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visit intent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7초

스토리텔링 융합기법 마케팅을 적용한 부산 관광기념품에 대한 구매 의도 및 구전 의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ntion of purchase and word of mouth to Tourism Monuments in Busan Using Storytelling Convergence Technique)

  • 명란;장청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27-135
    • /
    • 2020
  • 부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상품의 개발 및 홍보에 있어서 보다 전문적인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부산 이미지를 전달한 후, 관련된 관광기념품에 대한 구매 의도 및 구전 의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에 외국인 16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관광지에 대한 스토리텔링 노출과 방문경험, 관광상품의 디자인은 구매 의도와 구전 의도에도 일정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력적인 기념품 디자인과, 지역에 대한 방문경험, 그리고 관련된 지역의 스토리텔링은 외국인 관광객의 재방문 및 잠재적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부산 관광상품에 대한 홍보방식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의 구에서는 부산 이외의 관광도시를 대상으로 추가 검증을 진행하여 연구 가설을 폭넓게 검증할 것이다.

공정성 조절효과에 따른 서비스 실패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 공정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al Structure among Service Failure-related Variables after Moderation of Fairness - Focusing on fairness-related -)

  • 김성아;유태순
    • 복식
    • /
    • 제64권3호
    • /
    • pp.13-31
    • /
    • 2014
  •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relational structures among service failure-related variables after the moderation of fairness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with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it aims to review and investigate service failure & service recovery strategies, non-switching intentions after recovery, revisit intention, the intent to provide word-of-mouth recommendations and previous studies on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Second, it targets the analysis of the role of fairness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relations between service recovery strategies and post-recovery satisfaction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was used: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rvice failure and its recovery strategies (behavioral recovery strategy, psychological recovery strategy, monetary recovery strategy)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beauty service users and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further analyze and verify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n post-satisfaction behavior (non-switching inten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the intent to provide word-of-mouth recommendations). The SEM was divided into a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to determine if the model is appropriate and estimate the parameters of the path coefficien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see if fairness (procedural fairness, distributive fairness and interactive fairness) works as a moderating variable while the service recovery effort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n, the role of service recovery strategies, targeted to satisfy the customers who were dissatisfied because of service failure,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ts effect on post-satisfaction behavior was analyzed from the structural aspect, and the moderating role was examined as well. Then, the role of the service recovery strategy, which can be used to satisfy dissatisfied customers, was examined, and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n customer behavior was analyzed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moderating role of fairness was tested. As a resul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elps service providers formulate service recovery-related strategies.

호텔 레스토랑의 방문동기, 소비자태도, 재방문 의도와의 영향관계 (Relationships between Hotel Restaurant Visit Motivations, Consumer Attitudes, and Revisit Intention)

  • 장동옥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4-264
    • /
    • 2016
  • 본 연구는 2016년 3월 1일 경부터 3월 31일에 이르는 약 한 달 정도의 조사기간을 두어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은 서울 시내 특급 호텔을 대상으로 연구목적과 설문내용을 관리자에게 충분히 설명한 후, 관리 책임자의 책임 하에서 방문하는 고객에게 자기기입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첫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인지도는 이미지 B=0.524(p<.001), 음식 B=0.121(p<.05), 독특성 B=0.251(p<.001)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선호도는 이미지 B=0.577(p<.001), 사회성 B=0.192(p<.001), 독특성 B=0.173(p<.01)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호텔 레스토랑 방문동기와 구매 의도간에는 이미지 B=0.705(p<.001), 주변성 B=0.113(p<.01)로 소비자 태도 중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고, 음식 B=-0.135(p<.01)와 사회성 B=-0.123(p<.001)은 부(-)의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소비자 태도와 재방문 의도를 살펴보면 인지도 B=0.464(p<.001), 선호도 B=0.321(p<.001), 구매의도 B=0.205(p<.001)로 전부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온라인 쇼핑몰 특성이 감성적 반응과 지각된 가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value and intention to revisit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2))

