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blast resistanc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도열병균 KI-409 race의 급격한 증가 현황과 원인 분석 (Analysis of Rapid increase of Rice Blast Fungus Race KI-409 in Korea)

  • 한성숙;최성호;나동수;은무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5-709
    • /
    • 1998
  •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grisea) race KI-409 that has been rapidely increased since 1993 and became predominant in 1995 in Korea were investigated. Varietal resistance of current commercial cultivars of rice to the race was also tested in this study. The race KI-409 was first isolated from rice cv. Namyangbyeo in 1985. Since 1985 the race had been isolated mainly from the rice cultivars having BL1 BL7 pedigree as a resistance source. Distribution ratio of the race in 1995 was 23.7% in average and became a predominant in the P. grisea population in Korea. The race distributed widely and found in all the eight provinces in Korea. Many commercial cultivars such as Chucheongbyeo as well as those with BL1 or BL7 as a genetic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the race KI-409.

  • PDF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와 연관된 SSR 마커를 이용한 양질미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High-Quality Rice Cultivars Based on SSR Markers Linked to Blast Resistance Genes)

  • 황흥구;권수진;조영찬;안상낙;서정필;문헌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1-255
    • /
    • 2004
  • 최근 비교적 재배면적이 넓은 일미벼, 대산벼, 동안벼와 이들의 모본들로 구성된 23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99년에서 2001년에 잎도열병과 이삭도열병이 심하게 발병한 일미벼. 대산벼, 동안벼는 밀양95호를 모본으로 육성되었다. 2. 밀양95호를 모본으로 하는 품종들에 대해 SSR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조사한 결과 57개 유전자좌위에서 170개(평균 3.0개)의 alleles이 관찰되었으며 대립유전자수는 2개에서 7개까지 다양하였다. 특히, RM249, RM206, OSR20은 6개 이상의 대립유전자를 가져 근연의 자포니카 벼품종간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증폭된 밴드의 유무를 바탕으로 품종간 유전적 거리를 산출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4개의 군으로 나뉘었으며 일미벼, 대산벼, 동안벼는 모본인 밀양95호와 유전적 배경이 매우 유사하였다. 4. 같은 계보상의 품종들에 대해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 인근의 마커를 이용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결과가 계보도와 일치하여 이들 품종들의 저항성 유전자형 또한 유사할 것으로 추청할 수 있었다. 5. 조사품종의 계보상의 allele 전이를 분석한 결과 11번 염색체의 RM254의 3번째 allele과 12번 염색체의 OSR32의 2번째 allele이 밀양95호로부터 계속 전이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alleles의 도열병 이병화와의 연관성 여부는 추후에 검토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1993년 경상남도지역의 벼도열병 다발생과 그 원인 (Factors Affecting Unusually Severe Outbreak of Rice Blast in Gyeongnam Province in 1993)

  • 강수웅;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8-82
    • /
    • 1994
  • Unusually severe rice blast epidemic sweeped over the rice growing area in Gyeongnam Province and elsewhere in 1993. Leaf blast infection was reached to 33,133 ha, which is about 24.5% of total paddy area and neck blast infection was apparent throughout 4,421 ha. Major factors affecting such an unusual epidemic appeared to be as follow: Firstly, low temperature, frequent rainfall and coincidentally insufficient duration of sunshine through July and August; Secondly, most cultivars possessing low levels of field resistance were cultivated in wide areas: Thirdly, blast fungus population was enough for successive infection under optimum weather condition and most races distributed in field were able to infect most cultivars.

  • PDF

리보플라빈을 함유한 바이오닥터TM 처리에 따른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 억제효과 (Riboflavin-based BioDoctorTM Induced Disease Resistance against Rice Blast and Bacterial Leaf Blight Diseases)

  • 강범용;한송희;김철홍;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202-207
    • /
    • 2016
  • 쌀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이지만 충분한 비타민을 제공하지 않고,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병해이다. 리보플라빈, 비타민 B2는 인간의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식물의 병원균에 대한 식물의 방어 활성화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oDoctor (Hyunnong Co., Ltd., Gokseong, Korea)라는 리보플라빈 기반 제품을 벼에 경엽살포했을 때, 주요 병해에 대한 저항성 유도 및 벼 체내에 비타민 함량이 증가되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온실검정에서 BioDoctor 제품 500배와 1,000배로 희석하여 경엽처리 결과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현저한 병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또한, BioDoctor를 처리한 알곡과 잎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리보플라빈 함량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타민인 리보플라빈이 함유된 BioDoctor가 벼 도열병과 흰잎마름병에 대해 병 저항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쌀 곡류 내에 비타민 함량을 증가시키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水稻) 품종간(品種間) 도열병(稻熱病) 저항성(抵抗性)의 차이(差異)와 그의 지역변이(地域變異)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Blast and Its Regional Variation)

