, sunflower meal, corn germ meal, corn, rice bran, barley, wheat bran, corn fiber feed, Alfalfa (Zhao dong), Alfalfa (Long mu 801), Alfalfa (Long mu 803), grass (North), Grass (Inner Mongolia), corn silage and corn straw were 98.13%, 87.37%, 88.47%, 82.60%, 75.40%, 93.23%, 69.27%, 91.27%, 72.37%, 79.03%, 66.72%, 68.64%, 73.57%, 50.47%, 51.52%, 54.05%, and 43.84%,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0.964$) of the results between the MTS method and the MNB method was higher than that ($R^2=0.942$) between the OTS method and the MNB metho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the DRUP values of the concentrates among the in vitro method (including the MTS and OTS methods) and the MNB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roughage.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the determined DRUP values in concentrates obtained from the ADIN method and those from the MNB metho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1) between the determined DRUP values of the roughage obtained from the MNB method and those obtained from ADIN method. The DRUP valu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nutritional ingredients of the feed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RUP =100.5566+0.4169CP - 0.4344SP - 0.7102NDF - 0.7950EE ($R^2=0.8668$, p<0.01; CP, crude protein; SP, soluble protein; NDF, neutral detergent fiber; EE, ether extract). It was concluded that both the MTS method and the OTS may suitable to replace the MNB method for determining the DRUP values and the former method was more effective. Only the ADIN method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values of the roughages but conventional nutritional ingredients were available for all of the samples' DRUP.

잿빛만가닥버섯(Lyophyllum decastes)의 발효톱밥에 의한 인공재배 특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n Artificial Cultivation method of Hatakeshimeji (Lyophyllum decastes) using fermented sawdust substrate)

  • 우성미;박용환;유영복;신평균;장갑열;이강효;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56-162
    • /
    • 2009
  • 잿빛만가닥버섯의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고자 국내 외에서 수집한 균주의 균사배양 특성을 검정하고 자실체 발생을 위한 다양한 재배방법을 구명하였다. 잿빛만가닥버섯 9균주를 공시하여 선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사밀도가 양호한 SPA 202 및 SPA 205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선발배지는 BC배지가 가장 양호하였다. 인공재배시 참나무톱밥과 포플러톱밥이 균사생장속도가 가장 빠르고 균사밀도가 가장 치밀하였으며 최적배지는 발효톱밥을 사용한 참나무톱밥(Quercus aliena)40%+포플러톱밥(Populus deltoides)40%+미강(Rice bran)10%+밀기울(Wheat bran)10% 배지로서 이 때균사배양적온은 $20-25^{\circ}C$이며 배양기간은 접종 후 50일, 복토 후 7일이 소요되었으며, 원기형성 및 자실체생육기간은 $17-18^{\circ}C$에서 각각 10~11일, 7~8일이 소요되었다. SPA 202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60mm, 대의 길이가 67mm이며, 수량은1,100ml병당 130g이었으며 SPA 205균주의 수확적기의 자실체는 갓의 직경이 51mm, 대의 길이가 81mm, 129g이었다. 잿빛만가닥버섯 인공재배 결과, 배지는 발효톱밥 처리구가 미발효톱밥 처리구보다 수량이 많아 SPA 202균주와 SPA 205균주가 가장 양호한 균주로 선발되었다.

  • PDF

왕송이버섯(Tricholoma gigantium)의 인공재배를 위한 환경조건 구명 (Develop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conditions on Tricholoma gigantium)

  • 장갑열;박정식;정종천;공원식;유영복;전창성;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3_4호
    • /
    • pp.98-102
    • /
    • 2007
  • 왕송이버섯의 인공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농업과학기술원에서 보존중인 MKACC50852 등 4개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우선 이들의 RAPD 분석을 통한 유전적 다형성을 분석하여 유사도를 알아보았다. 일본에서 수집한 MKACC50852균주와 인천에서 채집한 자생균주인 MKACC53368이 높은 유연관계를 보였으며, 제주도에서 채집한 MKACC50853은 태국에서 수집한 MKACC53359와 높은 유연관계를 보였다. 왕송이버섯의 인공재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봉지재배 및 상자매몰 재배를 비교 실험한 결과, 봉지재배가 상자재배보다 초발이소요일수가 빨랐으며 발이정도에서는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균주별 자실체 발생에서 MKACC50852 및 MKACC53368는 버섯이 발생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는 버섯이 발생하지 않았다. 특히, MKACC50852가 자실체의 품질 및 발이율이 가장 높았으며 복토 후 균상생장도 양호하였다. 왕송이버섯의 재배사내 습도별 자실체 생장율은 발이 후 습도를 80%이상 유지 시 자실체 생장율이 좋았으며, 복토 후 균사생장 완료전 약 70%정도 균사 생장시 하온 처리에 의한 발이유기가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며 발이유기 및 자실체 생장시 주야간 온도편차 유지가 가능하고 환기가 용이한 재배사가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왕송이버섯의 간편한 재배 체계를 확립하고자 폐면 및 톱밥배지를 사용하여 상자재배와 봉지재배시 미강, 밀기울 등 첨가제를 각각 3, 5, 7%씩 처리하여 자실체발생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 첨가제 중 미강 처리구보다는 밀기울 처리구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며 배양기간과 발이기간도 단축되었으나, 수량은 폐면 단용구에 비해 낮았다. 균주별로는 MKACC50852 균주가 폐면단용구에서 발이 및 수량(455g/봉지)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MKACC53359는 비록 수량은 낮은 편이었으나 처리별로 고른 발이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왕송이버섯 자실체 발생을 위해서는 첨가제의 종류보다는 재배환경요인이 더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 PDF