  • 심태용;윤성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4-383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술수용모델(TAM2)를 통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 기준에 따라 쇼핑몰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온라인 쇼핑몰 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 1일부터 2019년 1월 31일까지 총 711부의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은 모두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감성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시스템 품질, 제품품질 변인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 중, 사회적 실재감은 감성적 반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쇼핑몰 이용자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감성적 반응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하는 제품의 실용재 집단과 쾌락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집단 별로 경로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고, 쇼핑몰이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속성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감성적인 부분까지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치과내원환자의 치과만족도와 행동유형(DISC)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ntal patients' satisfaction at different type(DISC) of character)

  • 이영수;홍수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80-391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sults of dental satisfaction at different type of character and provide basic materials for making the valuable strategies of dental service.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256 patients using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5 to October 13, 2007.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as utilized to assess their types of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 and find out its influential factors upon dental consumers and their intent of revisit. The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14.0 Windows. Results :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dental satisfaction as for character types and factors.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d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of gender. Als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well as level of skill is significantly high in periodical dental visit.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environment and facility, cost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tient will visit a dental clinic repeatedly. In the future, more precise and in-depth questionnaires should be developed to analyze dental consumers.

  • PDF

Health Status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Barriers and Facilitators for Korea Medicaid Beneficiaries

  • Bae, Sung-Heui;Choi, Eun-Ok;Lee, In sook;Lee, In Young;Chun, Chae min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8권3호
    • /
    • pp.144-1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mpares beneficiaries of Korean Medicaid with those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seeking to understand how each group utilizes their healthcare.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a Health Promotion Survey in 2005. Health status was measured by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health.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cluded the availability of healthcare services, the type of healthcare institution, and intent to revisit. Predisposing and enabling factors, as well as health care needs were used for this study. Results: Compared to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Medicaid beneficiaries reported lower levels of health status and fewer enabling factors. They had more chronic diseases and disabilities. Education level, existence of chronic diseases, exercise patterns, and disabilities were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Conclusion: We found that Medicaid beneficiaries had fewer resources and higher levels of health needs. As Medicaid is reformed,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should understand healthcare utilization behaviors of Medicaid beneficiaries and the factors hindering access to care.

경북지역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의 고객만족과 충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of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in Gyeongsangbuk-do Area)

  • 이경아;박소영;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59-266
    • /
    • 2017
  • 본 연구는 경북지역 D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1일부터 8일간 설문조사를 통해 급식서비스 만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충성도에 따른 고객 분류를 통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 학생 중 기숙사 급식소를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경우는 17.5%, 아침 또는 저녁 한 끼만 이용하는 경우는 48.8%,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33.7%로 나타났다. 급식만족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3.19/5.00점이며, 위생요인, 환경요인, 음식요인, 반응성요인, 메뉴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반응성요인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P<0.01) 높았고 1학년이 4학년보다 유의하게(P<0.05)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기숙사 거주기간에서는 1년 미만 군이 2년 이상 군보다 전체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P<0.01)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를 아침 또는 저녁만 이용하는 군과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군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군보다 위생요인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에 대한 고객충성도 평균점수는 2.73/5.00점이며,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 전환하지 않을 의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방문 의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고, 구전 의도는 1학년이 2학년과 4학년보다 유의하게(P<0.05)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기숙사 거주기간 1년 미만 군이 2년 이상 군보다 전체 평균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 이용 빈도에 따른 차이에서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군, 아침 또는 저녁만 이용하는 군, 거의 이용하지 않는 군의 순으로 전체 평균점수, 재방문 의도, 전환하지 않을 의도가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보였다. 급식서비스 만족도 요인인 음식, 환경, 메뉴, 위생, 반응성은 모두 재방문 의도, 구전의도와 양(+)의 유의적인(P<0.001)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급식서비스 만족도 요인 중 음식, 메뉴, 반응성 등 3가지가 전환하지 않을 의도와 양(+)의 유의적인(P<0.001) 상관관계를 보였다. 급식소 이용고객을 급식서비스 만족도와 충성도 고객군(충성 용병 인질 이탈고객)으로 분류한 결과, 충성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에서는 위생요인이, 고객충성도에서는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가 유의적(P<0.001)으로 높았고, 용병고객군과 인질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에서 메뉴요인이 유의적(P<0.001)으로 낮았으며, 이탈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 중 메뉴요인(P<0.001)이, 고객충성도에서는 구전 의도(P<0.01)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의 고객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각 고객군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보겠다.