  • 박남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99-214
    • /
    • 1977
  • 본(本) 시험(試驗)은 우리나라의 각지방(各地方)에서 밭못자리 검정(檢定)에 의(依)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 양상(樣相)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저항성(抵抗性) 품종육성(品種育成)을 위(爲)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도열병(稻熱病) 판별품종(判別品種) 및 주요품종(主要品種) 129개(個)와 잡종계통(雜種系統) 30조합(組合)을 수원등(水原等) 6개(個) 지역(地域)에서 1976~'77년(年)에 걸쳐 실시(實施)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3종(種)의 도열병(稻熱病) 판별품종(判別品種) Set를 사용(使用)하여 6개(個) 지역(地域)의 우점(優占) race의 차이(差異)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지역간(地域間) 우점(優占) race의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었으나 정확(正確)한 지대(地帶) 구분(區分)은 할 수 없었다. 2.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과 Indica${\times}$Japonica육성품종(育成品種)은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의 지역간(地域間) 차이(差異)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3. 수원(水原)과 임실(任實)에서 잡종계통(雜種系統)들의 도열병(稻熱病)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도 서로 달랐다. 4. 도열병(稻熱病) 밭못자리 검정(檢定)에서 조사(調査) 시기별(時期別)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의 진전(進展)에 의(依)하여 3종(種)의 품종군(品種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5. 엽도열병(葉稻熱病)에 고도(高度)의 저항성(抵抗性) 반응(反應)을 보인 품종(品種)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수수도열병(穗首稻熱病)이 거의 발생(發生)하지 않았으나 예외(例外)도 있었다.

  • PDF

벼 도열병에 대한 품종의 지속저항성 발현요인에 관한 연구 3. 품종과 도열병균 레이스의 상호관계 (Factors Affecting the Expression of Durable Resistance of Rice Cultivars to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 라동수;오정행;한성숙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0-94
    • /
    • 1997
  • Interaction of races of rice blast fungus and cultivars has been evaluated. Dongjinbyeo was infected by four KJ races and two KI races, while other varieties were susceptible to four to six KJ or KI races. Among the single spores reisolated from the leaf blast lesion of Dongjinbyeo after mixed inoculation of 10 races, 63% was race KJ-301 which produced a small number and small size lesions, while 30% was race KI-313 which produced a large number of lesions. However, 93% of single spores reisolated from Palgongbyeo was a highly virulent race KJ-105. On the other hand, all the races were equally reisolated from the susceptible cultivar Jinmibyeo. Frequency of race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infected leaf blast lesions in the field was similar to that of reisolated races from the cultivars inoculated with 10 mixed races in the greenhouse. However, 30% of single spore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infected Dongjinbyeo was race KI-329 ut ace KI-313 was not detected. Genetic relationship of the isolates collected from leaf and neck blast fungus of Jinmibyeo and Nakdongbyeo showed specific bands on RFLP-P64, However, their genetic similarity was 80%.

  • PDF

벼 신품종 및 계통의 지역별, 연도별 도열병 발병 차이 (III) (Temporal and Spatial Blast Incidence in New Cultivars and Elite Lines of Rice In Korea (III))

  • 라동수;오정행;한성숙;김장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8-343
    • /
    • 1995
  • Incidence of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on five new cultivars and four elite lines (C/L) of rice was investigated at different locations, Icheon, Chuncheon, Jecheon and Naju, 1992 to 1994. Disease indices of leaf blast on the tested C/L except Juanbyeo and Keumnambyeo ranged from 0 to 6 in the blast nursery. Under the field conditions, percentages of diseased leaf area of Kuemnambyeo were 6.5% in Jecheon and 2.8% in Icheon in 1993. The incidence of panicle blast on the C/L except Suweon 394 and Milyang 117 differed depending on the locations and years. In case of Unjangbyeo, panicle blast was rarely observed n the fields in Icheon and Naju, but the disease incidences were 21.8% in Jecheon in 1993 and 16.4% in Chuncheon in 1994. Race distribution of the blast fungus was variable according to the locations. The major race in the Jecheon site was KI-197, which was recently identified.