다양한 조사료 급여조건에서 한우 암소 경산우의 에너지분배 및 메탄배출량 (Energy Balance and Methane Production of Hanwoo Cows Fed Various Kind of Roughage)

  • 오영균;김도형;문상호;박재현;남인식;;김경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3-287
    • /
    • 2014
  • 본 연구는 다양한 사료들을 유지수준에서 섭취한 한우 암소 경산우의 에너지 대사 시험의 결과로 부터 섭취에너지 균형과 메탄배출계수를 구하였다. 오차드그라스(orchard grass) 위주의 혼합목건초 섭취 7두, 혼합목건초의 30~50% 를 볏짚으로 대체한 12두, 혼합목건초와 볏짚에 밀기울 (wheat bran) 1 kg 추가급여한 6두, 총 25 개체의 대사실험 성적을 분석하였다. 실험축은 10일간 대사틀에서 개체별로 각각의 실험사료 적응 및 7일간 분 뇨 시료채취 후, indirect respiratory chamber 1대에 교대로 수용되어 1일간 호흡대사 실험이 이루어졌다. 혼합목건초 단독 급여구와 비교하여 나머지 두 처리구의 평균 건물섭취량은 약 11%, 15%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고, gross energy (GE) 섭취량도 차이가 없었다. 총 섭취에너지 중 메탄으로 손실된 에너지 비율인 메탄전변율(methane conversion rate, Ym)과 메탄배출계수(emission factor, kg/head/year)도 각각 0.055~0.062 (평균 0.058)와 33.6~38.6(평균 35.2) 범위로 처리간 유의성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는 혼합목건초를 볏짚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밀기울 추가급여에 의한 메탄발생량 차이가 없었으나, 메탄발생량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양질 조사료 급여효과 연구는 축산현장의 온실가스 감축 사업 참여가 가능한 분야이기 때문에 추가 연구들을 통해 시급히 증명되어져야 된다고 판단된다.

Di-mono 교잡에 의한 잎새버섯 품종 "함박"의 특성 및 재배 (Cultiv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strain "Hambak" derived by di-mono crossing in Grifola frondosa)

  • 공원식;유영복;전창성;유창현;조용현;박영학;김광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07
  • 우수한 약리기능성을 보이는 잎새버섯의 병재배에 적합한 새로운 품종 "함박"을 이핵단핵 (di-mono) 교잡육종법으로 육성하였다. "함박" 잎새버섯의 재배는 참나무 톱밥 75% + 포플라톱밥 25%에 영양원으로는 미강 15% 또는 옥수수피 10%를 혼합사용할 때 가장 좋았으며, 병재배와 봉지재배가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재배농가에서 현재 재배되는 버섯을 대체하기에는 배양기간이 길고, 재배시 습도관리가 까다로워 재배법을 더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시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잎새버섯의 약리 기능성에 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함박 잎새버섯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circ}C$, 자실체발생온도는 $15{\sim}16^{\circ}C$, 생육온도는 $15{\sim}18^{\circ}C$로 기존품종에 비하여 다소 낮은 중온성이다. 함박자실체의 색깔은 갈색이며 갓 이면에는 장타원형의 관공으로 되어 있다. 병재배시 초발이소요일수가 잎새1호보다 2일 빠르고 수량은 병당 97g으로 높으며, 자실체 송이의 크기가 크며 색택이 진하여 품질이 좋다.

  • PDF

농산 혼합 부산물 첨가급여가 송아지 질병 및 거세 한우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ricultural By-Product Feeds on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Steer)

  • 이상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48
    • /
    • 2008
  • 본 실험은 농산부산물인 감껍질, 맥강, 발효미강 및 활성탄을 혼합하여 만든 첨가 사료가 거세 한우의 질병,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험한 결과, 송아지 설사는 무처리구(Control)가 가장 발병율이 높았던 반면 첨가량이 가장 높은 T3구(5% 첨가구)가 가장 낮은 발병율을 보였다. 호흡기 질병 발병율은 3% 첨가구(T2)에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호흡기와 설사 동시 발생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당 증체량은 T2(0.76kg)>T1(0.7kg), T3(0.70)>Control구(0.67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지방 두께는 T2>T3>Control>T1구 순으로 등심단면적은 T3>T1>Control>T2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육량등급은 1% 첨가구(T1)가 2.3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에서는 상호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근내지방 및 육질 등급은 T2구에서 각각 5.0 및 3.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육색은 농산부산물 사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농산부산물 혼합 사료는 질병발생 억제, 육량증가 및 육질개선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