E-Trust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E-Trust)

  • 한상린;성형석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101-122
    • /
    • 2007
  • 많은 온라인 사용자들은 아직도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구매행위는 해당 사이트에 의해 제시되는 정보에 상당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개인 정보의 누출과 관련한 보안과 결제 안전성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쇼핑몰들은 치열해지는 경쟁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객의 신뢰를 향상시키고 장기적 거래관계를 강화 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지각된 품질, 지각된 명성, 지각된 가치)과 전반적 신뢰와의 관계, 그리고 전반적 신뢰와 결과요인(지각된 위험, 사이트 의존의사, 사이트 재방문)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으며 선행요인들간의 인과적 관계 및 결과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실증분석하여 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인터넷 쇼핑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델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쇼핑몰의 지각된 명성과 지각된 품질은 신뢰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신뢰는 지각된 위험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위힘을 거치지 않고도 사이트 재방문과 의존의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분석 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마찬가지로 지각된 위험은 사이트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급식 이용실태 및 급식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 정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33-643
    • /
    • 2013
  • 본 연구는 전라남도지역 대학급식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및 고객의 태도를 파악하고 대학급식의 운영전략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2011년 8월 30일에서 11월 30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580부가 회수되었으며, 부적절한 응답을 한 것을 제외하고 571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대학급식 이용 실태조사 결과, 대학급식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는 비율이 21.9%로 조사되었고, 48.7%가 1주일에 1~2회 정도만 대학내에 급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주일에 3~4회 이용은 20.4%로 나타나 대학급식의 이용횟수가 비교적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균 수행도는 3.01점으로 중간 수준을 보였다. '편이성' 점수가 3.25점으로 '서비스 품질' 점수(2.93)와 '음식 품질' 점수(2.94)보다 높은 수행도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3개의 항목 중에서 '식당위치의 편리성(3.31)'이 가장 높은 수행점수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신속한 배식(3.23)', '식사 가격(3.22)'으로 조사되었다. 반대로 '메뉴선택의 다양성(2.60)'은 가장 낮은 수행도로 조사되었다. 대학급식에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할 품질속성을 제언하기 위하여 서비스품질 속성에 대한 인식도와 중요도를 기초로 IPA 수행한 결과, 대학급식에서 우선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속성으로는 '음식의 맛', '메뉴선택의 다양성', '음식의 질(재료의 신선도)'로 분석되었다. 중요도 수행도 모두 높은 항목은 '위생 및 청결', '식사가격'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비해 중요도 수행도 모두 낮은 항목으로는 '편안하고 조용한 식사분위기', '쾌적한 환경', '고객 불만에 대한 신속한 처리'로 분석되었고, 중요도 대비 수행도가 높은 항목으로는 '식당위치의 편리성', '신속한 배식서비스', '음식의 양', '종업원의 서비스',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식사'로 조사되었다. 서비스 품질이 전반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대학급식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회귀계수에는 '음식(p<0.001)'과 '편이성(p<0.05)'으로 분석되었고, 서비스 품질이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급식의 가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음식(p<0.001)'과 '서비스(p<0.05)'로 분석되어 가치에는 '음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가 그 다음 순으로 분석되었다. 서비스 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분석결과에서는 재방문의도에는 '음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가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에서는 '음식(p<0.001)'만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급식의 고객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대학급식은 대학 내에 편리한 장소에 위치하여 신속하게 양껏 먹을 수 있는 편이성과 종업원들에 대한 서비스는 상당히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에 음식의 맛과 다양성, 그리고 음식의 질에 대해서는 상당히 불만족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 음식의 맛과 메뉴 선택의 다양성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운영전략을 세우고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