  • PDF

잎도열병에 대해 성체식물저항성을 지닌 벼의 감염엽에서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의 함량 (Amino Acid and Phenolic Contents in lilfected Leaves of Rice in Relation to Adult - Plant Resistance to Leaf Blast)

  • 김기덕;황병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7
    • /
    • 1987
  • 도열병에 대해 감수성을 보이는 낙동과 성체식물저항성을 보이는 도봉의 건전엽과 도열병 감염엽내의 에탄올가용성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접종 3일후에는 가용성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의 수준은 건전엽과 비슷하였다. 도열병 병반이 접종 5일 후에 감염엽에 나타났을 때 가용성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은 5엽기와 3엽기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접종 7일 후에서는 이들 화합물의 수준은 5엽기와 8엽기에서 건전엽보다 약 $1.5\~3$배 더 많았다. 도열병 감염동안 비록 도봉이 도열병에 대해 낙동보다 덜 감염되었지만 5엽기와 8엽기의 건전엽과 감염엽에서 성체식물저항성 품종 도봉의 가용성 아미노산 및 페놀화합물 함량은 감수성 품종 낙농의 함량보다 높았다. 벼품종 도봉이 도열병에 감염동안 아미노산과 페놀화합물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성체식물저항성이 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지 모른다.

  • PDF

Breeding Hybrid Rice with Genes Resistant to Diseases and Insects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Evaluation of Biological Assay

  • Kim, Me-Sun;Ouk, Sothea;Jung, Kuk-Hyun;Song, Yoohan;Le, Van Trang;Yang, Ju-Young;Cho, Yong-Gu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7권3호
    • /
    • pp.272-286
    • /
    • 2019
  • Developing elite hybrid rice varieties is one important objective of rice breeding programs. Several genes related to male sterilities, restores, and pollinator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map-based gene cloning within natural variations of rice. These identified genes are good targets for introducing genetic traits in molecular bree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reed elite hybrid lines with major genes related to hybrid traits and disease/insect resistance in 240 genetic resources and F1 hybrid combinations of rice. Molecular markers were reset for three major hybrid genes (S5, Rf3, Rf4) and thirteen disease/insect resistant genes (ric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Xa3, Xa4, xa5, Xa7, xa13, Xa21; blast resistance genes Pita, Pib, Pi5, Pii; brown planthopper resistant genes Bph18(t) and tungro virus resistance gene tsv1). Genotypes were then analyzed using molecular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Biological assay was then performed at the Red River Delta region in Vietnam using eleven F1 hybrid combinations and two control vatieties. Results showed that nine F1 hybrid combinations were highly resistant to rice bacterial blight and blast. Finally, eight F1 hybrid rice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disease/insect were selected from eleven F1 hybrid combinations.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gricultural traits and yields were then investigated. These F1 hybrid rice varieties developed with major genes related to hybrid traits and disease/insect resistant genes could be useful for hybrid breeding programs to achieve high yield with biotic and abiotic resistance.

"금오3호"의 벼 잎도열병 저항성 특성 및 저항성 연관 마커 탐색 (Disease Reaction of a Japonica Rice, Keumo3, and Detection of a Linked DNA Marker to Leaf Blast Resistance)

  • 이종희;곽도연;박동수;노재환;강종래;김춘송;전명기;여운상;이기환;신문식;오병근;황흥구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08-413
    • /
    • 2008
  • 벼 조생종 품종 금오3호의 잎도열병 저항성 및 도열병 저항성 연관마커 zt56591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03~'07년까지 5년간 전국 14개 지역 잎도열병 밭못자리 검정의 평균 발병정도는 금오3호가 1.6으로 진부벼 3.6, 금오벼 5.3 및 일품벼 6.4에 비해 낮았다. 저항성(0-3) 12개소, 중도 저항성(4-6) 2개소이며, 감수성(7-9)을 보인 곳은 없었다. 도열병 내구저항성에서 병반 면적율이 0.1~5.0%사이로 지속적인 저항성을 보였으며, 29개 균주에 저항성반응을 보였고, 1개 균주에 대해서는 이병성 반응을 보였다. 도열병 저항성과 연관된 DNA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금오3호'는 도열병 광범위 저항성 유전자로 알려진 Pizt와 연관된 마커 zt56591에 저항성 밴드 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끼다고마찌/금오3호 RIL집단에서 Pizt 연관마커와 잎도열병 저항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환가가 1.1%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금오3호'와 교배된 후대집단에서 zt56591마커를 이용한 MAS선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